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적 변환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in Research on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2, 2016년, pp.173 - 188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수학적 변환 관련 국내 연구는 약 25년 동안, 국외 연구는 약 35년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이 수학교과서와 수학수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이자 방법이 된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입증하는 데에 치중해왔다. 그동안 파악한 사례를 메타적으로 분석하거나 새롭게 설계하여 적용한 사례를 기초로 교수학적 변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에서도 수학교육학 외부의 연구 중에는 극단적인 교수 현상을 추가로 확인하거나 메타적으로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까지 시도한 경우가 있었다. 이들 연구를 수학교육학 내부의 논의맥락에서 재해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로서 학교수학을 이해하고 기술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국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이를 국내실정에 부합되는 형태로 수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개선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국외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인류학, 기술문명 시대의 인간과 교육, 인간행동학, 인식론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주요 개념과 연결해왔다. 국내 연구에서도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다양한 연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내 연구에서 사용하는 교수학적 변환 관련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on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about 25-year and about 35-year long history in and out of Korea, respective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in trends of those research and to suggest tasks needed to be tackled. Major findings are followed. First, studies don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 그 구체적인 성과와 의미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가 최초의 문제제기 단계에서부터 수학교육 현상의 여러 측면을 바라보는 독자적인 입장을 정립하는 단계까지 발전하면서 어떤 논의가 이루어져왔는지를 국내와 국외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 국외 연구는 주창자인 Chevallard의 주요 저작에 나타난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제 국내외 연구동향을 파악한 결과를 되돌아보면서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교수학적 변환 이론은 국내외에서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연구되었다. 이제 그 구체적인 성과와 의미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가 최초의 문제제기 단계에서부터 수학교육 현상의 여러 측면을 바라보는 독자적인 입장을 정립하는 단계까지 발전하면서 어떤 논의가 이루어져왔는지를 국내와 국외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 교수학적 변환 관련 국내 연구는 수학교육학 내부는 물론이고, 국어, 지리, 사회, 문학 등 수학교육학 외부로 널리 확산되었다. 이하에서 수학교육학 내부와 외부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적 변환 관련 논의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설 설정

  • 교사: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이 점이 삼각형의 외심이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사각형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는 국내외에서 몇 년 동안 이루어졌는가? 교수학적 변환 관련 국내 연구는 약 25년 동안, 국외 연구는 약 35년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교수학적 변환은 어떤 개념인가? ‘교수학적 변환(Didactic transposition)’은 프랑스의 수학교육학자인 Chevallard가 80년대 초부터 주창하여 발전시킨 개념이다. Kilpatrick은 당시에 교육계를 지배했던 구성주의 담론이 학습자의 경험에 초점을 두면서 지식의 본체론 또는 존재론적인 관점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교수학적 변환 이론이 이 지적을 해결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강완, 1991: 72).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이 수학교과서와 수학수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이자 방법이 된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입증하는 데에 치중해왔다. 그동안 파악한 사례를 메타적으로 분석하거나 새롭게 설계하여 적용한 사례를 기초로 교수학적 변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에서도 수학교육학 외부의 연구 중에는 극단적인 교수 현상을 추가로 확인하거나 메타적으로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까지 시도한 경우가 있었다. 이들 연구를 수학교육학 내부의 논의맥락에서 재해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로서 학교수학을 이해하고 기술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국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이를 국내실정에 부합되는 형태로 수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개선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국외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인류학, 기술문명 시대의 인간과 교육, 인간행동학, 인식론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주요 개념과 연결해왔다. 국내 연구에서도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다양한 연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내 연구에서 사용하는 교수학적 변환 관련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완(1991).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 30(1), 71-89. 

  2. 강완(2001). 원의 넓이 공식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분석.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27, 27-68. 

  3. 강완(2014). 분수 개념 지도 내용과 방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3), 467-480. 

  4.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5. 김민정(2002). 지리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에 근거한 극단적인 교수현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115-126. 

  6. 김부연(2014). 교수학적 변환론 관점에서 본 국어사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II 국어 변천사 단원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9(1), 214-244. 

  7. 김신영.강완(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61-180. 

  8. 김연.강완(200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나눗셈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1), 19-38. 

  9. 김현정.강완(2008).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사각형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1(2), 141-159. 

  10. 나귀수(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73-395. 

  11. 박경미(2007). 수학 수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학교수학, 9(2), 259-276. 

  12. 배수경(2015). 중등 수학 교사의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손현진.손명철(2013). 고등학교 지리 수업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 교육과학연구, 15(1), 1-30. 

  14. 신보미(2010).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89-301. 

  15. 신보미(2012). 정규분포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117-136. 

  16. 신보미.이경화(2008).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확률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학연구, 18(1), 25-50. 

  17. 심광택(2002). 초등 사회과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방향 탐색. 사회과교육, 41(3), 153-172. 

  18. 심영택(2002). 국어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국어교육, 108, 155-179. 

  19. 심영택(2004).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문법 교육의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국어교 육학연구, 21, 355-390. 

  20. 이경화(1996a).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6(1), 203-213. 

  21. 이경화(1996b). 확률 개념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경화(2004). 상관관계의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6(3), 251-266. 

  23. 이경화(2010).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의 은유와 유추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20(1), 57-71. 

  24. 이경화.지은정(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25. 이영하.신정은(2009). 교수공학 친화적, 실용적,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적 연구. 학교수학, 11(1), 111-129. 

