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앱 이용동기가 브랜드 태도와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n the Influence of Branded-app Usage and Motivation on Brand Attitude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eat Usag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5, 2016년, pp.157 - 163  

박근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  이철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  김진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가 시작되면서 소비자에게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등장하였고, 그 중 하나가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브랜드 앱이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앱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들의 브랜드 앱 이용행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40대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브랜드 앱 이용동기와 종속변수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이 브랜드 앱을 제작하고 배포할 때 소비자들은 브랜드 앱의 유용성이나 오락성, 디자인 요소에 좀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내용이 유용하면서 앱의 오락적 요소가 높을수록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를 잘 분석하고 반영하여야만 다양한 분야의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브랜드 앱 개발 시 경쟁 전략 수립 및 브랜드 앱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apid expansion of smart-phone based brand app and its marketing implementations, the marketers stake much resources in the success of brand apps so that they are able to reinforce the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repeat u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브랜드 앱은 기업에서 브랜드 홍보를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브랜드 앱 이용 동기 요인 중 가격을 제외한 편리성, 오락성, 유용성, 디자인을 브랜드 앱 이용 동기 요인으로 추출 하였으며, 이러한 이용 동기 요인을 기반으로 브랜드 앱 이용 동기와 만족도, 브랜드 태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만족도와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앱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수립하였다.
  • 본 연구는 브랜드 앱 이용 동기 요인을 추출함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인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 요인에서 브랜드 앱 이용 동기 요인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앱은 스마트폰 앱과 다른 특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먼저 브랜드 앱 이용 동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브랜드 앱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만족도 및 브랜드 태도와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비자들은 브랜드 앱의 유용성이나 오락성,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콘텐츠의 내용이 유용하면서 오락적 요소가 높을수록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브랜드 앱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만족도와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앱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브랜드 앱은 기업에서 브랜드 홍보를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이러한 소비자들의 브랜드 앱 이용 동기를 분석하고 반영함으로써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증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 앱 이용 동기를 분석하고 만족도 및 브랜드 앱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힘으로써 향후 브랜드 앱 개발 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브랜드 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기존의 광고와는 다른 가치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브랜드 앱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들의 브랜드 앱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앱 이용 동기를 추출하여 브랜드 앱 이용 동기와 브랜드 앱에 대한 만족도 및 브랜드 태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만족도 및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브랜드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 행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처럼 선행연구들이 브랜드 앱의 속성이나 마케팅 전략의 변화와 효과 측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이었다면, 본 연구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고려되는 요인 중 소비자의 브랜드 앱 이용 동기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스마트 폰은 애플리케이션을 찾고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통한 이용자의 능동적 이용행위가 나타나기 때문에 브랜드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따른 효과과정을 파악하는 것은 브랜드 앱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자리 잡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앱의 장점은 무엇인가? 브랜드 앱에는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등 다양한 체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사용자에게 매우 친숙하며 자신의 관심사와 기호에 맞게 모바일 기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해당 기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브랜드 체험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모바일 광고와 같이 광고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브랜드 앱에는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에 설치해놓고 수시로 사용하기 때문에 노출 효과가 크고[7] 고객으로 하여금 기업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와 구매의도를 높여주는 등 브랜드 홍보 효과가 커서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서 주목받고 있다[8]. 브랜드 앱에는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등 다양한 체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사용자에게 매우 친숙하며 자신의 관심사와 기호에 맞게 모바일 기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브랜드 앱이란 무엇인가? 브랜드 앱은 특정 브랜드나 기업이 직접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 모바일 광고와는 다르게 소비자 편익 및 정보 제공뿐 아니라 온·오프라인 체험을 통해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의 유용성과 가치를 느끼도록 하는데 최적화 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3]. 또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고 정보공유 및 감성적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 기반의 타겟 마케팅 수단으로 간주된다. 이제 소비자들은 제품을 보기 위해 직접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스마트 폰으로 관련 앱을 찾아 제품 정보를 얻고 구매하며, 기업들은 브랜드와 제품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의 앱을 개발하여 간결하면서도 재미있고 매력적으로 브랜드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MC Report, "Understanding the Current Issues and the Prospect of Mobile Application Environment". DMC Media, p.7, 2015. 

  2. Ha-na Lee,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visual factors brand awareness of Branded applications".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11, pp.104-446, 2012. 

  3. Hye-uk Chung,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Successful Branded Mobile Apps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for Consumer Brand Eng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vol. 13, no. 1, pp.35-54, 2015. 

  4. Young-Eun Sah, "Application, Getting to know the New Way of Communication at the tip of fingers". 2011. 

  5. Byung-hwa Yang, "The Effect of Branded- App's on Br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Mobile Ad Types and Utilitarian Benefits". Advertising Research, vol. 97, pp.282-308, 2013. 

  6. Jin-Kyoung Cho, "A Study of App Mar- keting on the Mobile Media-'4R' Branded Application Using Case Study".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ol. 9, no. 2, pp.317-326, 2011. 

  7. Young-Hwan Kim & Ji-een Kim, "App MArketing: New Ideas that Rule the Smart Market". Seoul: The Nan. 2010. 

  8. Hai-yong Liu, "The Effects of Brand Application's Attribut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A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13. 

  9. Byung-hwa Yang, "The Effect of Branded- App's on Br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Mobile Ad Types and Utilitarian Benefits". Advertising Research, vol. 97, pp.282-308, 2013. 

  10. Bellman Steven, Robert F. Potter, Shiree Treleaven-Hassard, Jennifer A. Robinson & Duane Varan. "The Effectiveness of Branded Mobile Pone App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25, pp.191-200, 2011. 

  11. Ye-Seul Choi, Mi-Young. "An Analysis of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 15, no.5, pp.129-143, 2011. 

  12. Seung-Hee Jang. "A Study on the Process of Advertising Acceptance and the Advertising Strategie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ers".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3.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etly, vol. 13, no. 3, pp.319-339, 1989. 

  14. D. H. Shin,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 acceptance of mobile wallet".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 25, no. 6, pp.1343-1354, 2009. 

  15. Seoung-Su Kim, "An Empirical Study on Users' Intention to Use Mobile Applications. A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2011. 

  16. Young-Kyun Choi, Ju-Ran Kim & Gi-Hoon Lee, "Profitability Analysis of Smart Phone Application Advertising by Acceptability Forecast", KOBACO, pp.109-111, 2010. 

  17. Moon-kyu Lee, Hyun-kyung Kim & Tae-young Kim, "The Effects of Brand Community on Consumer Attitude". Korea Marketing Review, vol. 19, no. 3, pp.197-224, 2004. 

  18. Byung-uk Park, Hyun-suk Suh & Youn-kue Na, "A Study on the Effects of Blog Characteristics on the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vol. 16, no.3, pp.1-40, 2008. 

  19. Zeithamel, V. A., Berry & A. Parasuraman. "The Behavioral consequence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vol. 60, no. 2, pp.31-46, 1996. 

  20. Yong-ki Lee, Yong-gin Pei, Nam-soo Yoon & Jong-hyun Park, "A Comparative Study on Purchase Motives and Satisfa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vol. 16, no. 3, pp.103-130, 2008. 

  21. Nam-soo Yoon, Yong-gin Pei, Jong-hyun Park, & Yong-ki Lee, "A Comparative Study on e-Satisfaction's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i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Shopping Mall".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vol. 13, no. 1, pp.189-209, 2011. 

  22.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 25, no. 3, pp.351-370, 1998. 

  23. Soo-hyun Kim, "Effects of Perceived Attribut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9, pp.318-32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