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 상호작용과 자기정보의 진정성 평가 기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SNS Interactions and Expected Level of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259 - 268  

김동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정보 진정성에 주목하여, SNS상에서의 상호작용 정도와 지각된 정보 진정성의 관계를 정보 제공자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SNS상에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느낄수록 SNS상에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정체성 표현 욕구는 증가하였으며(가설 1), 이러한 정체성 표현욕구는 다시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상호작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가설 3의 검증에서는 SNS상에서 지각한 높은 사회적 지지감이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 4에서는 SNS상에서 상호작용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지각하는 진정성 수준도 높게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s(PSS) in SNS on SNS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look for the effect of SNS interactions on the expected level of information authenticity perceived by information users. The results show tha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SNS상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지지감과 구별되는 온라인상의 사회적 지지감을 상정하고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상의 상호작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가 원하는 사회적 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되는 정보의 진정성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SNS상에서의 상호작용성 정도와 커뮤니케이션 되는 정보의 진정성 지각 간의 관계를 정보제공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 SNS 이용자들은 SNS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거나 관리하려는 욕구가 있다[8]. 다시 말해 SNS 이용을 통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고 싶어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사람들로 부터의 관심과 지지를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이른바 사회적지지[1]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결과물로 제공되는 긍정적 자원[9]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이러한 우호적 관계를 만들어 가는 동인이 되기도 한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 환경에서 사람들이 실제 지각하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이 SNS상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려는 욕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과 정체성 표현욕구가 SNS상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SNS상에서의 상호작용 정도가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정보 진정성 관점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사람들 간 관계 형성과 발전에 있어 진정성은 중요한 촉진요소라는 점에서, 자신이 SNS상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진정성 평가(기대)는 이후의 관계발전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변수가 될 것이다.
  •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적 규범에 순응함으로써 해당 사회와 구성원들로부터 인정을 받고자 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연대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가지려 하며,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관심과 애정을 받아 자신의 자존감도 유지하려고 한다. 사람들이 지각하는 다른 사람들로 부터의 애정, 관심, 후원 등을 사회적 지지감 또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s)라고 한다.
  • 구철모 등[11]은 온라인에서의 정체성 표현욕구가 증가할수록 지식공유의 즐거움도 증가함을 실증하였다. 또한 정체성 표현 욕구는 이용자들의 SNS에 대한 애착과 소속감 즉 SNS 관여를 높임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는 온라인상에서 자신을 아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자신의 긍정적 이미지 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SNS 이용에 대한 애착 등 SNS 관여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SNS가 사람들 사이의 사실상 일상적 커뮤니케이션 경로라는 점에서 SNS상의 상호작용이 수행하는 역할에 주목하였다. 특히 SNS상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지지감과 구별되는 온라인상의 사회적 지지감을 상정하고 SNS상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상의 상호작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적 규범에 순응함으로써 해당 사회와 구성원들로부터 인정을 받고자 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연대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가지려 하며,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관심과 애정을 받아 자신의 자존감도 유지하려고 한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 환경에서 사람들이 실제 지각하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이 SNS상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려는 욕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과 정체성 표현욕구가 SNS상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SNS상에서의 상호작용 정도가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정보 진정성 관점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각된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또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연대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가지려 하며,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관심과 애정을 받아 자신의 자존감도 유지하려고 한다. 사람들이 지각하는 다른 사람들로 부터의 애정, 관심, 후원 등을 사회적 지지감 또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s)라고 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로 부터의 관심과 지지를 주관적으로 인식한다는 개념으로[1],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대부분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약한 관계의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면대면 접촉을 통해 형성되어 책임과 지속성이 있는 오프라인의 사회적 지지와 달리 비대면 상황에서 “추천하기”, “좋아요”, “퍼가기” 등에 대한 마우스 클릭만으로도 지각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인 만큼, SNS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지지는 약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그칠 것이라는 해석이다. 하지만 약한 관계의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은 오히려 낮은 감정적 애착으로 인해 객관적 피드백이 가능하고 객관적인 논의와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3 수정인용]. 뿐만 아니라 오늘날 SNS가 일상적 커뮤니케이션 경로로서 제공하는 가치는 과거 커뮤니케이션 보조 수단으로 이용될 때와 같은 낮은 수준의 감정적 교류나 지원에만 그치지 않는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오프라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사회적 지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정민과 정남호[4]는 Granovetter[5]의 연구를 빌어, SNS 환경에서는 비교적 약한 관계 (Weak Tie)를 형성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지배적이라고 정리하고 있다. 면대면 접촉을 통해 형성되어 책임과 지속성이 있는 오프라인의 사회적 지지와 달리 비대면 상황에서 “추천하기”, “좋아요”, “퍼가기” 등에 대한 마우스 클릭만으로도 지각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인 만큼, SNS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지지는 약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그칠 것이라는 해석이다. 하지만 약한 관계의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은 오히려 낮은 감정적 애착으로 인해 객관적 피드백이 가능하고 객관적인 논의와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3 수정인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 Vedder, M. Boekaerts, and G. Seeg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 being in school: The role of students' ethnic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4, No.3, pp.269-278, 2005. 

