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단위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 자산, 소득, 자산 대비 소득의 효과 -
Giving Behavior of Households - Effects of Asset, Income, and the Ratio of Income to Asset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4, 2016년, pp.53 - 74  

강철희 (연세대학교) ,  최정은 (연세대학교) ,  장재혁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구단위의 경제상황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가구단위 경제상황을 가구의 유형별 소득과 자산, 자산 대비 소득으로 측정한 후 각각의 변수들이 자선적 기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지료 중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조사 자료인 5 ~ 7차년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총 4,938가구의 3개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확률효과 패널 토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자산과 근로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의 규모가 커질수록 기부 금액이 증가하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대비 소득의 비율은 자선적 기부에 대해 부적인 방향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경우,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가구크기는 정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고, 연령의 경우 역U자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구 단위의 경제적 요인들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를 토대로 검증해 봄으로써 가구단위 기부행동의 이해를 더욱 제고 및 확장시킨다는 점 그리고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가구 단위 개입전략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o verify influence that economic situations of a household unit have on donation behavior, after economic situations of a household unit were measured with income and assets by type and income to assets, effect which each variable has on secular giving was verified. This study used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가계 재무구조를 가구자산과 가구소득으로 구분하고 가구자산은 금융·실물자산으로 그리고 가구소득은 근로·재산·이전·상속·기타소득으로 세분화 한 후 이들 각 요인이 가구단위의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시에 자선적 기부와 관련해서 탐색의 필요성이 있는 주제인 자산과 소득의 비율 속성에도 관심을 두어 자산 대비 소득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는 차원에서의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분석단위를 가구로 설정하면서 가구의 재무구조가 가구단위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가계 재무구조를 가구자산과 가구소득으로 구분하고 가구자산은 금융·실물자산으로 그리고 가구소득은 근로·재산·이전·상속·기타소득으로 세분화 한 후 이들 각 요인이 가구단위의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인 시사점과 함께 실천적인 차원에서의 시사점도 다소 갖는데, 이는 민간자원의 확대를 위한 노력을 실행하는 주체들이 보다 주목해서 실질적인 접근을 해야 하는 대상은 바로 안정적 소득을 갖는 인구 및 금융자산을 갖는 인구란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정적 소득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직장들을 중심으로 한 접근 그리고 금융자산에의 접근성을 가능케 하는 금융권을 통한 접근 등이 지속적으로 강구해 내야 하는 과제일 수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는 제시해 준다. 이를 특히 연령 및 교육수준과 관련짓는다면, 상대적으로 안정적 소득을 지니는 연령대라 할 수 있는 30, 40, 50대를 중심으로 하면서 고등교육을 통해 상대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직장을 갖고 있는 대상층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은 상대적으로 가장 비용효과적인 접근이 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준다.
  • 본 연구는 기부 행동에 관한 의사결정 주체를 가구로 두고, 가구의 자산 및 소득 유형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한 독립변수의 구성에서 가구 자산은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으로 그리고 가구소득은 근로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상속소득, 기타소득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는 차원에서의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분석단위를 가구로 설정하면서 가구의 재무구조가 가구단위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현상에 맞춰 기부행동에 대한 이해 역시도 확장되고 심화될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와 달리 개인이 아닌 가구를 분석단위로 하여 기부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 및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기부행동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구의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에 연구의 관심을 두고 소득과 자산의 자선적 기부에의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 이러한 논의는 소비의 한 형태인 기부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고려할 때 금전소득과 함께 금융·실물자산, 부채 등의 다양한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해 준다.
  • 분석과정에서 본 연구는 비선형모형인 패널토빗모형은 어떤 변수의 계수 자체가 해당 변수의 한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효과를 계산하는 방식의 접근을 사용하였다(민인식·최필선, 2012c). 이러한 접근을 통해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의 영향력을 비교의 관점에서도 탐색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와 달리 개인이 아닌 가구를 분석단위로 하여 기부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 및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기부행동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구의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에 연구의 관심을 두고 소득과 자산의 자선적 기부에의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유형별 소득, 유형별 자산, 자산 대비 소득 각각의 기부행동에의 영향을 패널자료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사회는 물질적 성장과 함께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우리사회는 물질적 성장을 이뤘으나 이와 함께 소득 양극화, 불평등, 삶의 질 하락으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이 심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지만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급증하는 복지 욕구를 해소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상황이다.
소득 양극화, 불평등, 삶의 질 하락으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우리사회는 물질적 성장을 이뤘으나 이와 함께 소득 양극화, 불평등, 삶의 질 하락으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이 심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지만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급증하는 복지 욕구를 해소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상황이다. 현재 정부 예산에서 복지분야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커졌지만, 다양한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민간복지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의 강구가 동시에 필요한 상황이다(손원익·박태규, 2008; 김용하, 2013). 민간복지자원의 확충은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의 서비스 수요 충족의 측면(김형용, 2013), 사회계층과 구성원 간 신뢰구축의 측면(강철희 외, 2010), 그리고 정부 기능의 보완 및 보충의 측면에서 지속적인 필수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민간복지자원의 확충은 어떤 측면에서 필수적인가? 현재 정부 예산에서 복지분야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커졌지만, 다양한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민간복지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의 강구가 동시에 필요한 상황이다(손원익·박태규, 2008; 김용하, 2013). 민간복지자원의 확충은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의 서비스 수요 충족의 측면(김형용, 2013), 사회계층과 구성원 간 신뢰구축의 측면(강철희 외, 2010), 그리고 정부 기능의 보완 및 보충의 측면에서 지속적인 필수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강철희, 1998,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일반적 특징과 그들의 후원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5: 1-30. 

