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 등급 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Threatened Assessment of Endangered Species,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8 no.3, 2016년, pp.186 - 191  

고명훈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의 분포 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와 경상북도 등에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71개 조사지점 중 21개 하천 (지점)에서 854개체가 채집되었다. 과거 30여 년 동안 가시고기는 23개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이 지점들에 대한 본 조사 결과 12개 하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는 등 서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하천 하류의 소 (pool)가 형성되고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서식지 및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와 작은 점유 면적 ($84km^2$) 등으로 위기 (EN)[B2ab(ii,iii,iv,v)]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bution status and threatened assessment of endangered species,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etc.,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854 individual P. sinensis were collected from 21 of 71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0), Yoon (2007), ME (1997~2008) 등이 있으나 대부분 큰 하천 위주로 조사가 진행되어 가시고기의 분포 및 서식현황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시고기의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분포범위 및 서식현황을 밝히고 멸종위협 정도를 평가하여 보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출현 지역을 조사한 결과 가시고기가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된 곳은? 1B, Table 1). 이 중 광정천과 해송천, 주수천, 임원천은 개체수가 100개체 이상씩 채집된 집단서식지였으며, 오호천과 문암천, 상운천, 해송천, 마상천, 궁촌천, 임원천, 부구천, 금곡천 9개 지점은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되었다. 신규로 확인된 하천들은 모두 소규모 하천들로 본 조사에서 소하천까지 조사하였기 때문에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과거 30여 년 동안 가시고기는 23개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이 지점들에 대한 본 조사 결과 12개 하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는 등 서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하천 하류의 소 (pool)가 형성되고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서식지 및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와 작은 점유 면적 ($84km^2$) 등으로 위기 (EN)[B2ab(ii,iii,iv,v)]로 평가되었다.
가시고기란?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는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러시아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형 어류로(Kim, 1997; Kim and Park, 2007), 최근까지 아종 P. pungitius sinensis (Chyung, 1977) 또는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yeon, H.K. and J.K. Oh. 2015. Fluctuation of fish community and inhabiting status of introduced fish in Gangnungnamdae Stream,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 718-728. (in Korean) 

  2. Chae, B.S. 1988. Classification on the Eightspine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82pp. (in Korean) 

  3. Chae, B.S. and B.K. Seo. 2003. Phylogenetic study on the genus Pungitius (Pisces: Gasterosteidae) populations by RAPD analysis. Korean J. Ichthyol., 15: 12-18. 

  4. Chae, B.S. and H.J. Yang. 1988. Comparison of the morphology between two populations of eightspine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kaibarae (Tanaka). Korean J. Limnol., 21: 79-91. (in Korean) 

  5. Chae B.S. and H.J. Yang. 1990. Sexual dimorphism of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 Korean J. Zool., 33: 260-265. (in Korean) 

  6. Choi, K.C., S.R. Jeon, I.S. Kim and Y.M. Son. 1990.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Ltd., Seoul. 277pp. (in Korean) 

  7.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727pp. (in Korean) 

  8.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 Midl. Nat'l., 67: 477-504. 

  9. Hwang, D.S., H.B. Song and J.S. Lee. 2012.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Amur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formes, Gasterosteidae). Mitochondrial DNA, 23: 293-294. 

  10. IUCN. 1994. IUCN Red List Categories.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21pp. 

  11.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Species Survival Comission. IUCN, ii+30pp. 

  12. Jeon, S.R. 1987. Studies on the key and distributions of the Cottid and Gasterosteid pheripheral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Sangmyungwomans University Symposium, 19: 549-576. (in Korean) 

  13. Kani, T. 1944. Ecology of Torrent-inhabiting Insects. In: Furukawa, J. (ed.), Insect I. Kenkyu-sha, Tokyo, pp. 171-317. (in Japanese) 

  14. Kim, C.H., K.E. Hong, J.H. Kim and K.H. Kim. 2006a. Ichthyofauna in Yeongok Stream, Gangneung, Korea. Korean J. Ichthyol., 18: 244-250. (in Korean) 

  15. Kim, C.H., W.O. Lee, K.E. Hong, C.H. Lee and K.H. Kim. 2006b.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Namdae Stream, Korea. Korean J. Ichthyol., 18: 112-118. (in Korean) 

  16.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Yeongi, 518pp. (in Korean) 

  17. Kim, I.S. and J.Y. Park. 2007.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467pp. (in Korean) 

  18. Kim, I.S., C.H. Yoon and J.H. Lee. 1989. Morphological variation and karyotype of the Korean species of sticklebacks, (Pisces, Gasterosteidae) in Korea. Korean J. Syst. Zool., 5: 107-119. 