  2. 전신현,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소셜네트워크의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와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4호, pp.5-25, 2012. 

  3. 조윤경, 백영민, 김반아, "SNS관계망에서의 상호 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 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일반, 제22권, 제2호, pp.5-31, 2014. 

  4. 이정민, 정남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과 온라인 정체성 관점," 지식경영연구, 제13권, 제3호, pp.1-16, 2012. 

  5. M. S. Granovtetter in: N. Nohria, R. Eccles (Eds.), Networks and Organizations:Structure, Form, and Action, in Problems of Explanation in Economic Soci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pp.25-26, 1992. 

  6. 이도형, 손은정, "사회적 기술, 사회적지지 및 외로움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3105-3123, 2013. 

  7. 전춘애, 박철옥, 이은경,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709-726, 2008. 

  8. D. Boyd and N.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Vol.13, pp.210-230, 2007. 

  9.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10. 김동태, 이은영, "기업페이지 진정성과 이용자의 정체성 욕구가 기업페이지 공유 의향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3권, 제2호, pp.9-17, 2015. 

  11. 구철모, 전유희, 정남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온라인 정체성 표현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1권, 제5호, pp.135-156, 2012. 

  12. 이새봄, 판류, 이상철, 서영호, "자기표현 욕구와 개인정보 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미치는 영향:트위터를 중심으로," 경영과학, 제29권, 제2호 pp.1-20, 2012. 

  13. R. P. Brown and V. Zeigler-Hill, "Narcissism and the nonequivalence of self-esteem measures: A matter of domin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8, pp.585-592, 2004. 

  14. 김동태, "정보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이 SNS 기업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특성과 관계기대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SNS 기업페이지 운용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3권, 제4호, pp.61-79, 2015. 

  15. 최세경, 곽규태, 이봉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1호, pp.159-200, 2012. 

  16. 한상연, 마은정, 홍대순, 김은영, 박주현, 이인성, 김진우,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이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개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2권, 제1호, pp.29-64, 2013. 

  17. 이경렬, 정선호, "페이스북 팬페이지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동일시와 소비자-브랜드 관계 매개변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일반, 제21권, 제3호, pp.29-57, 2013. 

  18. 이경렬, "SNS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일반, 제22권, 제1호, pp.5-33, 2014. 

  19. K. Y. A. McKenna and J. A. Bargh, "Plan 9 from Cyberspace: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4, No.1, pp.57-75, 2000. 

  20. 이경탁, 노미진, 권미옥, 이희욱, "SNS사용자의 외로움,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3권, 제2호, pp.19-39, 2013. 

  21. N. L. Collins and L. C. Miller, "Self-Disclosure and Liking: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16, pp.457-475, 1994. 

  22.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 McGraw-Hill, 1967. 

  23. L.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24.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25. 김영임,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적 지지감 인식 : 성격, 이용동기, 이용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07-419, 2015. 

  26. 송몽몽, 김원겸, 백양, "SNS 이용자 간 상호작용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중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957-96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