  2. 강철희, 2003, "자선적 기부행동 및 자원봉사 참여행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비영리연구, 2(2): 161-205. 

  3. 강철희, 2007,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9(3): 5-32. 

  4. 강철희?주명관, 2008, "한국인의 기부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정기적 참여, 비정기적 참여 및 미 참여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0(1): 1-38. 

  5. 강철희?고언정?정혜영, 2009, "기부노력에 대한 기부동기와 기부대상 인지매체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2): 215-254. 

  6. 강철희?김유나?조주희, 2010, "기부충성도를 지닌 인구집단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1): 205-234. 

  7. 강철희?조승호?안성호, 2011, "저소득층의 기부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88-120. 

  8. 강철희?김미희?허수연, 2012a, "기업 사회공헌 확대계획의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보건사회연구, 32(3): 191-220. 

  9. 강철희?최명민?김수연, 2012b,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2): 57-82. 

  10. 강철희?허영혜?최영훈, 2013, "종교와 기부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5(4): 341-365. 

  11. 강철희?박태근, 2014, "가구재정 지표와 기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부영역에 따른 비교", 사회복지정책, 41(3): 1-25. 

  12. 강철희?편창훈?오장용, 2015a, "가구 단위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의 자선적 기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보완재(complement) vs. 대체재(substitute) 검증", 한국사회정책, 22(2): 195-226 

  13. 강철희?황지민?오양래, 2015b, "사회자본과 나눔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뢰, 호혜, 규범의 영향력 분석", 사회복지정책, 42(2): 1-32. 

  14. 구지윤, 2013, "기부행동의 성별 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7: 93-122. 

  15. 김용준?김주원, 2005, "대학기부자의 기부의도, 기부만족, 기부정기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마케팅연구, 20(4): 57-89. 

  16. 김용하, 2013,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안전망 정책과제", 한국응용경제학회지, 15(2): 31-59. 

  17. 김유나, 2002, "기부행동 및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위논문. 

  18. 김형용, 2013, "포용적 사회와 나눔 문화의 현실 -소비주의 나눔에 대한 비판적 해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4): 87-113. 

  19. 김혜련?최현자, 1999, "유형별 가계소득과 자산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주거보유형태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7(10): 91-106. 

  20. 민인식?최필선, 2012a,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서울: 한국STATA학회. 

  21. 민인식?최필선, 2012b, STATA 패널데이터분석, 서울: 한국STATA학회. 

  22. 민인식?최필선, 2012c, STATA 고급패널데이터분석, 서울: 한국STATA학회. 

  23. 박수범, 2006, "한국에서의 개인기부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비영리연구, 5(1): 137-162. 

  24. 박종철?이용운, 2012, "소득수준과 자아해석 유형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14(2): 107-124. 

  25. 박태규?윤병호?정진욱, 2008, "기부횟수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재정학연구, 1(3): 79-100. 

