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정에 의한 신품종 다래 '오텀센스'의 과실 특성
Fruit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 'Autumn sense' of Hardy Kiwi (Actinidia arguta) by Stem Pruni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73 - 77  

김철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김재희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박영기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래의 결과지 길이에 따른 다래 과실수와 과실무게를 조사하여 결과지와 과실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다래의 결과지가 15 cm 이하와 30 cm 이상의 경우, 평균 무게와 평균과실수는 각각 11.7 g과 12.3 g 그리고 4.6개와 13.8개였다. 그 결과 15 cm 미만의 결과지는 불량한 과실특성결과를 가져오므로 동계전정시 제거하여야 한다. 전정이 다래 과실등급별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정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모지는 80개, 결과모지의 80%를 자르는 강전정 처리구에서는 과실 총 생산량이 본당 평균 $14.3{\pm}1.5kg$이었으며, 이중 대과(15 g 이상)이 $8.2{\pm}0.9kg$, 중과(10~15 g)이 $4.0{\pm}0.7kg$ 그리고 소과(10 g 이하)이 $2.1{\pm}0.3kg$ 생산되었다. 무처리구에서는 과실 총 생산량이 본당 평균 $26.7{\pm}2.1kg$이었으며, 이중 대과는 $2.5{\pm}0.5kg$, 중과 $19.2{\pm}1.4kg$ 그리고 소과 $5.0{\pm}0.6kg$ 생산되었다. 특히, 전정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15 g 이상 대과의 무게분포를 보면 무처리구는 대부분 15~16 g의 과실이 분포하였으나, 전정처리구는 15~20 g 이상까지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15 g 이상의 대과 생산이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생과용 대과 및 특과 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동계전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of fruit number and fruit weight according to the length of bearing branch of Actinidia arguta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 the length of bearing branch and fruit characteristics. The fruit weight and the fruit number of A. arguta bearing branch which leng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동계전정 시 우선 제거해야 할 결과 모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결과지 종류에 따른 결과특성을 조사하였고, 대과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전정처리 후 과실의 등급별 생산량을 조사 분석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래와 키위의 차이점과 다래의 특징은? , 2007). 다래는 키위(A. deliciosa) 와 달리 과피에 털이 없고, 즙이 많고 향기가 키위보다 뛰어나 시장에서 생식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Fisk et al., 2006), 과실의 크기가 작고 과피가 부드러워 껍질째 식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Fisk et al., 2008).
다래란?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의 덩굴식물로 비타민 C가 풍부하고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산과실이다(Park et al., 2007).
다래를 전정을 통해 수형을 관리할때 어느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가? 덩굴성 식물인 다래는 전정을 통해 수형을 관리하지 않으면 짧은 기간 내에 가지가 번무하여 집약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정은 과실의 품질과 생산 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Miller et al., 2001; Thorp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iasi, R., Costa, G., and Manson, P.J. 1993. Light influences o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quality. Acta Horticulturae 379: 245-251. 

  2. Chung, K.H. and Ko, K.C. 1988.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berry set in 'Kyoho' grape. Seoul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Agriculural Science 13(2): 27-36. 

  3. Fisk, C.L., McDaniel, M.R., Strik, B.C., and Zhao, Y. 2006. Physicochemical, sensory, and nutritive qualities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Ananasnaya') as affected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Journal of Food Science 71(3): 204-210. 

  4. Fisk, C.L., Silver, A.M., Strik, B.C., and Zhao, Y. 2008. Postharvest quality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Ananasnaya') associated with packaging and storage condition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47(3): 338-345. 

  5. Kim, C.W., Oh, S.I., Kim, M.J., and Park, Y.G. 2014. Optimal harvest time by the seasonal fruit quality and ripening characteristics of hardy Kiwifruit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353-358. 

  6. Kim, G.S., Choi, D.G., and Song, J.H. 2011. Effect of summer pruning by thinning, twisting, and cutting on growth and fruit quality in peach (Prunus persica). Journal of Agriculture & Sciences 42(2): 20-26. 

  7. Kim, Y.H., Rno, I.R., Koh, S.W., Choi, Y.H., and Kim, C.M. 2006. Effects of pruning time and defruiting of satsuma mandarin tree with off-year growth on the flowering and quality during next year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4(3): 342-346. 

  8. Kumar, M., Rawat, V., Rawat, J.M.S., and Tomar, Y.K. 2010. Effect of pruning intensity on peach yield and fruit quality. Scientia Horticulturae 125(3): 218-221. 

  9. Lee, U., Kwon, Y.H., Byun, K.O., Kim, M.J., and Hyun, J.O. 2008. Effect of the heading back pruning on flowering, fruiting, and nut qualities of chestnut trees (Castanea spp.).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7(3): 221-228. 

  10. Miller, S.A., Broom, F.D., Thorp, T.G., and Barnett, A.M. 2001. Effects of leader pruning on vine architecture,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in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cv. Hayward). Scientia Horticulturae 91: 189-199. 

  11. Park, D.S., Choi, S.T. Kim, S.C., and Kang, S.M. 2008. Yield, fruit quality, and branch extension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the length of bearing mother branch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6(2): 101-105. 

  12. Park, S.J., Kim, J.G., Jung, S.M., Noh, J.H., Hur, Y.Y., Ryou, M.S., and Lee, H.C. 2010. Relationship between berry set density and fruit quality in 'Kyoho' grap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6): 954-958. 

  13. Park, Y.S. and Park, M.Y. 1997. Effects of time and degree of fruit thinning on the fruit quality, yield and return bloom in kiwifru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lticultural Science 38(1): 60-65. 

  14. Park Y.K., Jang Y.S., Lee, M.H., and Kwon O.W. 2007.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ree cultivars of Actinidia argu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5): 580-584. 

  15. Snelgar, W.P., Hopkirk, G., Seelye, R.J., Martin, P.J., and Manson, P.J. 1998. Relationship between canopy density and fruit quality of kiwifruit. New Zealand Journal of Crop and Horicultural Science 26: 223-232. 

  16. Song, G.C. and Ko, K.C. 1999. Effects of pruning and dbudding on the growth, nutrition and berry setting of Vitis labruscana B. cv. Kyoho. Journal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40(2): 221-224. 

  17. Thorp, T.G., Ferguson, I.B., Boyd, L.M., and Bamett, A.M. 2003. Fruiting position, mineral concentration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pitting in 'Hayward' kiwifruit.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78(4): 505-511. 

  18. Volz, R.K., Gibbs, H.M., and Lupton, G.B. 1991. Variation in fruitfulness among kiwifruit replacement canes. Acta Horticulturae 297: 443-449. 

  19. Zhang, S., Li, B., Liu, Y., Zhang, L., Wang, Z., and Han, M. 2011. Fractal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images of 'Fuji' apple trees trained to two tree configurations after their winter pruning. Scientia Horticulturae 130(1): 102-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