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5, 2016년, pp.125 - 135  

하태희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밝혀내며,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중년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시도된 구조회귀모형분석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0세-59세 사이의 자녀와 직업이 있는 기혼의 중년남성 493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9월 10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였다. 자료분석SPSS 19.0과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중년남성의 삶의 질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매개변인으로 가족의사소통, 직업만족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사소통은 직업만족도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년남성의 삶의 질 구조모형은 적합한 모형임이 실증적으로 검정되었으며,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둘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men. The participants were 493 middle-aged me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31, 201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and AMOS 19.0. Self-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개입과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 및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파악을 위한 연구가 우선되어져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선행연구결과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통한 자아수용, 지인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가족과의 조화, 직업을 통한 삶의 목표 성취와 이를 통한 개인적인 성장을 주관적인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본 Sastre의 삶의 질 결정 요인[16], 삶의 질 예측 변수로 개인의 수행하는 역할의 내용, 역할경험의 질의 중요성을 제시한 Barnett와 Baruch의 역할이론적 견해[17]를 근거로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즉, 중년남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그들이 수행하는 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경험의 질인 가족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정도에 영향을 미쳐 결국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수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모형 구축과 검정을 통하여 각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이를 통하여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향상 목적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방법상 횡단적 자료수집을 하여 종단적 연구에서와 같은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전향적인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모형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는 구조회귀모형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경로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정하여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증진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연구의 과학성과 윤리성 검증 및 자료수집을 위해 국립B병원의 연구윤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로부터 연구진행에 대해 승인을 받은 후 시행되었다(승인번호: 1-005).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에 앞서 간호학교수 1인, 정신전문간호사 2인이 문항 내용에 대한 조사를 한 후, 중년남성의 설문 문항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40세에서 59세 사이의 중년남성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응답의 용이성과 문항의 이해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2011년 9월 10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밝혀내며,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중년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Campbell에 의하면 객관적 차원의 삶의 질은 소득수준, 학력, 주거환경, 근로조건, 건강상태 등과 같은 환경적, 사회지표적 조건들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관적 차원의 삶의 질은 개인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느끼고 얼마나 만족하는가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으로서 환경적인 생활조건보다는 그것에 대한 개개인의 경험이나 느낌을 중요한 결정인자로 보고 있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mpbell의 주관적 차원의 삶의 질에 대한 개념을 중년남성에게 적용시켜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선행연구결과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통한 자아수용, 지인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가족과의 조화, 직업을 통한 삶의 목표 성취와 이를 통한 개인적인 성장을 주관적인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본 Sastre의 삶의 질 결정 요인[16], 삶의 질 예측 변수로 개인의 수행하는 역할의 내용, 역할경험의 질의 중요성을 제시한 Barnett와 Baruch의 역할이론적 견해[17]를 근거로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즉, 중년남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그들이 수행하는 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경험의 질인 가족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정도에 영향을 미쳐 결국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수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모형 구축과 검정을 통하여 각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이를 통하여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향상 목적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의 중년 세대의 특징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출생한 현재 우리나라의 중년 세대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경험한 세대로서 가정과 사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에 따른 문제를 안고 있는 세대에 해당된다. 2010 인구주택총조사[1]에 의하면 40~59세의 중년기에 해당하는 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내국인 47,990,761명 중 14,769,607명으로 전체 내국인의 31%를 차지한다.
부담감과 중년기의 심리적 혼란이 중년남성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이러한 부담감과 중년기의 심리적 혼란으로 인해 중년남성들은 우울, 불안, 짜증, 피로, 자신에 대한 연민, 인생에 대한 전반적인 불행감을 느끼게 된다[4]. 중년남성의 우울감이 클수록 삶에 대한 만족정도는 낮아지며[4], 심한 우울감과 같은 정신건강의 악화는 자살로도 이어질 수 있다.
가정에서 중년남성의 시기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이 중 중년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년남성은 특히 이 시기에 신체적 쇠퇴를 자각하게 되며, 이런 신체적 변화에 따른 감정적 반응이나 심리적 혼란을 경험하기도 한다[2]. 가정적으로는 가족의 재조직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배우자, 자녀 및 노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여러 역할이 동시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문제와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 지금까지 가족부양체계를 책임지고 지내온 중년남성은 단지 직업역할에 충실한 것이 남편이나 아버지, 아들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믿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2011 [cited 2013 August 1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47687. 

