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인자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122 - 131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센터)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해 기후인자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본잎갈나무의 연도별 생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자료에서 수집된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한편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정리된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 자료를 시군 단위로 정리하였다.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일본잎갈나무의 시군별 연륜생장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 6 개의 기후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연륜생장 자료에 대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 절차를 통해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제작하였다.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은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 자기상관계수, 신호 대 잡음비, 신호강도와 같은 기초통계량 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군집별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limatic variable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by dendroclimatological method. For this, annual tree-ring growth data of Larix leptolepis collected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were first org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해 기후인자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임목조사 자료에 포함된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의 하나인 일본잎갈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인자가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본잎갈나무 분포지역의 기후특성을 반영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제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통해 수집한 목편생장 자료에 연륜기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기후-연륜생장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반응함수(response function) 분석을 통하여 일본잎갈나무의 군집별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반응함수는 기후와 연륜생장의 관계를 표현하는 생물학적 모델로 1970년대 초 Fritts(1976)가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의 저자는 어떤 방식으로 기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는가? 기후 군집분석은 연륜생장의 특성이 유사한 기후군집 범위로 구분하여 기후인자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륜생장 목편이 채취된 시군의 기후특성을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로 환산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Kim, 2011). 일본잎갈나무 연륜생장 자료가 30개 이상 수집된 21개 시군의 월평균기온과 월강수량의 유사성에 근거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에 근거하여 기후권역으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 기후인자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인자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는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와 연륜생장 자료가 채취된 시군의 1950년부터 2010년까지 61년 동안의 월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자료이다. 일본잎갈나무 연륜생장 자료는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전국 단위로 수집하여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Korea Forest Service, 2012), 기후자료는 기상청에서 래스터 형태로 제공하는 각 연도의 일별 자료를 월별로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임목의 연륜생장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최근 범지구적 기후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임업분야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임목의 연륜생장은 생장기의 기후 및 환경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Choi et al., 1992; Lee,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bert, M. and Schmidt, M. 2010. Climate-sensitive modelling of site-productivity relationships for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nd common beech (Fagus sylvatica 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739-749. 

  2. Baquedana, F.J. and Castillo, E.J. 2007. Drought tolerance in the Mediterranean species, Quercus coccifera, Quercus ilex, Pinus halepensis, and Juniperus phoenicea. Photosynthetica 45: 229-238. 

  3. Box, G.E.P., Jenkins, G.M., and Reinsel, G.C. 1994. Time series analysis-forecasting and control.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pp. 297. 

  4. Briffa, K.R. 1984. Tree-climate relationships and dendroclimatological reconstruction in the British Isles. University of East Anglia Ph.D Dissertation pp. 148. 

  5. Briffa, K.R. and Jones, P.D. 1990. Basic chronology statistics and assessment. pp. 137-152. In : E.R. Cook and L.A. Kairiukstis, ed. Methods of Dendrochronology: Applications in the Environmental Scien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echt (Netherlands) pp. 486. 

  6. Choi, J.N., Yu, K.B., and Park, W.K. 1992. Paleoclimate reconstruction for chungbu mountainous region using tree-ring chronology.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6(1): 2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g, Y.G., Lee, B.W., and Park, N.C. 1982.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survival percent, diameter growth and height growth for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A case of Jinhae-g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ceedings 21: 117-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ook, E.R., 1985. A time series analysis approach to tree ring standardiza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pp. 171. 

  9. Cook, E.R. and Cole, J. 1991. On predicting the response of forests in eastern North America to future climatic change. Climatic Change 19: 271-282. 

  10. Cook, E.R. and Holmes, R.L. 1986. Users manual for program ASTAN. pp. 50-65. In : R.L. Holmes, R., K. Adams and H. C. Fritts, ed. Tree-ring chronologies of southern North America: California eastern Oregon and Northern Great Basin with procedures used in the chronology development work including users manuals for computer programs COFECHA and ARSTAN, Chronology series VI. Laboratory of tr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Arizona. Arizona (USA). pp. 182. 

  11. Fritts, H.C. 1976. Tree Rings and Climate.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p. 567. 

  12. Fritts, H.C. and Swetnam, T.W. 1989. Dendroecology:a tool for evaluating variations in past and present forest environments. In: Begon, M., A. H. Fitter, E. D. Ford, and A. Macfadyen, ed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Vol. 19. Academic Press, London. pp. 111-188. 

