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Resilience in Korean Nurse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100 - 109  

권혜경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신향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박시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urses'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that nurses often encounter at clinic, and many factors have been examined which influence on nurses' resilience levels. Through this study, those factor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quantitatively synthesized.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의 효과크기는 보호변인이 큰 효과크기, 위험변인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보호변인과 위험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의 학문적 기초 자료로 그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실제로 간호사의 회복력 증진을 위한 국내외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국내는 전무한 실정이고, 국외에서 수술실 간호사들의 회복력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 중 재의 일종인 감각 자극 테라피[11],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회복력증진 프로그램[12] 및 스트레스 조절 중재 프로그램[13] 등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외국과 이질적인 맥락과 자료의 이질성을 가능한 줄이고[6]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을 규명하고자 국내 연구에 국한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는 추후 한국의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함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즉,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들을 보호변인 (Protective factor)과 위험변인(Risk factor)으로 구분하여 메타분석하여 효과적인 중재를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보호변인 및 위험변인을 규명하여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중재개발의 학문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국내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관련 논문은 2011년에 첫 연구가 시행되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된 연구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된 총 33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들의 개별연구결과물을 통계적으로 융합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보호변인과 위험변인을 규명하고, 각 변인의 효과크기를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의 보호변인은 증진시키고, 위험변인은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 중재개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간호사의 회복 탄력성 관련 상관관계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므로 제한된 사례수로 분석하였고, 선행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을 메타분석한 선행연구가 없어 기존의 서술적 조사연구들과의 비교가 이루어진 점이 연구의 제한점 이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종합 분석하여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의 보호변인과 위험변인을 규명하고, 효과적인 중재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중요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 본 연구는 외국과 이질적인 맥락과 자료의 이질성을 가능한 줄이고[6]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을 규명하고자 국내 연구에 국한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는 추후 한국의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함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즉,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들을 보호변인 (Protective factor)과 위험변인(Risk factor)으로 구분하여 메타분석하여 효과적인 중재를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 정도에 따른 간호사의 특징은? 개인마다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대처하는 방식에 각자 차이가 있는데, 회복탄력성이 높은 간호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적 및 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어려움을 극복한 후 안녕감과 더욱 향상된 능력을 발휘하며, 좋은 간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간호사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거나 관리하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소진 또는 이직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에 직면할 수 있다[2].
회복탄력성이란?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나 많은 상황에서 유연하게 반응하여 성공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는 내적능력을 의미하며[7], 본 연구에서는 혼용되고 있는 극복력, 적응유연성, 자아탄력성, 탄력성, 긍정심리역량 등을 회복 탄력성으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열악함을 증명하는 근거는? 그러나 간호사들은 보건의료인 중 노동 강도, 이직 의도, 감정 노동과 업무 소진, 인력 부족이 가장 높으며, 경제협력기구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평균 간호 인력은 1000명당 9.3명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4.8명으로 절반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1]. 또한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 중 간호사의 법적 기준을 준수하는 의료 기관은 13.8%에 불과하다[1]. 이러한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의 돌봄 역할에 중요한 위치에 있는 간호사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The 2016 survey on korean health care workers: pay, labor conditions, labor environment.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2016 June. 

  2. Gillespie BM, Chaboyer W,Wallis M, Grimbeck P.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9(4):427-43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40.x 

  3. Jackson D, Firtko A, Edenborough M.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60(1):1-9. 

  4. Tusaie K, Dyer J.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4;18(1):3-10. 

  5. Leppin AL, Bora PR, Tilburt JC, Gionfriddo MR, Zeballos-Palacios C, Dulohery MM, et al. The efficacy of resiliency training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and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Plos One. 2014;9(10):e11142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11420 

  6. Higgins JP,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cited 2016 March 20].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7.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8. Kim SH, Ham YS.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263-276. 

  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21-25 

  10. Egger M, Davey Smith G, Schneider M, Minder C.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1997;315(7109):629-634. 

  11. Marais C, Du Plessis E, Koen MP.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stimulation therap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operating room nurses. Curationis. 2016;39(1):e1-10. 

  12. Mealer M, Conrad D, Evans J, Jooste K, Solyntjes J, Rothbaum B, et al.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6):e97-105. 

  13. Delaney C, Barrere C, Robertson S, Zahourek R, Diaz D, Lachapelle L. Pilot testing of the nurs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6 Dec;34(4):369-389. 

  14. Hsieh HF, Hung YT, Wang HH, Ma SC, Chang SC. Factors of resil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have experienced workplace violence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6;48(1):23-30. 

  15. Radey M, Figley CR. The social psychology of compassio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2007;35(3):207-214. http://dx.doi.org/10.1007/s10615-007-0087-3 

  16. Yoon KA, Shim WC, Kim KS.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front-line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015;15(1):77-101. 

  17. Matos PS, Neushotz LA, Griffin MT, Fitzpatrick JJ. An exploratory study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inpatient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0;19(5):307-312. http://dx.doi.org/10.1111/j.1447-0349.2010.00690.x 

  18. Jo EA, Kang J.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2):78-86. http://dx.doi.org/10.5953/JMJH.2015.22.2.78 

  19.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14-23. 

  20. Lee AS, Yoon CK, Park JK.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83-289. 

  21. Kim SY. The effect of nurse's ego-resilience on stress response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 p. 1-76. 

  22. Lee YK, Suh K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ego-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rehabilitation teach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1;19(2):129-136. 

  23. Lee JY, Chi MW. Relation among emotional labors's job stress, role conflict, ego- resilience and job turnov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6):191-200. 

  24. Yoo SJ, Choi YH.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5(1):16-25. 

  25. Read E, Laschinger HK. Correlates of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mistreatmen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43(4):221-228.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895a90 

  26. Quine L. Workplace bullying in nur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73-84. http://dx.doi.org/10.1177/135910530100600106 

  27. Choi MG, Kim HK.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ego-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publ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5):3257-3267. http://dx.doi.org/10.5762/KAIS.2015.16.5.3257 

  28. Cho HJ, Jung MS. Effect of empathy, resilience,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4):373-382.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4.373 

  29. Cho GJ. Factors influencing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4. p. 1-57. 

  30. Krysinska K, Lester 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uicide risk: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2010;14(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