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행복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4, 2018년, pp.453 - 460  

박진웅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행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SNS 중독 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17년 3-4월에 시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5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NS 중독 경향은 SNS 하루 이용시간(F=9.13, p<.001)과 주당 이용 일 수(F=4.06, p=.018)가 많을수록, 이용 장소는 가정(F=3.25, p=.040)에서 높게 나타났다. 2) SNS 중독은 학업탄력성(r=-.17, p=.005), 사회적 지지(r=-.20,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SNS 중독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SNS 하루 이용시간(${\beta}=4.40$)과 사회적 지지(${\beta}=-0.28$)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11.2%이었다(F=4.08, p<.001). 그러므로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NS addiction interventions by identifying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70 university students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 학업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 간의 상관관계 및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행복과 학업탄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확인하여 SNS 중독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지지, 행복 및 학업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향후 대학생의 SNS 중독에 대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는 어떤 도움을 주는가? 1분으로 나타났다[1]. SNS는 온라인상으로 개인과 사회를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므로 친구나 동료와의 관계를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준다[2].
SNS의 과다이용은 무엇을 야기하는가? SNS는 대학생의 인간관계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대학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SNS의 과다이용은 SNS 피로증후군, SNS 중독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SNS 피로증후군은 SNS의 과다 이용으로 발생하는 피로감을 말하며, SNS 중독은 인터넷 중독과 유사하며 강박적 이용, 의존성, 금단증상, 불안 증상을 의미한다[5-6].
SNS 이용시간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결과 SNS 중독경향성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SNS 이용시간과 사회적 지지였으며, 이용시간이 증가할수록 SNS 중독경향성은 증가하였고,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SNS 중독 경향성은 감소하였다. Oh & Ahn[3]의 연구결과 SNS 이용시간은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SNS 이용시간이 증가할수록 SNS 중독경향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Hong & Jeon[13]의 연구결과 가족지지, 친구지지, 중요 타인지지의 사회적 지지는 SNS 중독경향성은 부정적 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SNS 중독 경향성은 감소하였다. Lee[8]는 SNS 이용 시간과 사회적 지지는 SNS 중독경향성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SNS 중독경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SNS의 효율적인 활용은 대학생의 학교생활 및 대인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38-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ttp://www.kisdi.re.kr/kisdi/jsp/fp/kr/main.jsp 

  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2015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eoul :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3. E. J. Oh & S. A. Ahn. (2017).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8(6), 547-561. DOI http://dx.doi.org/10.22143/HSS21.8.1.31 

  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orea. (2012).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Seoul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orea. 

  5. K. Y. Lee & K. S. Kim.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Habits in SNS Discontinuance Behavior.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Spring Conference, 17(5), 603-611. 

  6. http://www.nia.or.kr/site/nia_kor/main.do 

  7. S. M. Kim & K. H. Suh. (2015).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3), 587-603. 

  8. Y. M. Lee. (2016). SNS Addiction Tendency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561-568.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561 

  9. Y. K. Cho, Y. M. Baek & B. Y. Kim. (2014). How and Why Does SNS-based Interaction Promote Perceived Social Support?: Focusing on Types of SNS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2(2), 5-31. 

  10. E. C. Yoon, J. M. Kim & A. R. Han. (2017). An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a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8(3), 647-658. 

  11. M. S. Kim & J. H. Lee.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281-294.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281 

  12. P. W. Nolten.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3. K. P. Hong & H. S. Jeo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1), 34-67.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7.37.1.34 

  14. E. M. McTigue, E. K. Washburn & J. Liew. (2009). Academic resilience and reading: Building successful readers. The Reading Teacher, 62(5), 422-432. DOI: 10.1598/RT.62.5.5 

  15. H. O. Jeon. (2016).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269-277. 

  16. H. J. Lee & H. K. Kim. (2015). The Effect of Intoxication in SNS and Stress of university life on the Adaption of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6), 3944-3953. DOI: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44 

  17. G. W. Sue & M. J. Kwon. (2016). Effect of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2), 221-234. 

  18. H. S. Hong & H. Y. Kim. (2016). Effect of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2), 221-234. 

  19. K. S. Kim. (2017).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495-505.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11.17 

  20. Y. O. Ha & Y. M. Park. (2017).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n the Wellness Lifestyle among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59-367. 

  21. H. J. Kim, M. S. Kim, D. K. Oh & S. T. Kim. (2014).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1(1), 163-198 

  22. S. H. Lim & S. H. Kim. (2015).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among IT Services Usage, Inconsiderate Behaviors, Mindfulness,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 Evidence from a Survey of Students who Performed Team Project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9(1), 57-76. 

  23. S. Y. Jung & J. N. Kim.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1), 147-166. 

  24. J. Y. Park & N. R. Kim.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Non-traditional Studen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215-239. 

  25. M. R. Lee. (2001).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System to Influ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The Daegu University. 

  26.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1, 37-55. 

  27. H. S. Jang. (2009). The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Tasks and Happiness in Early Adulthood.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1), 19-36. 

  28. T. H. Ha. (2016).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3), 763-772. 

  29. M. Y. Moon. (2016). Correlates 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and Mental.Social Healt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4), 243-251.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6.24.4.243 

  30. K. T. Kim (2017)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mong Korean Adolescent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6, 115-142. 

  31. S. Y. Han.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Addiction, Learning-Flow,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987-1003. 

  32. E. Y. Kim & S. I. Lim. (2014). The Recognition of the Youth about the Symptoms of Smartphone Overu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6), 255-279. 

  33. M. H. Jo, J. M. Kim, S. S. Rhu & I. H. Kim. (2017). The Difference of The Self-Regulation and The Usage Motivation between The SNS and The Game Group in The Over usage of Smartphone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2), 297-317. 

  34. H. W. Kang. (2013). A Study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application of therapeutic recre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1), 121-133. 

  35. E. B. Weiser. (2001). The functions of Internet use and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Cyberpsychology & Behavior, 4(6), 723-743. 

  36. F. Henry. (2007). How do you define a friend? New house New Service. LexisNexis Academic. 

  37. J. Raacke & J. Bonds-Raacke. (2008). My 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2), 169-174. 

  38. J. Y. Jang. (2015).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NS Affecting Relationship Development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213-219. http://dx.doi.org/10.15207/JKCS.2015.6.6.213 

  39. K. S. Ahn & J. Y. Hwang. (2017).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Occupational Aspi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37-247. https://doi.org/10.15207/JKCS.2017.8.9.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