$\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에서 불안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과 환청과의 연관성 : 예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Selective Attention Bias for Fear Stimuli and Hallucin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2 no.1, 2016년, pp.7 - 12  

김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한진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홍승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종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현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태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엄유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경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서호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ective attention bias for fear stimuli and hallucin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 : A total of 66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dmitted to psychiatry clinic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elective attention bi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정도와 환청과 망상 등의 정신병적인 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정도는 환청의 전반적인 심각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불안편향 군 및 비편향군 간의 비교에서도 환청과 관련된 척도에서 통계적인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과 다양한 정신병적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의 정도는 환청의 전반적인 심각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 인지과제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가 가지고 있는 환청과 망상 등의 정신병적인 증상과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근거를 만들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 대학병원에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의 정도를 인지과제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가 가지고 있는 환청과 망상 등의 정신병적인 증상과 불안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근거를 만들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leuler E. Dementia Praecox or the group of schizophrenia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0. 

  2. Kraepelin E. Dementia praecox and paraphrenia.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21;54:384. 

  3. Hoekert M, Kahn RS, Pijnenborg M, Aleman A. Impaired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al prosody in schizophrenia: review and meta-analysis. Schizophrenia Research 2007;9:135-145. 

  4. Badcock JC, Paulik G, Maybery MT.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in auditory hallucinations. Psychiatry Research 2011;185:303-308. 

  5. Lysaker PH, Salyers MP. Anxiety symptoms in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associations with social function,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hope and trauma histor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7;116:290-298. 

  6. Freeman D, Garety PA. Connecting neurosis and psychosis: the direct influence of emotion on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3;41:923-947. 

  7. Bar-Haim Y. Research review: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a novel treatment for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10;51:859-870. 

  8. Dalgleish T, Moradi, AR, Taghavi MR, Neshat-Doost HT, Yule W.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hypervigilance for threa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logical Medicine 2001;31:541-547. 

  9. Teachman BA, Smith-Janik SB, Saporito J.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and panic disorder: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and symptom measur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7;45:1791-1811. 

  10. Mogg K, Bradley BP, Millar N, White J. A follow-up study of cognitive bias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995;33:927-935. 

  11. Beck AT, Clark DA.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anxiety: automatic and strategic process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997;35:49-58. 

  12. Fear CF, Sharp H, Healy D. Cognitive processes in delusional disorders. Br J Psychiatry 1996;168:61-67. 

  13. Kaney S, Wolfenden M, Dewey ME, Bentall RP. Persecutory delusions and the recall of threatening and non-threatening propositions. Br J Clin Psychol 1992;31:85-87. 

  14. Green MJ, Phillips ML. Social threat perception and the evolution of paranoia. Neurosci Biobehav Rev 2004;28:333-342. 

  15. Hooker C, Park S. Emotion processing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patients. Psychiatry Res 2002;112:41-50. 

  16.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17. Yi JS, Ahn YM, Shin HK, An SK, Joo YH, Kim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i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1090-1105. 

  18. Haddock G, McCarron J, Tarrier N, Faragher EB. Scales to measure dimensions of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 (PSYRATS). Psychological Medicine 1999;29:879-889. 

  19. 정순민. 한국어판 정신증상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7;46:201-213. 

  20. Amador XF, Strauss DH, Yale SA, Flaum MM, Endicott J, Gorman JM. Assessment of insight in psychosis. Am J Psychiatry 1993;150: 873-879. 

  21. Song JY, Kim KT, Lee SK, Kim YH, Noh JH, Kim JW,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SUMD-K).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307-315. 

  22. Busner J, Targum S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 scale: applying a research tool in clinical practice. Psychiatry (Edgmont) 2007; 4:28-37. 

  23. Lee KU, Kim J, Yeon B, Kim SH, Chae JH.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extended ChaeLee Korean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s. Psychiatry Investigation 2013;10:155-163. 

  24. Price RB, Siegle GJ, Silk JS, Ladouceur CD, McFarland A, Dahl RE, et al. Looking under the hood of the dot-probe task: an fMRI study in anxious youth. Depression and Anxiety 2014;31:178-187. 

  25. Allen PP, Johns LC, Fu CH, Broome MR, Vythelingum GN, McGuire PK. Misattribution of external speech in patients with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Schizophrenia Research 2004;69:277-287. 

  26. Tsoi DT, Lee KH, Khokhar WA, Mir NU, Swalli JS, Gee KA, et al. Is facial emotion recognition impairment in schizophrenia identical for different emotions? A signal detection analysis. Schizophrenia Research 2008;99:263-269. 

  27. Cohen AS, Minor KS. Emotional experienc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evisited: meta-analysis of laboratory studies. Schizophrenia Bulletin 2010;36:143-150. 

  28. Aleman A, Kahn RS. Strange feelings: Do amygdala abnormalities dysregulate the emotional brain in schizophrenia? Progress in Neurobiology 2005;77:283-298. 

  29. Aleman A, Laroi F. Hallucinations: The Science of Idiosyncratic Percep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30. Grossberg S. How hallucinations may arise from brain mechanisms of learning, attention, and volition. J Int Neuropsychol Soc 2000;6: 583-592. 

  31. Kveraga K, Ghuman AS, Bar M. Top-down predictions in the cognitive brain. Brain Cogn 2007;65:145-168. 

  32. Behrendt RP. Underconstrained perception: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nature and function of verbal hallucinations. Compr Psychiatry 1998;39:236-248. 

  33. Baker C, Morrison AP. Metacognition, intrusive thoughts and auditory hallucinations.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1199-1208. 

  34. Chadwick PD, Birchwood M. The omnipotence of voices: A cognitive approach to auditory hallucination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94;164:190-201. 

  35. Stephan FT, Israel L. A functional anatomic study of emotion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2002;58:159-172. 

  36. Nayani TH, David AS. The auditory hallucination: a phenomenological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1996;26:177-189. 

  37. Morrison AP, Haddock G. Self-focused atten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nd without auditory hallucinations and normal subjects: a comparative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997;23:937-941. 

  38. Christian GK, Travis HT.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schizophrenia: Intensity effects and error pattern. Am J Psychiatry 2003;160:1768-17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