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세대와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Which of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the Benefit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bligation?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2, 2016년, pp.107 - 130  

석재은 (한림대학교) ,  이기주 (한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정년연장이 법제화되어,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기로 진입하는 2016-17년에 단계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이 연구는 정년연장 법제화로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누가(어떤 특성의 집단)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정년연장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년연장은 상근 정규직근로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상태와 노동이력을 추적하여,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근 정규직근로자로 생존하게 되는 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4차(2001)부터 17차(2014)까지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상근 정규직근로자 생존확률을 분석하였다. 생명표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 중에서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비율은 11.4%에 불과했고, 75.3만명 규모로 추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과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결과, 고학력일수록, 여성근로자에 비해 남성근로자의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으며, 공공 및 정부기관 종사자가 민간기업 종사자에 비해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1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곳에 근무하는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이는 정년연장 혜택이 안정적 고용집단인 특정계층에게 집중되는 계층화 효과, 젠더편향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격차확대 위험을 시사하며,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에서의 일자리 경쟁과 세대갈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the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obligation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n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basic question of this study is about which of the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how much benefit according as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b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년 정년연장제도의 시행에 따라 베이비붐세대 중 실제 정년연장을 적용받게 되는 집단의 규모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와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러한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가장 대표성 있고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이지만, 개인 연구자에게는 전체적인 통계치만 제공하고 있어 경제활동인구의 인적 특성과 결합하여 분석하거나, 경제활동 상태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분석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한계를 넘어, 미시적 분석과 종단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를 함께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정년 법제화를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베이비붐세대 중에서도 누가, 어떤 특성의 집단이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년연장 혜택이 베이비붐세대 전체가 아니라 베이비붐세대 일부에게 해당되는 것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베이비붐세대 중 정년연장 혜택을 받는 집단의 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여, 정년연장 혜택의 실질적 귀착 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정년연장 혜택이 베이비붐세대 전체가 아니라 베이비붐세대 일부에게 해당되는 것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베이비붐세대 중 정년연장 혜택을 받는 집단의 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여, 정년연장 혜택의 실질적 귀착 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년연장 정책의 계층화 영향, 세대 간 일자리 경쟁과 관련하여 우려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실증자료에 기반하여 논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기본질문은 2016년부터 적용되는 정년의 법제화로 정년연장이 의무화됨에 따라 베이비붐세대 중 누가 얼마나 혜택을 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정책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 베이비붐세대부터 적용되는 정년연장제도도 그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정년 법제화를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베이비붐세대 중에서도 누가, 어떤 특성의 집단이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년연장 혜택이 베이비붐세대 전체가 아니라 베이비붐세대 일부에게 해당되는 것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 또한 베이비붐세대 중 정년연장 혜택을 받는 집단의 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여, 정년연장 혜택의 실질적 귀착 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년연장 정책의 계층화 영향, 세대 간 일자리 경쟁과 관련하여 우려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실증자료에 기반하여 논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기본질문은 2016년부터 적용되는 정년의 법제화로 정년연장이 의무화됨에 따라 베이비붐세대 중 누가 얼마나 혜택을 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정책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년제도는 무슨 제도인가? 정년제도란 근로자가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사용주와 근로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제도를 말하며, 그 일정한 연령을 정년이라고 한다(실무노동용어사전, 2014). 정년제도는 산업사회가 낳은 특수한 제도로, 경쟁적 노동시장구조 하에서 효율적 인적자본의 활용차원에서 장기고용계약을 통해 생애임금의 효율적인 배분 등의 이유로 운영하게 되었다(방하남, 2010).
고령자고용촉진법에 규정된 정년에 대한 내용은 무엇인가? 한국은 각 사업장 별로 단체협약과 규칙 등으로 정년연령을 결정하고 있으며, 근로기준법에서도 퇴직에 관한 사항은 취업 규칙에 의거하여 정하도록 하고 있다. 1991년 시행된 「고령자고용촉진법」의 제19조에 의해 “사업주가 근로자의 정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 정년이 60세 이상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만약 사업주가 정년을 60세 미만으로 설정하여도 2항에 따라 60세로 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본 법안의 주요 내용은 기업은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의무화하고, 정년연장과 연동하여 노사가 임금체계 개편 등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임금체계 개편과 관련하여서는 정년을 연장하는 사업장에서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조직은 여건에 따라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 사업장은 고용 지원금이나 컨설팅을 지원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성태, 2011, "고령자 고용법제의 현황과 개선 방안". 동아법학, 52: 845-870. 

  2. 권혜자, 2010, 연령세대별 일자리 변화와 고용 서비스 정책과제, 한국고용정보원, 2010 

  3. 금재호, 2011, "중장년층의 고용불안과 정년연장", 노동리뷰, 2011: 61-51. 

  4. 김대건, 2015, "중고령 고용률이 청년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저임금 일자리 비율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OECD 20 개국의 고용자료 분석". 노인복지연구, 70(단일호): 293-317. 

  5. 김대일, 2011, "청년 고용대책: 정년연장과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유경준 편,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I), 한국개발연구원, 387-424. 

  6. 김상문, 2011, 생존분석을 이용한 중소기업 부실예측과 생존시간 추정,상업교육연구, 24(4): 195-212. 

  7. 김준영, 2011, "고연령층 고용변동이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 사업체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노동경제논집, 34(1): 71-101. 

  8. 김진태, 2011,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정년제의 문제점과 법제화 방안". 동아법학, 52: 807-843. 

  9. 김태영.임영언, 2012, "일본정년제도 변화와 고령자 고용창출에 관한 연구",일본문화학보, 52: 329-350. 

