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남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mong Married Me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2, 2016년, pp.99 - 117  

김유경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  구혜령 (광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k-family interactions of married m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se interaction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and those affecting work-family enhanc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9 married men. The major finding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과 가정생활 간의 균형문제가 더 이상 여성만의 문제가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일과 가정생활 간의 균형문제는 더 이상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다. 여성의 취업이 늘어나면서 많은 남성이 더 이상 유일한 생계부양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 않게 되었으며, 남성에 대한 가정생활에의 참여 요구가 점차 높아져 왔다. 한편 최근에는 남성의 일과 가정의 조화에 대해 가정생활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서 남성 개인의 행복이라는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대한 영향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무엇을 알 수 있었는가?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대한 영향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남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은 개인의 가족과 일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의 변화, 남성의 가정생활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지원해주는 사회적 분위기의 확산,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얻어질 수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가정생활이 남성의 직장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정생활이 직장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은, 남성에게 있어 가정은 일을 하고 돌아와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하는 곳으로서 가정생활의 긍정적 경험이 직장일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의미를 크게 부여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조사 대상 남성들이 가족 내지 가정생활에 대해 가지는 기대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은주, 한주희(2009). 일-가족 갈등의 선행변수로서 개인적 특성. 대한경영학회지, 22(4), 1937-1960. 

  2. 김경화(2013).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성별과 관련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4), 60-90. 

  3. 김성경(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 69-94. 

  4. 김주현, 문영주(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5. 김진희, 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전이와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6. 김현수(2005). 결혼 적령기 미혼 남성의 생계부양자 역할 의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효선, 차운아(2010). 여성근로자의 개인 및 직장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 34(2), 69-104. 

  8. 서정미(2011). 일.가정영역에서의 일중심성의 역할.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손영미, 박정열(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10.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1. 우종웅, 이찬형, 김지은(2009). 근로자의 가족친화성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일.가족지향성, 일.가족전이 및 가족여가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 15-26. 

  12. 윤소영, 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구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13. 윤창영(2002). 기혼 직장 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직장-가정 갈등 모형과 영역별 삶의 질 모형의 통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수진, 구혜령(2014). 기혼 남성의 삶에서 일과 가정생활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른 유형 및 유형별 특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35-151. 

  15. 이숙현(1995). 남성의 취업과 가족 상호작용; 대기업 사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9(2), 271-289. 

  16. 이숙현, 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17. 이승미, 구혜령(2013). 자녀양육기 기혼취업 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75-591. 

  18. 이윤석(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 33(2), 1-31. 

  19. 이혜정(2012). 다수준 분석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일의 가치와 제도 및 지원분위기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수인, 이기영(2007).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1), 83-107. 

  21. 조윤진, 유성경(2010).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22. 채화영, 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5), 497-511. 

  23. 천혜정, 한나(2009).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및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53-72. 

  24. 한경혜(1998). 중년기 남성의 역할 중요도와 일/가족 갈등. 가족과 문화, 10(2), 93-113. 

  25. 한경혜, 장미나(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26. 한영선, 정영금(2014). 유연근무제도가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27. 한주희(2005). 보험설계사의 직무동기와 직무 특성이 일-가족 갈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험개발연구, 16(3), 3-31. 

  28. 한지숙,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29. Grzywacz, J. G. & Marks, N. F. (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nega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30. Pleck, J. H. (1977). The work-family role system. Social Problems, 24, 412-427. 

  31. Simon, R. W. (1995). Gender, multiple roles, role mean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 182-194. 

  32. Voydanoff, P. (199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49-76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