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장년층과 노년층 복합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2013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활용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s and Elderly with Multimorbiditiy: A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3 Korea Health Panel Dat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358 - 369  

조순영 (국군간호사관학교) ,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보현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young adults and elderly with multimorbidity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Using a descri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장년층과 노년층 복합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의 상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 규명을 통해 만성질환의 복합만성질환으로 이환을 막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 의료라는 개념이 만성 질환자들을 위해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일차보건의료에서의 복합질환(multimorbidity)과 삶의 질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신체영역의 삶의 질과 질환의 수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4개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은 사회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의 삶의 질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또한, 보건의료체계의 접근성을 의미하는 미충족의료는 대상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지 못하여 질병 중증도와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질병의 예후도 나빠질 수 있어, 만성질환자에게는 중요한 개념이다.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관적인 건강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 수라는 객관적인 건강상태 차이에 따라 미충족 의료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
삶의 질이란? 삶의 질은 개인이 얼마나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는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개인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건강상태의 영향은 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에서 복합적인 개념이다[7]. 일차보건의료에서의 복합질환(multimorbidity)과 삶의 질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신체영역의 삶의 질과 질환의 수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4개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은 사회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의 삶의 질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미충족의료이란? 일차보건의료에서의 복합질환(multimorbidity)과 삶의 질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신체영역의 삶의 질과 질환의 수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4개 이상의 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은 사회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의 삶의 질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또한, 보건의료체계의 접근성을 의미하는 미충족의료는 대상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지 못하여 질병 중증도와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질병의 예후도 나빠질 수 있어, 만성질환자에게는 중요한 개념이다.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관적인 건강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 수라는 객관적인 건강상태 차이에 따라 미충족 의료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reform: Meeting the challenge of ageing and multiple morbiditie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1. 226 p. 

  2. Kim CH, Hwang I, Yoo WS. The common patterns of multimorbidity and its impact on healthcare cost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24(3):219-227. http://dx.doi.org/10.4332/KJHPA.2014.24.3.219 

  3. Barnett K, Mercer SW, Norbury M, Watt G, Wyke S, Guthrie B. Epidemiology of multimorbidit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Cross-sectional study. Lancet. 2012;380(9836):37-43. http://dx.doi.org/10.1016/S0140-6736(12)60240-2 

  4. Lehnert T, Heider D, Leicht H, Heinrich S, Corrieri S, Luppa M, et al. Review: Health care utilization and cost of elderly person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2011;68(4):387-420. http://dx.doi.org/10.1177/1077558711399580 

  5. Starfield B, Lemke KW, Herbert R, Pavlovich WD, Anderson G. Comorbidity and the use of primary care and specialist care in the elderly.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5;3(3):215-222. http://dx.doi.org/10.1370/afm.307 

  6. van Oostrom SH, Picavet HS, de Bruin SR, Stirbu I, Korevaar JC, Schellevis FG, et al. Multi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general practice. BioMed Central Family Practice. 2014;15:1-9. http://dx.doi.org/10.1186/1471-2296-15-61 

  7. Nam SK, Shim O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3:196-216. 

  8. Chung ES, Park MJ. Factor influencing unmet medical need of elders with chronic disease. The 3rd Korea Health Panel Conference; 2011 December 1;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Seoul: Korea Health Panel; 2011. 522 p. 

  9. Park S. Associations with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14;25(2):249-258. 

  10. Jung YH. A report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1;182:6-14. 

  11. van den Bussche H, Koller D, Kolonko T, Hansen H, Wegscheider K, Glaeske G, et al. Which chronic diseases and disease combinations are specific to multimorbidity in the elderly? Results of a claims data based cross-sectional study in Germany. BioMed Public Health. 2011;11:1-9. http://dx.doi.org/10.1186/1471-2458-11-101 

  12. Goodman RA, Posner SF, Huang ES, Parekh AK, Koh HK. Defining and measuring chronic conditions: Imperatives for research, policy, program, and practice. Preventing Chronic Disease. 2013;10:1-16. http://dx.doi.org/10.5888/pcd10.120239 

  13. Ferrans CE, Zerwic JJ, Wilbur JE, Larson JL.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5;37(4):336-34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5.00058.x 

  14. Korea Health Panel. Survey design: Sampling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anel. 2015 [cited 2016 May 17]. Available from: http://www.khp.re.kr:444/ver_2/02_josa/josa01.jsp 

  15. Lee SH, Yang SO. The effec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1):21-30.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1.21 

  16. Nam HS, Kim KY, Kwon SS, Ko KW, Kind P.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 method. Research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17. Fortin M, Lapointe L, Hudon C, Vanasse A, Ntetu A, Maltais D. Multimorbididty and quality of life in primary care: A systematic review. BioMed Cent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4;2:1-12. http://dx.doi.org/10.1186/1477-7525-2-51 

  18. Lim JH.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3;34:237-256. 

  19. Kim KS, Lee HO.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needs depending on the types of health care system. Social Welfare Policy. 2012;39(4):255-279. http://dx.doi.org/10.15855/swp.2012.39.4.255 

  20. Joung EO, Kwon SB, Ahn OH. Coping with experiences in multiple chronic diseases in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7;18(1):32-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