  10. 노광표, 2015, "공공기관과 정년연장:임금피크제 수용성을 중심으로".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2015.01.23.), 603-621. 

  11. 노동부, 2010. 정년 및 임금피크제도입현황과 과제, 2010.04.16 

  12. 노상헌, 2013, "정년연장에 관한 논의와 평가".노동법논총, 28: 139-171. 

  13. 노진귀, 2012, "정년연장에 대한 노동계 입장, 쟁점과 대안". 노동리뷰, 90: 49-59. 

  14. 대한상공회의소, 2007, 정년제도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15. 류기정, 2012, "정년연장에 대한 경영계 입장: 쟁점과 대안". 노동리뷰, 90: 59-69. 

  16. 박재빈, 2006, 생존분석 이론과 실제, 서울:신광출판사. 

  17. 박종희, 2004, "임금피크제의 허와 실". 산업관계연구, 14(2): 23-46. 

  18. 박준성, 2012, "POSCO의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 사례, 산업관계연구, 22(4): 1-29. 

  19. 방하남, 2010, 한국기업의 정년제도 현황과 개선 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 방하남.어수봉.이상민.유규창.하갑래, 2012,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1. 송경일.최정수, 2008, Spss 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서울:한나래. 

  22. 신동균, 2004, "연령차별의 경제학적 이슈들: 문헌연구", 장지연 외,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II), 한국노동연구원. 

  23. 신동균, 2009,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9(2): 1-14. 

  24. 안주엽, 2010, 세대간 고용 대체 가능성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5. 안주엽, 2013, "합리적 합리적 정년연장과 청년층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KLI 고용.노동 리포트, 48 

  26. 이기한, 2010, "정년제의 법제화 논의에 대한 법적 타당성 연구". 노동법학, 36: 393-443. 

  27. 이승계, 2012, "선진국의 정년제도 변화 고찰과 중고령 인력의 활용방안", 경영법률, 22(3): 387-430. 

  28. 이승길, 2008, "고령자의 정년연장과 규제 완화". 노동법논총, 14: 172-199. 

  29. 이승길, 2013, "고령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노동입법평가 -특히, 정년제 및 임금피크제를 중심으로-", 입법평가연구, 6: 97-143. 

  30. 이찬영.태원유.김정근.송민중, 2011,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파장-성장잠재력, 생산성, 세대간 일자리 대체를 중심으로, 삼성경제 연구소 

  31. 장경채, 2013, "새 정부 정년연장논의에 대한 쟁점 및 정책적 대안," 지역사회, 68: 103-115. 

  32. 장지연, 2006, 정년제와 중고령자 고용안정. 고령화 사회의 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한국노동경제학회.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토론자료집. 

  33. 전광석, 2008,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34. 정이환, 2013, 한국고용체제론. 후마니타스 

  35. 조용만, 2006, 국내외 정년제도 비교와 정책방안. 고령화시대의 바람직한 정년제도, 한국경영자총협회. 

  36. 조용만, 2012, "정년연장의 법적 과제". 노동정책연구, 12(3): 1-23. 

  37. 조준모, 2004, "한국의 정년제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한국, 일본, 미국, 독일의 정년제 비교분석". 장지연 외.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2). 한국노동연구원. 79-132. 

  38. 주민규, 2012, "네덜란드 정년연장과 새로운 연금법의 의미", 국제노동브리프, 10(2): 88-96. 

  39. 지은정, 2012, "OECD 15 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4(4): 233-259. 

  40. 최아영.석재은, 2014, "정년연장제도의 도입이 베이비부머세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4년도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집. 한국사회보장학회. 

  41. 하갑래.최미나, 2013, 60세 정년제와 임금체계 개편 관련법적 쟁점사항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비교노동법학회. 

  42. 현대경제연구원, 2010, 임금피크제 도입 관련 현안분석과 정책적 지원 과제, 글로벌 산업구조 재편과 우리의 대응 전략(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43. 홍민기, 2008, "고령자 고용정책의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고용보조금제도", 전병유 외. 고령자 고용정책의 고용 효과분석, 고용노동부. 

  44. 홍재화.강태수, 2015, "인구고령화와 정년연장연구-세대 간 중첩모형을 이용한 정략 분석", BOK경제연구, 2015-10. 

  45. 함인희, 2014,. "정년 60세 의무화법에 대한 근로자 인식과 정책 니즈". 한국사회정책, 21(1): 179-213. 

  46. 황수경, 2005, "연공임금을 다시 생각한다", 노동리뷰, 2005. 

  47. 황수경, 2012, 베이비붐 세대 이행기의 노동시장 변화, 한국개발연구원. 

  48. Burtless, G., and R. Moffitt, 1985,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s on the Labor Supply of the Aged", Retirement and Economic Behavior, 135-174. 

  49. Borsch, Supan A. and R. Schnabe, 2010. "Early Retirement and Employment of the Young in Germany."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147-266.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0. Gruber, J. and D. A. Wise, 2010. "Introduction and Summary."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1-45.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1. Jousten, A., Lefebvre, M., Perelman, S. and P. Pesieau, 2010, "The Effects of Early Retirement on Youth Unemployment: The Case of Belgium."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47-76.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2. Kapteyn, A., Kalwij, A. and A. Zaidi, 2009, "The Myth of Worksharing." Labour Economics 11 (June 2004): 293-313. 

  53. 한국노동패널 홈페이지(https://www.kli.re.kr/klips/index.do) 

  54.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http://www.esdc.go.kr) 

  55.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 장례인구추계/ 경제활동 인구조사(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