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신도시의 정체성과 경쟁력 조기확보를 위한 축제의 역할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내포신도시"의 경우를 중심으로 -
The Studies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festival for early securing of competitive identity in new urban city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aepo new city in Chungnam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5, 2016년, pp.411 - 420  

설기환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박명혜 (청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유석호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초록

충남의 도청이전이 추진되어 지역의 균형발전을 기본이념으로 하여 지형적으로 충남의 중심부인 홍성과 예산지역에 '내포신도시'가 조성 중에 있다. 2단계의 종료연도인 2015년의 목표달성이 거의 20%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 원인은 매우 복잡하겠지만, 중앙정부의 중앙정부기관이전과 세종특별자치시를 건립하면서 충남이 정책적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된 셈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차원의 혁신도시건설에 준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자체적으로 국 내외의 지역도시들이 축제를 통하여 지역의 브랜드와 경쟁력을 만드는 것처럼, '내포신도시'만의 정체성과 첨단산업단지를 안고 있는 글로벌 지역의 첨단기술이 아우르는 축제를 핵우산으로 삼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전략의 뒷받침이 되는 분석과 실질적으로 추진가능한 혁신전략과 축제의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하여 '내포신도시'의 현안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vement of Province Government Office of Chungcheongnam-do is pursued to balance regional development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Head Office was built in Naepo area(Hongsung & Yeasan)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ungnam geographically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tag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정지역과 유기농의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는 “풀무”를 예를 들어 축제의 방향성과 고려사항을 만족하는지 [Fig. 2]을 통해서 설명해 보고자 한다.
  • 전도시가 최고의 박물관형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방안을 제시해 본다. 자동차문화관, 인삼의 박물관형 유통센터, 디스플레이 과학관, 백제왕세자교육박물관, 충절인물 역사자료관을 마련하고 관련 연구기관을 병행하여 운영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ungchungnamdo, Homepage(Napo New City) http://www.naeponewtown.or.kr/ Mar. 20, 2016 Search 

  2. Regional Innovation Committee, Hompage http://www.innocity.or.kr Nov. 20, 2015 Search 

  3. Statistics Agency, "The statistics of Popular in Registration", 2015 

  4. Kim Su-Sin, "Administration Theory on City", Korean Broadcasting & Communication University, p60-63, 1997 

  5. Lee, Won-Kyung, "Study on Brand Identity Structur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Festival and Brand", Kyunggi University, p17-18, 2014 

  6. Hong, Yeop Mun, Yu-Jin, Kim, Chul-Won, "Comparative Study on Measuring the City Brand Personality for Convention Destination", The Study on Tourism & Leasure, 27-9, p79-81, 2015 

  7. Kim, Kyung-Tae, "Content Develope plan to activate Tourism in Napo Culture area in Chungnam", Chungnam Deveoptment Institute, p180, 2011, 

  8. Lee, Won-Kyung, "Study on Brand Identity Structur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Festival and Brand", Kyunggi University, p78-79, 2014 

  9. Chungceongnamdo, "Third Rebuilding Plan of 4 Bloc Development in Chungchungnamdo", 2008 

  10. Chungcheongnamdo, 2015 Statistics in Chungnam, 2015 

  11. Korea Culture & Tourism Research Insititute, "Study on Cultural Infrestructure & City Curture of Naepo New city in Chungcheongnamdo", p168-171, 2008 

  12. Jang, Kyung-Ho, "A analysis for the utilization of regional festivals", Hansung Uinversity, p40-42, 2015 

  13. Oh, Hun-Sung, "Increasing of Regional Festival on 20th of Culture & Tourism Festival Support", Region Development Institute vol.21 (2015, Autumn), p104-105, 2015 

  14. Korean Future Foundation, "Staitus and Problems of Korean Regional Festival", Korean Future Report No.286, ,169, 2012 

  15. Naepo, Festival of Flower & Dron 2015 Homepage Dec. 15, 2015 Research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festiv al/festival.jsp?cid2031304 

  16. Jung Ji-Eun, "(The)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storytelling of local arts festival on visitors' satisfaction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local arts festival brand equity", Seonggunkwan University, p61-64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