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3, 2015년, pp.263 - 276  

김신향 (군산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함연숙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Methods: A total of 47 article on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and published from 2006 to 2014 were used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Variables with the largest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 선행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종합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 정서와 관련된 감정노동의 관련 변인을 통합 분석하고자 국내 연구에 국한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자료선정 및 수집하였다. 첫째, 국내 간호사에 대한 감정노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2006년부터 발견되어 2006년부터 2014년까지 9년간 석 ‧ 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9년 동안 국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선행연구를 종합, 정리하여 근거기반의 자료를 도출하기 위한 양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 변인을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 총 47편의 일반적 특성과 방법론적 질 평가의 표본수의 산정 근거를 제시하였다(Table 1). 우선, 일반적 특성은 연구수행 연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2014년에 1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출처는 학위논문 17편, 학술지 논문 30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을 확인하여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그동안 국내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변인의 메타분석은 한편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내 정서적 배경과 환경의 특성 속에서 이뤄진 국내 간호사 감정노동의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간호사 감정노동의 관련 변인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도출하여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정책방안에 필요한 실질적인 자료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국내 정서적 배경과 환경의 특성 속에서 이뤄진 국내 간호사 감정노동의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간호사 감정노동의 관련 변인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도출하여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정책방안에 필요한 실질적인 자료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효과크기 산출은 r값을 표준화하기 위해 Fisher의 공식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Zr을 산출하였고, 산출공식은 수식 1과 같으며, 수식 1의 분산을 계산하는 공식은 Vz=1/(n-3)이고 n은 사례수이다. 사례수가 많은 연구에서 사례수가 적은 연구보다 더 정확하다고 가정하여 사례 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산출된 효과크기는 Cohen[21]의 효과크기 해석 기준(ES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감정노동은 서비스 직종에서의 노동의 주체이자 제품으로 ‘감정’을 교환가치로 추상화시켜 판매하는 특별한 유형의 노동으로[4], Morris와 Feldman[5]은 조직 ‧ 직업 ‧ 개인의 특성 이라는 선행요인과 감정노동의 빈도, 표현규범에 요구되는 주의정도, 감정의 다양성, 감정의 부조화 등 4가지 차원으로, Brotheridge와 Lee[6]는 외적으로만 표현하는 표면행위, 조직의 표현규칙을 내면화하여 표현하는 내면행위, 감정표현의 빈도, 다양성, 지속시간 등으로 개념화하였다.
감정노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각 나라마다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이유는? 국외에서는 감정노동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각 나라마다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15]. 이는 같은 직종이라도 나라마다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차별적인 직무환경이 존재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감정노동이 관련된 변인과 맺는 관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17]. 그동안 국내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변인의 메타분석은 한편도 발견할 수 없었다.
감정노동이 간호사와 환자의 관계 형상에 미치는 영향은? 이러한 감정노동은 간호사와 환자의 관계를 형성하고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과 회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환자에게는 믿음과 안정감을 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7]이 있으나, 간호사 자신에게는 직무소진[1,8],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9] 또한 이직의도를 높이고 직무만족을 낮추어[10] 간호의 질을 떨어뜨리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전문직은 대상자들에게 신체적 간호와 함께 공감적 정서 표현을 통해 옹호 ‧ 지지하는 돌봄적 간호 제공함을 당연시 여겨 간호사가 업무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감정의 불일치, 역할 갈등, 감정적 고갈 등과 같은 간호사의 감정적 안녕에 대해서는 종종 간과되어 왔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6. 

  2. Yoon S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4;17(3):451-466. 

  3.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 Doopedia. Feeling [Internet]. [cited 2013 August, 10].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5237. 

  5.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dx.doi.org/10.2307/259161 

  6. Brotheridge CM, Lee RT. On the dimensionality of emotional labou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onference on Emotions and Organizational Life; 1988; San Diego, CA. 

  7. Mann S, Cowburn J.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2(2):154-162.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4.00807.x 

  8. Lee SN, Kim GA. Relation of among emotional labor, burn out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Paper presented at: The 40th Anniversary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0; Seoul. http://www.dbpia.co.kr/Article/3323914. 

  9. Park MM, Han SJ.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51-6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51 

  10. Song MS.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6):3741-3750.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741 

  11. Cha SK, Shin YS, Kim KY, Lee BY, Ahn SY, Jang HS, et al.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23-35. 

  12. Kim JJ. Services industry of corresponding emotional labor and regulatory measures. Labor Review 2013;102:42-54. 

  13. Lee CY. Patients, caregivers, and language in hospitals laborers violence seriously!. Kookmin Ilbo. 2010 May 3 Sect. 01. 

  14.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European survey of enterprises on new and emerging risks (ESENER) - managing safety and health at work [Internet]. 2010. [cited 201X Month Date]. http://dx.doi.org/10.2802/30026 

  15. Kim IA, Kim JW, Kim HR, Kim HS, Kim HC, Oh SS, et al. A study of health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KOSHA; 2013.11.29. 

  16.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09. 

  17. Park HI, Nam SK, Yang EJ. Relationships of burnout with job attitude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s: A meta-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11;24(3):457-491. 

  18. Law M, Stewart D, Pollock N, Letts L, Bosch J, Westmoreland M. Critical review form-Quantitative studies [Internet]. 1998. [cited 2011 September 13]. http://srs-mcmaster.ca/wp-content/uploads/2015/04/Critical-Review-Form-Quantitative-Studies-English.doc 

  19. Duval S, Tweedie R.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2000;56(2):455-463. http://dx.doi.org/10.2307/2676988 

  20. Orwin RG.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in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1983;8(2):157-159. http://dx.doi.org/10.2307/1164923 

  21.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1988. 

  22. Zapf D.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002;12(2):237-268. http://dx.doi.org/10.1015/S1053-4822(02)00048-7 

  23. Vitello-Cicciu JM. Innovative leadership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Management. 2003;10:28-32. 

  24. Grandey A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3;46(1):86-96. http://dx.doi.org/10.2307/30040678 

  25. Kim IH, Noh S, Muntaner C. Emotional demands and the risks of depression among homecare workers in the USA.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13;86(6):635-644. http://dx.doi.org/10.1007/s00420-012-0789-x 

  26. Murcia M, Chastang JF, Niedhammer I. Psychosocial work factors, major depressive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s: Results from the French national SIP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3;146(3):319-327. http://dx.doi.org/10.1016/j.jad.2012.09.014 

  27. Lee SJ, Ha EH.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0;7(1):55-68. 

  28. Vaccarino AL, Sills TL, Evans KR, Kalali AH. Multiple pain complaint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Psychosomatic Medicine 2009;71(2):159-162. http://dx.doi.org/10.1097/PSY.0b013e3181906572 

  29. Kwon MJ, Kim KS, Ahn SY. Effects of emotional labor,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self-efficac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4):2225-223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4.2225 

  30. Kang MH, Kwon MJ, Youn SY. Self-efficacy,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66-273.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66 

  31. Brotheridge CM, Grandey A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2;60(1):17-39. http://dx.doi.org/10.1006/jvbe.2001.18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