  19. Kim, Y.U., J.G. Myung, K.H. Han and J.R. Koh. 1996. The fish fauna of Namdae Stream in Kangreung, Korea. J. Korean Fish. Soc., 29: 262-266. (in Korean) 

  20. Ko, M.H., S.J. Moon and I.C. Bang. 2013a.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Baebong Stream. Korean J. Ecol. Environ., 192-204. (in Korean) 

  21. Ko, M.H., S.J. Moon, Y.K. Hong, G.Y. Lee and I.C. Bang. 2013b. Distribution statu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Lethenteron reissneri (Petromyzontiformes: Petromyzont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25: 189-199. (in Korean) 

  22. Lee, J.H. 2001. The Comparison of the Reproductive Behavior between Pungitius sinensis sinensis and P. sinensis kaibarae in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38pp. (in Korean) 

  23. Lee, W.O., M.H. Ko, J.M. Baek, D.H. Kim, H.J. Jeon and K.H. Kim. 2010.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Buk Stream of Goseong, Korean J. Ichthyol., 22: 238-248. (in Korean) 

  24. ME (Ministry of Environment). 1997-2008. Nation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Freshwater fish. 

  25.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Enforcement of Wildlife Laws (Law No. 7167). (in Korean) 

  26.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Conservation and Management Laws of Wildlife (Law No. 10977). (in Korean) 

  27. Nam, M.M., Y.H. Kang, B.S. Chae and H.J. Yang. 2002. On the geographical dis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in the Gagog and Maeup Streams flowing int the East Sea, Korea. Korean J. Ichthyol., 14: 269-277. (in Korean) 

  28.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Fishe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202pp. (in Korean) 

  29.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 area (Eastern GOP Region). 192pp. (in Korean) 

  30. Sala, O.E., F.S. Chapin, J.J. Armesto, E. Berlow, J. Bioomfield, R. Dirzo, H.S. Elisabeth, L.F. Huenneke, R.B. Jackson, A. Kinzig, R. Leemans, M.L. David, H. Mooney, A.O. Martin, N.L. Poff, T.S. Martin, B.H. Walker, W. Marilyn and D.H. Wall. 2000. Global biodiversity scenarios for the year 2100. Science, 287: 1770-1774. 

  31. Sutherland, W.J., W.M. Adams, R.B. Aronson, R. Aveling, T.M. Blackburn, S. Broad, G. Ceballos, I.M. Cote, R.M. Cowling, G.A.B. Da fonseca, E. Dinerstein, P.J. Ferraro, E. Fleishman, C. Gascon, M. Hunter Jr., J. Hutton, P. Kareiva, A. Kuria, D.W. Macdonald, K. Mackinnon, F.J. Madgwick, M.B. Mascia, J. Mcneely, E.J. Milnergulland, S. Moon, C.G. Morley, S. Nelson, D. Osborn, M. Pai, E.C.M. Parsons, L.S. Peck, H. Possingham, S.V. Prior, A.S. Pullin, M.R.W. Rands, J. Ranganathan, K.H. Redford, J.P. Rodriguez, F. Seymour, J. Sobel, N.S. Sodhi, A. Stott, K. Vance-borland and A.R. Watkinson. 2009. One hundred questions of importance to the conservation of global biological diversity. Conserv. Biol., 23: 557-567. 

  32. Takahashi, H., K. Tanaka and A. Gato. 2001. Phylogeography of lateral plate dimorphism in the freshwater type of ninespine sticklebacks, genus Pungitius. Ichthyol. Res., 48: 143-154. 

  33. Yoon, J.D. 2007.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genus pungitius.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42pp.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