  26. 이정숙(2005). 특집: 국어수업, 어떻게 볼 것인가?; 내용 변환에 따른 쓰기 교수-학습 현상. 국어교육학연구, 24, 29-63. 

  27. 이종영(2001). 컴퓨터 환경에서 극단적인 교수 현상의 가능성과 수학 교수.학습 양식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1(1), 51-66. 

  28. 이종희.배수경(2013). 국내 분과 발표: 교수학적 변환론의 관점에서 본 초임 수학교사의 외심 단원 수업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35-139. 

  29. 장의선(2006). '전통 지리'의 지리 교육적 가치와 교육 내용 재구성 방안. 사회과교육, 45(1), 97-119. 

  30. 장의선(2007).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본 지 리교육내용의 적절성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14(1), 87-109. 

  31. 정재찬(2010). 수업 비평적 관점을 통한 중등 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9, 467-504. 

  32. 조성욱(2009).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11-224. 

  33. 조철기(2011). 지리 교과서에 서술된 내러티브 텍스트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1), 49-65. 

  34. 천은수(2009). 어느 역사 교사의 '가르치기 위한 지식' 연구. 역사교육연구, 10, 85-121. 

  35. 최웅환(2009). 문법 교육에서의 교수적 변환론. 국어교육연구, 45, 321-346. 

  36. 최지영.강완(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약수와 배수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45-64. 

  37. Artaud, M. (2007). Some conditions for modelling to exist in mathematics classrooms. In P. L., Galbraith, H. W., Henn, & M. Niss (2007). Model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71-378). Springer US. 

  38. Barbe, J., Bosch, M., Espinoza, L., & Gascon, J. (2005). Didactic restrictions on the teacher's practice: The case of limits of functions in Spanish high schools. In C., Laborde, M. J., Perrin-Glorian, & A., Sierpinska (Eds.). Beyond the apparent banality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pp. 235-268). Springer US. 

  39. Bergsten, C., Jablonka, E., & Klisinska, A. (2010). A remark on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In Proceedings of MADIF7, The Seventh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Seminar (pp. 58-68). 

  40. Bosch, M., & Gascon, J. (2006). Twenty-five years of the didactic transposition. ICMI Bulletin, 58, 51-63. 

  41. Brousseau, G., & Warfield, V. (2014). Didactic situ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 Lerman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63-170). Springer Netherlands. 

  42. Chevallard, Y. (1985). La transposition didactique. Grenoble: La pensee sauvage. 

  43. Chevallard, Y. (1989). Le concept de rapport au savoir. Rapport personnel, rapport institutionnel, rapport officiel. Seminaire de didactique des mathematiques et de l'informatique, 108, 103-117. 

  44. Chevallard, Y. (1990).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culture: Critical afterthough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1(1), 3-27. 

  45. Chevallard, Y. (1991). Concepts fondamentaux de la didactique: perspectives apportees par une approche anthropologique. Publications mathematiques et informatiques de Renne, (S6), 160-163. 

  46. Chevallard, Y. (1992a). A theoretical approach to curricula. Journal fuer Mathematik-didaktik, 13(2-3), 215-230. 

  47. Chevallard, Y. (1992b). Fundamental concepts in didactics: Perspectives provided by an anthropological approach. Research in Didactique of Mathematics, 131-167. 

  48. Chevallard, Y. (1999). L'analyse des pratiques enseignantes en theorie anthropologique du didactique. Recherches en didactique des mathematiques, 19(2), 221-265. 

  49. Chevallard, Y. (2006). Steps towards a new epistem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In Proceedings of the 4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CERME 4) (pp. 21-30). 

  50. Chevallard, Y. (2007). Readjusting didactics to a changing epistemology. Europ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131-134. 

  51. Chevallard, Y., & Bosch, M. (2014).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 Lerman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70-174). Springer Netherlands. 

  52. Garcia, F. J., & Ruiz-Higueras, L. (2011). Modifying teachers' practices: The case of a european training course on modelling and applications. In G., Kaiser, W., Blum, R. B., Ferri, & G., Stillman (Eds.).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modelling: ICTMA14 (pp. 569-578). Springer Netherlands. 

  53. Hardy, N. (2009). Students'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practices: the case of limits of functions in college level calculus cours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2(3), 341-358. 

  54. Laborde, C., & Vergnaud, G. (1994). L'apprentissage et l'enseignement des mathematiques. Apprentissages et didactiques ou en est-on. Hachette, Paris. 

  55. Radford, L., & Roth, W. M. (2011). Intercorporeality and ethical commitment: An activity perspective on classroom intera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7(2-3), 227-245. 

  56. Rasmussen, K. (2015). Lesson study i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didactic and paradidactic technology in the post-lesson reflec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24. 

  57. Rodriguez, E., Bosch, M., & Gascon, J. (2008). A networking method to compare theories: metacognition in problem solving reformulated within the Anthropological Theory of the Didactic. ZDM, 40(2), 287-301. 

  58. Tetchueng, J. L., Garlatti, S., & Laube, S. (2008). A Context-Aware Learning System based on generic scenarios and the theory in didactic anthropology of knowledge. IJCSA, 5(1), 71-87. 

  59. Winslow, C. (2011). Anthropological theory of didactic phenomena: Some examples and principles of its use in the study of mathematics education. CRM Documents, 10, 533-551. 

  60. Zehavi, N., & Mann, G. (2011). Development process of a praxeology for supporting the teaching of proofs in a CAS environment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16(2), 153-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