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시대 공학교양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for the Reform of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in an Era of Convergence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9 no.2, 2016년, pp.14 - 25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고동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최문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사회과학자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how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could be positioned properly in an era of convergence. Disciplines of Engineering has long been focusing on engineer as a 'technical profession' and the liberal education as an accessory to major study has been left behind. Under this unde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과대학의 교양교육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더 많은 전공 수업시간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교양과목의 양적, 질적 확대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방안이 되고 만다. 반면 교양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은 인문학의 통찰과 함의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 싶지만 전공 중심의 대학교육에 무력함을 느끼게 된다고 토로하고 있다(손동현, 2010; 김민수, 2014). 하지만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어떻게 교양교육을 재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고민과 대안 모색 역시 여전히 더디다. 
공학소양이란 무엇입니까? 인증시스템이 도입된 초기에는 공과대학의 교양교육을 공학소양에 관한 교육으로 이해했다. 이때 공학소양이란 “공학적 소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학을 교수, 학습, 연구, 개발 및 실천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학인이 갖추어야 할 비전문적인 기본적 능력(이소이 외, 2005: 37)”이라든지 혹은 “대학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능력 중에서 비기술적 자질”로 소개되었다(김정식, 2007: 41).
최근 공학교육 개혁논의에서 자주 등장하고 강조되는것은 무엇입니까? 최근 공학교육 개혁논의에서 ‘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하는 교육시스템’,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인재’, ‘인성과 열정을 갖춘 인재’ 등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고 강조되는 것은 한편으로 이러한 인재에 대한 사회적, 산업적 수요가 매우 높다는 것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 대학이 배출하는 졸업생들에게 이러한 역량이 다소 부족한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음은 대기업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연구개발부서 팀장이 오랫동안 공대 출신 신입사원의 성장을 지켜보며 느낀 것을 이야기한 내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소연.최금진(2006). 공학기본소양과목의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1): 75-88. 

  2. 권성호.강경희(2008).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공학교육연구, 2(2): 7-24. 

  3. 김명랑.박혜영.장선영(2007). 미국의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공학교육연구, 10(1): 5-19. 

  4. 김문조.김종길.유승호(2011). 미디어 융합과 사회질서의 재구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김민수(2014). '인성교육' 담론에서 '인성' 개념의 근거. 교양교육연구, 8(4): 169-206. 

  6. 김민정(2012).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357-381. 

  7. 김병일.이의수.박진우(2005). 토목, 화공, 전자 분야의 공학교육에 대한 산업체 설문조사 분석. 공학교육연구, 8(3): 5-16. 

  8. 김상길(2007). 바람직한 공학교육인증제도 시행을 위한 교양 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1): 9-37. 

  9. 김순임.민춘기(2013). 교양과 전공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과과 정시론. 교양교육연구, 7(3): 11-60. 

  10. 김인숙.강태욱.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과목에서 교수 -학습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11. 김정식(2007). 공학소양교육의 지향과 현실적 문제. 교양교육연구, 1(1): 39-54. 

  12. 김지현(2015). 학제적 교양교과과정의 특징과 의의: 하버드대학 새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8(3): 193-247. 

  13. 김진형(2015).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발표문. 

  14. 김희동.지인영(2009).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학습성과와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3(1): 89-103. 

  15. 김희정.김성철(2011).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5(7): 1621-1627. 

  16. 박주호.부향숙(2012). 연구중심대학 정책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미친 영향: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3): 321-356. 

  17. 박희숙(2008). 과학기술분야 교양과목 사례연구: 국민대학교의 현대사회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2(1): 131-148. 

  18. 서광규(2012). 공과대학생의 취업과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산업체의 인식조사. 공학교육연구, 15(6): 3-8. 

  19. 성정숙.김현철(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45-54. 

  20. 손동현(2010).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교양교육연구, 4(2): 19-27. 

  21. 손동현(2010).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교양교육연구, 4(2): 19-27. 

  22. 송성수(2012).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공학교육연구, 15(1): 18-25. 

  23. 신행자.손준익.임영도.김종욱(2009). 공학설계 교과목에서 문 제 중심 교수-학습과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전략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2(4): 142-149. 

  24. 연세대학교(2015). 산업체 인터뷰 분석자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내부문서. 

  25. 이소이.김태훈.노태천.김춘길(2005). 공과대학의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실태조사. 공학교육연구, 8(2): 35-51. 

  26. 이희원.민혜리.이경우(2008).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3): 24-32. 

  27. 장은주(2008). 학제간 융합교육을 통한 '인문적 교양교육'의 새로운 활로 찾기. 교양교육연구, 2(2): 117-136. 

  28. 한경희(2015). 공학교육에서 글로벌 서비스 러닝의 의미와 과제. 글로벌 서비스러닝 컨퍼런스 발표자료집. 

  29.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5). 공학교육인증기준 자료집.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30. Downey, G.(2005), "Are Engineers Losing Control of Technology? From Problem Solving to Problem Definition and Solu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83 (A6), 583-595. 

  31. Downey, G.(2008). The Engineering Cultures Syllabus as Formation Narrative: Critical Particip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Problem Definition. University of ST. Thomas Law Journal 5 (2): 428-456. 

  32. Figueiredo, A. D.(2014), On the Historical Nature of Engineering Practice. Engineering Practice in a Global Context: Understanding the Technical and the Social, edited by Bill Williams and Jose Figueiredo, CRC Press. 

  33. Harwood, J.(2006). Engineering Education between Science and Practice: Rethinking the Historiography. History and Technology 22(1): 53-79. 

  34. Shinn, L. D.(2012). Liberal Education in the Age of the Unthinkabl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44 (4): 15-21. 

  35. Steneck, N. H., Olds, B. M., and Neeley, K. A.(2002). Recommendations for Lib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A White Paper from the Liberal Education Divisio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Liberal Education Division of ASEE. 

  36. Vincenti, W. G.(1990). What Engineers Konw and How They Know It: Analytical Studies from Aeronautical Histor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7. Wisnioski, M. H.(2009). "Liberal Education Has Failed": Reading Like and Engineer in 1960s America. Technology and Culture 50 (4): 753-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