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 대권역 대표 멸종위기 담수어류의 분포 특성 및 이화학적 수질-하천 생태건강도와의 관계분석
Distributions of Endangered Fish Species and Their Relations to Chemical Water Quality-Ecological Stream Health in Geum-River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6, 2016년, pp.986 - 995  

이상재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권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담수어류의 분포, 이들 종에 대한 화학적 지표와의 관계 및 물리적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금강 대권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의 개체수는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퉁사리(Liobagrus obesus), 미호종개(Iksookimia choii) 순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어류인 감돌고기는 금강 대권역 내 18개 하천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향후 감돌고기의 I급 어종 선정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초강 중권역에서 멸종위기어종이 총 4종 384개체가 채집되어 종수 및 개체수가 풍부하였다. 멸종위기어종 서식지에서 이화학적 수질내성도 분석에 따르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총인(TP)은 각각 매우 좋음(Ia), 좋음(Ib)으로 평가 되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NH_{4+}$), 총질소(TN), 인산염 인($PO_{4^-}P$) 등의 수질 항목도 멸종위기종 비 출현지점에 비해 훨씬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호종개의 경우 수질의 내성범위가 다른 어종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나타나, 화학적 수질특성이 크게 악화되지 않을 경우 수질특성 보다는 미소서식처의 하상구조, 수리수문학적 특성 등의 물리적 서식지 조건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멸종위기종의 분포는 1~3차의 소형하천보다 4~6차 대형하천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하천의 상류 및 중상류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종 미출현지역과 출현지역의 생태건강도 다변수 평가모델 값은 각각 21.6 "보통상태(Fair)" 및 30.5 "양호상태(Good)"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를 보여, 생태건강도가 잘 유지된 곳에서 멸종위기종이 잘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요약해 보면, 감돌고기와 같은 어종의 멸종위기종 선정에 대한 재평가가 향후 필요하며, 수질오염 및 서식지교란이 가속화되고 있어 멸종위기종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endangered fish species and elucidate their relations on chemical water quality, physical habitat conditions and ecological stream health. The dominant species in the watershed was Pseudopungtungia nigra (Pn), Gobiobotia macrocephala (G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하천차수가 증가하여 하천의 크기가 커져도 멸종위기종의 감소는 보이지 않고, 오히려 높은 하천차수에서 더욱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멸종위기종이 출현한 지점의 경우 이화학적 수질 오염 및 수계교란이 미미하고 어류 서식지가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강 대권역의 이화학적 수질내성도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또한 초강 중권역에서 멸종위기어종이 총 4종 384개체가 채집되어 종수 및 개체수가 풍부하였다. 멸종위기어종 서식지에서 이화학적 수질내성도 분석에 따르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총인(TP)은 각각 매우 좋음(Ia), 좋음(Ib)으로 평가 되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NH_{4+}$), 총질소(TN), 인산염 인($PO_{4^-}P$) 등의 수질 항목도 멸종위기종 비 출현지점에 비해 훨씬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호종개의 경우 수질의 내성범위가 다른 어종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나타나, 화학적 수질특성이 크게 악화되지 않을 경우 수질특성 보다는 미소서식처의 하상구조, 수리수문학적 특성 등의 물리적 서식지 조건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 생태계에서 어류의 역할은? 우리나라 담수생태계에는 약 200여종의 어류가 살며, 이중 50여종이 한국 고유종이다. 어류는 물속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담수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조절하며, 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An et al., 2001a).
금강 대권역에서 채집된 대표 멸종위기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금강 대권역에서 채집된 대표 멸종위기종(Endangered species)은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미호종개(Iksookimia choii), 퉁사리(Liobagrus obesus)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기간 동안 총 1,322개체가 채집되었다(Table 1). 금강수계의 총 13개 중권역 27개 하천에서 멸종위기 어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초강 중권역의 2개하천에서 4종 384개체가 채집되어 가장 많은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n, K. G., D. H. Yeom and S. K. Lee (2001a)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 Environ. Biol. 19(4): 261-2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n, K. G., S. H. Jung and S. S. Choi (2001b)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using the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 Limnol. 34(3):153-1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An. K.G., J. Y. Lee, D. Y. Bae, J. H. Kim, S. J. Hwang, D. H. Won. J. K .Lee and C. S. Kim (2006) Ecological assessments of aquatic environment using multi-metric model in major nationwide stream watershe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796-8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ng, I. C., I. R. Lee and M. H. Ko (2012) Distribution status and estimation of population size of the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Geum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4(1):56-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Barbour, Michael T., Jeroen Gerritsen, Blaine D. Snyder, and James 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13pp. 

  6. Groombridge. B. (1992)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IN 'Global biodiversity'. Chapman & Hall. London 

  7.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Fisheries 6: 21-27. 

  8. Kim J. Y. and K.G. An (2014) Microhabitat Analysis of Endangered Species (I), Cobitis choii with Rapid Decreases of Population by Environmental Pollution for a Habitat Replac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4):271-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I.S. and J.Y.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in Korean) 

  10. Lee, J.H. , Y.P. Hong and K.G. An (2007) Multi-metric index assessments of fish mode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index with the health index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 Limnol. 40(2):327-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Oh, K.W.and N.C. Kim (1980) Effect of pH and ammonia on the rate of nitrification of cheong-gye cheon sewage water Korean J. Limnol. 13(3):1-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anders RE, Milter RJ, Yondr CO, Rankin ET.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i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DELT anomalie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a case study of seven Ohio streams. In: Simon TP, editor.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Washington, DC, USA: CRC Press; p. 225-45. 

  13. Son Y. M. and H.B, Song (2006) Freshwater fishes of Geum river, Korea. Jisung Press (in Korean) 

  14.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etr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15.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on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