  13. Guiot, J. 1991. The bootstrapped response function. Tree-Ring Bulletin 51: 39-41. 

  14. Haston, L., Davis, F.W., and Michaelsen, J. 1988. Climate response functions for bigcone spruce: A mediterranean climate conifer. Physical Geography 9: 81-97. 

  15. Holmes, R.L. 1983. Computer-assisted quality control in treering dating and measurement. Tree-Ring Bulletin 43: 69-78. 

  16. Huang, J., Tardif, J.C., Bergeron, Y., Denneler, B., Berninger, F., and Giraedins, M.P. 2010. Radial growth response of four dominant boreal tree species to climate along a latitudinal gradient in the estern Canadian boreal forest. Global Change Biology 16: 711-731. 

  17. Kim, C.R. 2011. SAS Data Analysis. 21th Century Book Co. pp. 663. (in Korean) 

  18. Kira, T. 1976. Terrestrial Ecosystem. Kyoritsu Shuppan. Tokyo (Japan). pp. 166. 

  19. Koo, K.A., Park, W.K., and Kong, W.S. 2000. Growth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nd climatic factors at Mt. Maejang, Korea.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4(1): 6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oo, K.A., Park, W.K., and Kong, W.S. 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annual ring growth of main forest tree species and climatic factors. pp. 125.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1992. Trees of Korea. Sumok Book Co. pp. 562. (in Korean) 

  23. Korea Forest Service. 2012. Tree-ring DB Construction. pp. 299. (in Korean) 

  24. Lee, G.J. 1993.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04. (in Korean) 

  25. Lee, S.T., Park, M.S., Jun, H.M., Park, J.Y., and Cho, H.S. 2008.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77-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ish, R., Antos, J.A., and Hebda, R.J. 1999. Tree-ring patterns in an old-growth, subalpine forest in southern interior British Columbia. pp. 231-248. In : Wimmer, R. and R.E. Vetter ed. Tree-ring analysis: biological, method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CABI. New York, USA pp. 345. 

  27. Park, S.G., Joo, S.H., Lee, K.H., and Park, W.K. 2010.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s of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s of Baekdudaega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5): 3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Y.A. and Kong, W.S. 2001.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aspects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64. (in Korean) 

  29. Park, W.K., Seo, J.W., Liu, Y., Kim, Y.J., and Han, S.W. 2001. Reconstruction of April-August precipitation in Mt. Sorak region from tree rings.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5(1): 47-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ander D.H. 1971. Soil properties and siberian elm tree growth in Nebraska wind-break. Soil Science 112(5): 357-363. 

  31. Seo, J.W. and Park, W.K. 2010.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 growths of mongolian oaks with variou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Mt. Wora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3): 36-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hin, C.S. 2006. Pattern and correlation of climatic factors with diameter growth for Quercus species based on treering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3): 145-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hin, M.Y., Chung, S.Y., and Lee, D.K. 2001. Estimation of microclimate by site typ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relation between periodic annual increment of diameter and the microclimatic estimates -A case study on the national forest in Pyungchung, K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44-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on, B.H., Kim, J.H., Nam, T.K., Lee, K.H., and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Technology 39(3): 213-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Son, Y.M. and Chung, Y.G. 1994. The Effects of the topographical, Soil and Meterological Factors on the Tree Height Growth in the Pinus thunbergii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3(3): 380-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Speer, J.H. 2010.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Arizona (USA). pp. 368. 

  37. Szeicz, J. and MacDonald, G.M. 1994. Age-dependent treering growth responses of subarctic white spruce to climat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4: 120-132. 

  38. Vieira, J., Campelo, F., and Nabis, C. 2009. Age-dependent responses of tree-ring growth and intra-annual density fluctuations of Pinus pinaster to Mediterranean climate. Trees 23: 257-265. 

  39. Wigley, T.M.L., Briffa, K.R., and Jones, P.D. 1984. On the average value of correlated time series with applications in dendroclimatology and hydrometeorology.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3(2): 201-213. 

  40. Woodward, F.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pp. 174. 

  41. Woodward, F.I. and Rochefort, L. 1991. Sensitivity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to environmental change.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Letters 1: 7-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