  26. 변은지?이종은?이경은, 2008, "우리나라 부유층의 기부 수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7(1): 137-167. 

  27. 보건복지부, 2014, "나눔실태 2014", 보건복지부. 

  28.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4, "2014 민간나눔자원 총량 추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9. 손원익?박태규, 2008, "한국의 민간기부에 관한 연구 -규모, 구조와 특징, 관련 정책방향-", 한국조세연구원. 

  30. 아름다운재단, 2012, Giving Korea 2012. 

  31. 양연선, 1998,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가계의 최적소비선: 생애주기가설과 항상소득가설을 기초로". 한양대학교 학위논문. 

  32. 오단이, 2007, "금전적 기부자의 기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 

  33. 오단이?김사현, 2012, "공공복지와 민간복지활동의 관계에 관한 소연구: 공공복지 인식이 개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9(2): 61-84. 

  34. 유수진, 2000, "기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준구. 2016. 경제학 강의. 서울: 문우사 

  36. 이창식?송국범, 2013, "청소년의 기부와 관련 변인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1(12): 725-734. 

  37. 정수영, 2005, "개인기부자의 기부 관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 

  38. 정영석, 2000, "자선 행위의 결정 요인에 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 개별 가구의 기부 행위에 대한 실증 분석". 연세대학교 학위논문. 

  39. 통계청, 2015, "2015 통계청 사회조사", 통계청 

  40. 최지은?정순희?여윤경, 2005, "소비자의 계층별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소비자학연구, 16(1): 55-71. 

  41. 한다이, 2014, "자원봉사와 기부활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학위논문. 

  42. 홍종필?김유경, 2004, "자선 단체에 대한 기부 행동 촉진을 위한 온라인 캠페인 효과에 관한 연구: e-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8(1): 256-301. 

  43. 황창순, 2001, "개인 기부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2000년 기부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학회 학술대회, 2001: 45-63. 

  44. 황창순?강철희, 2002, "개인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선적 기부노력을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1(2): 33-73. 

  45. Ando, A. and Modigliani, F. 1963, "The life cycle 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3(1): 55-84. 

  46. Andreoni, J. 2001, "The economics of philanthropy. In Smelser, N. J. and Baltes, P. B(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London, Elsevier, pp.11369-11376. 

  47. Anderson, V. L. 1993, "Gender differences in altruism among Holocaust rescuer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8: 43-58. 

  48. Auten, G. E., Sieg, H., and Clotfelter, C. T. 200, "Charitable giving, income, and taxes: an analysis of panel data",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2(1): 371-382. 

  49. Banks, J., and Tanner, S. 1999, "Patterns in household giving: Evidence from UK data.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10(2): 167-178. 

  50. Bekkers, R. 200, "Giving and volunteering in the Netherlands: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Utrecht: Utrecht University. 

  51. Bekkers, R., and Wiepking, P. 2007, "Generosity and philanthropy", A Literature Review. Utrecht: University of Utrecht. 

  52. Bekkers, R., and Wiepking, P. 2011, "A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f philanthropy eight mechanisms that drive charitable giving",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40(5): 924-973. 

  53. Belfield, C. R., and Beney, A. P. 2000, "What determines alumni generosity? Evidence for the UK", Education Economics, 8(1): 65-80. 

  54. Breeze, B. 2004, "Widow's mite or widow's might? The relative giving of rich and poor in the UK", In 33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on Nonprofit Associations and Voluntary Action, Los Angeles, USA. 

  55. Brooks, A. C. 2005, "Does Social Capital Make You Generous?", Social Science Quarterly, 86: 1-15. 

  56. Brown, E. 2005, "College, social capital, and charitable giving", Gifts of time and money in America's communities, pp.185-204. 

  57. Brown, E. and Ferris, J. M. 2004,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Research Paper-20, The Center on Philanthropy & Public Policy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58. Brown, E., and Ferris, J. M. 2007,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6(1): 85-99. 

  59. Bryant. W. K., H. J. Slaughter, H. Kang and A. Tax. 2003, "Participating in Philanthropic Activities: Donating Money and Time", Journal of Consumer Policy, 26: 43-73 

  60. Carman, K. G. 2003, "Social influences and the private provision of public goods: Evidence from charitable contributions in the workplace", Stanford University. 