  2. Jang MJ, Kim DS. "The impact of personal trai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working in large corpo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9, No. 2, pp.1-11, 2011. 

  3. Elsie W. The middle-aged adult. In P. M. Hill & P. Humphrey(Eds.)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out life: A Nursing Perspective." New York : Willey. 1982. 

  4. Lee JI, Kim KH, Oh S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5, No. 3, pp.422-431, 2003. 

  5.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4 [Internet]. 2015 [cited 2015 September 2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4853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6.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pp.117-124, 1976. 

  7. Andrew S, Michael M. "Burden of psychosocial adversity and vulnerability in middle age: Associations with biobehavioral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Psychosomatic Medicine. 65,pp.1029-1037,2003. 

  8. Park YR, Kwon HJ, Kim KH, Choi MH, Han SE.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9, pp.237-258, 2005. 

  9. Kim JY, Chung HJ.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adolescents." Minn Welfare. 13, pp.171-190, 2008. 

  10.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6, No. 3, pp.353-361, 2009. 

  11. Lee EA. "The relationships between middle-aged men's family and work related variable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6, No. 3, pp.547-562, 2007. 

  12. Kim EK, Ha KS.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811-820, 2013. 

  13. Desiree SAH, Thalita TASR, Pedro EAO, Luis OSS, Ana CAP, Carolina CSM, Raquel CF, Andrea MEBLM, Efigenia FF.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and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mental disorders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mong primary care worker. Revista de Atencao Primaria a Saude, Vol. 16, No. 3, pp.301-312, 2013. 

  14. Yoo H, Han HY, Oh HM, Park MJ.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on elderly women'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B), pp.469-483, 2015. 

  15. Kim GS, Yoon OH. "A study on the QOL of married working women: focused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effecting factor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 23, No. 2, pp.167-88, 2009. 

  16. Sastre Maria TM.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rules used in well-being judgements among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7, pp.203-231, 1999. 

  17. Barnett and Baruch. "Women's involvement in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9, pp.135-145, 1985. 

  18. Seo HY, Lee SH. "Father's job satisfaction and family satisfactio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amily Culture. Vo. 14, No. 3, pp.27-51, 2002. 

  19. Mo EH, Kim JH.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 14, No. 4, pp.887-900, 2002. 

  20. Choi JH. "Family stress, coping strategy and job satisfaction in dual-earner couples: Comparison of husband and wife in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3, No. 10, pp.55-68, 2005. 

  21. Hwang HW, Shin JY.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and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3, No. 14, pp.45-71, 2009. 

  22. Ha SH, Nam CH, Kwak HS, Sin, MH, Oh SY, Kim JH, & Lee, H.S. "Self-esteem as professionals influencing beauty artist's occup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osmetology. 15, pp.997-1011, 2009. 

  23. Moon S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725, Hakjisa, 2010. 

  24. Lee MS, Lee HK. "Gender difference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2, No. 1, pp.89-101, 1997. 

  25.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Journal of Yonsei University. 11, pp.107-129, 1974. 

  26. Kim Y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master's thesis]." p.86, Ewha Womans University, 1995. 

  27. Kim SB. "A study on bibliotherapy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for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dissertation]." p.151, Pyeongtaek University, 2010. 

  28. Kim YH, Shin HS.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model student family and the delinquent adolescent family." Korean Nurse. Vol. 29, No. 5, pp.69-83, 1990. 

  29. Kim, YH. "One study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djustment in middle-aged salaried men [masters thesis]." p.81, Korea University, 2000. 

  30. Kim SM, Kim EH.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injured workers : focusing on the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 26, No. 4, pp.389-411, 2015. 

  31. Yoo YS, Son HJ.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2, No. 4, pp.235-44, 2012. 

  32. Friedman SD, Greenhaus JH. "Work and family-allies or enemies? What happens when business professionals confront life choices." p.288,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3. Voydanoff P. "Incorporating community into work and family research: A review of basic relationships." Human Relations. 54, pp.1607-1637, 2001. 

  34. Greenhaus JH, Powell GN.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 31, No. 1, pp.72-92, 2006. 

  35. Yi MS. "The work-family interface and its relation to well-being: the role of positivity."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Vo. 21, No. 3, pp.371-41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