  61. Carroll, J., McCarthy, S., and Newman, C. 2005, "An econometric analysis of charitable donations in the Republic of Ireland", Economic and Social Review, 36(3): 229-249. 

  62. Chang, W. C. 2005, "Determinants of donations: Empirical evidence from Taiwan", Developing Economies, 43: 217-234. 

  63. Danko, W. D., and Stanley, T. J. 1986, "Identifying and reaching the donation prone individual: a nationwide assessment", Journal of Professional Services Marketing, 2(1-2): 117-122. 

  64. Drollinger, T. L. 1995, "Financial resources of elderly couples and likelihood of volunteering", Proceeding of Association for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Education, NewOrleans, Louisiana, pp.95-105. 

  65. Drollinger, T. L., and Johnson, D. P. 1995, "Life cycle, financial and attitudinal characteristics of charitable donors", Consumer Interests Annual, 41: 106-111. 

  66. Duncan, B. 1999, "Modeling charitable contributions of time and money", Journal of Public Economics, 72(2): 213-242. 

  67. Friedman, M. 1957, "A theory of the consump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68. Hall, H. 2004, "Gender differences in giving: Going, going, gone?: Fundraising as a profession: Advancements and challenges in the field", New Directions for Philanthropic Fundraising, 43: 71-81. 

  69. Havens, J. J., O'Herlihy, M. A., and Schervish, P. G. 200, "Charitable giving: How much, by whom, to what, and how", The nonprofit sector: A research handbook, 2: 542-567. 

  70. Hrung, W. B. 2004, "After-Life Consumption and Charitable Giving",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63(3): 731-745. 

  71. Independent Sector. 2002, "Giving and Volunteering in the United States", Finding from a National Survey. Washington DC: Independent Sector. 

  72. Jones, A., and Posnett, J. 1991, "Charitable donations by UK households: evidence from the Family Expenditure Survey", Applied Economics, 23(2): 343-351. 

  73. Mcpherson, J. M., Popierlarz, P. A. and Drobnic, S. 1992,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Dynamic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7(2): 153-170 

  74. Mesch, D. J., Rooney, P. M., Steinberg, K. S., and Denton, B. 2006, "The effects of race, gender, and marital status on giving and volunteering in Indiana",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5(4): 565-587. 

  75. Nichols, J. E. 1992, "Targeting older America", Fund Raising Management, 23(3): 38-51. 

  76. Penner, L. A., Dovidio, J. F., Piliavin, J. A., and Schroeder, D. A. 2005, "Prosocial behavior: Multilevel perspectives", Annu. Rev. Psychol., 56: 365-392. 

  77. Rooney, P. M. Steinberg, K. S., & Schervish, P. G. 2001, "A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giving surveys: Indiana as a test cas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0(3): 551-568 

  78. Reddy, R. D. 1980, "Individual philanthropy and giving behavior",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pp.370-399. 

  79. Schervish, P. G., and Havens, J. J. 1997, "Social participation and charitable giving: A multivariat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8(3): 235-260. 

  80. Smith, V. H., Kehoe, M. R., and Cremer, M. E. 1995, "The private provision of public goods: Altruism and voluntary giving", Journal of Public Economics, 58(1): 107-126. 

  81. Steinberg, R., Wilhelm, M., Brown, E., & Rooney, P. 2002, "Inheritance and Charitable Do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s, Indiana University. 

  82. Steinberg, R., and Wilhelm, M. 2005, "Religious and secular giving, by race and ethnicity", New Directions for Philanthropic Fundraising, 2005(48): 57-66. 

  83. Sugden, R. 1984, "Reciprocity: the supply of public goods through voluntary contributions", The Economic Journal, 94(376): 772-787. 

  84. Van Slyke, D. M., and Brooks, A. C. 2005, "Why do people give? New evidence and strategies for nonprofit managers",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35(3): 199-222. 

  85. Wiepking, P. 2007, "The philanthropic poor: In search of explanations for the relative generosity of lower income households",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18(4): 339-358. 

  86. Wilhelm, M. O., Brown, E, Rooney, P. M., and Steinberg, R. 2008,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generosity",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2(10-11): 2146-2156 

  87. Yen, S. T. 2002, "An econometric analysis of household donations in the USA", Applied Economics Letters, 9(13): 837-84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