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직 계속교육 동향 분석 -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
Trends in the Onlin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ibrarians and Applica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2, 2016년, pp.215 - 243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사서직 계속교육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 사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온라인교육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었고, 주로 온라인 코스웨어 형태의 표준화된 콘텐츠가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반복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미국과 호주에서는 주로 웨비나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이러닝 방식을 사용하여 도서관 안팎의 최신 이슈를 다양한 교육강좌로 구성한 비표준화된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주목할 동향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하여 계속교육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 개발된 사서직 역량기준들을 계속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해외 모범사례들은 향후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의 계속교육 수요와 요구에 부응하며 현장사서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development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for librarians with particular foci on online learn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It analyzed the current online training program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long with on-site program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 현황을 조사하였고, 해외 주요국의 온라인 계속교육 모범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한 계속교육을 시도하는 외국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온라인 계속교육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모범사례를 발굴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도서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계속 교육 사례는 제외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하는 전문 계속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 또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한 계속교육을 시도하는 외국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온라인 계속교육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모범사례를 발굴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도서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계속 교육 사례는 제외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하는 전문 계속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서계속교육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전문직 계속 교육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온라인계속교육의 국내외 현황을 살피면서 그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 현황을 조사하였고, 해외 주요국의 온라인 계속교육 모범사례를 조사하였다.
  • 본 절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 계속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법』 제19조 제1항 제5호(국립중앙도서관 업무), 『도서관법』 시행령 제9조(도서관직원의 교육훈련)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공립도서관은 물론 사립도서관을 포함한 전국 모든 관종의 도서관 직원 연수를 실시하는 기관으로 명시되어 있다(국립중앙도서관 2015).
  • 본 절에서는 해외 온라인 사서교육 사례를 조 사함으로써 그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국립중앙도서관의 향후 온라인교육 내실화에 도움이 될 모범사례를 발굴해 보고자 하였다. 강사와 피교육자가 모두 한 장소에 모여 진행되는 워크숍이나 강연 형태의 오프라인 집합교육을 주로 활용하는 영국이나 일본과 달리, 온라인중심의 강좌가 주를 이루는 미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사례를 조사하였다.
  • 더불어 평생학습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각 도서관 협회가 개발한 역량 패러다임, 영국 공인도서관정보전문가협회(CILIP)의 역량기준인 “전문직 지식과 기술기반(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Base: PKSB)”을 활용하여 개별 사서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방안, 호주도서관협회(ALIA)의 전문직개발체계(Professional Development Scheme)와 문헌정보분야 직무별 전문화 역량의 역할 등의 주제가 소개되었다. 본 절에서는 향후 우리 사서들의 역량기준을 개발하고 계속교육에 적 용하는데 참고하기 위해 국내외 주요 사서 역량기준을 조사하였다.
  • 또한 비전공자대상의 기초교육 중심으로 운영방향을 수립하는 것 역시 재고할 필요가 있는데, 국립중앙도서관의 재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절대 다수(81%)가 사서자격증 소지자로 파악되었기 때문이다. 집합교육이 현장의 재교육 수요를 절대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 현황과 해외모범사례를 토대로 온라인 계속교육의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녹화된 동영상 등 온라인 코스웨어(courseware) 형태의 표준화된 콘텐츠에 국한된 온라인교육 방식을 조속히 다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직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그 첫 번째 보고서는 한국인사행정학회에서 수행한 것으로, 사서직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이 제안되었다(국립중앙도서관 2005). 그 내용을 보면,적절한 교육과정 감독 및 평가를 적용한 유비쿼터스 형태의 온라인교육 활용, 온라인교육과 집합교육을 결합한 블랜디드(blended) 교육을 통한 교육 효과성 제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도입 등이 포함되어 있다.
IFLSA가 사서직 계속교육에 대해 사용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IFLA(2015b)는 사서직 계속교육에 대해 일반적인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대신 전문직 계속교육(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CPE) 또는 계속적 전문성개발(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전문직 계속교육은 개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탐색하는 것으로, 현재와 미래를 위해 개인의 경력 기회를 최적화할 것을 요청받는(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사서직을 포함한 전문직 종사자에게 더 적합한 용어이기 때문이다.
MOOC가 기존의 교육과 다른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해외 사서교육에서 활용되는 웨비나와 사회 각 분야에서 부상하고 있는 MOOC 등 새로운 방식의 온라인 강좌가 교육플랫폼의 지형변화를 가져오므로,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2011년 미국 대학에서 태동한 MOOC는 기존의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없이(Massive) 누구나 무료로(Open)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온라인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면서 사서들의 계속교육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제시되고 있다(Bond 2013). Bond는 사서들이 개인적 차원에서 각종 MOOC 강좌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최근 사례를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국립중앙도서관. 2005. 사서직 교육훈련 시스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2. 국립중앙도서관. 2014. 2015년도 사서교육훈련계획.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4. 2015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국립중앙도서관. 2015. 국립중앙도서관연보 2014.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5. Annual Report 2014.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4. 권선영, 백지원,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141-169. (Kwon, Sun-Young, Baek, Ji-Won and Cha, Sung-Jong. 2015.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141-169.) 

  5. 김태희, 리상용. 2014.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363-395. (Kim, Tae-hee and Lee, Sang-yong. 2014. "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Focusing on Privatized Public Libraries."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363-395.) 

  6. 안인자 외. 2012. 학부 이수교과목 분석을 통한 현장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27-52. (Ahn, In-Ja et al. 2012. "A Study on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for Librarians: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Credi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27-52.) 

  7. 윤희윤 외. 2015. 국립사서교육원 설립을 위한 사전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Yoon, Hee-Yoon et al. 2015. A study on the reform plan of librarian Education program.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8. 윤희윤, 정현태. 2015. 국내 사서교육프로그램 인식도 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49-69. (Yoon, Hee-Yoon and Joung, Hyun-Tae. 2015. "A Study on the Reform Plan of Librarian Education Program for Librarianship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49-69.) 

  9. 이상복. 2010. 사서교육 훈련시스템 및 시설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Lee, Sang-bok. 2010. Report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Librarians and Facility Improvement.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0. 이신호, 양해술. 2011. 신임사서공무원을 위한 기본소양 사이버 연수용 콘텐츠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289-316. (Lee, Shin-Ho and Yang, Hae-Sool. 2011. "Development of Cyber Training Content for Newly Employed Public Services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289-316.) 

  11. 장덕현, 구본진, 윤희윤. 2015. 사서 계속교육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181-202. (Jang, Durk-Hyun, Ku, Bon-Jin and Yoon, Hee-Yoon. 2015. "A Research on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Current Situations and Suggestio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181-202.) 

  12. 장윤금. 2015.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4): 263-282. (Chang, Yunkeum. 2015.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4): 263-282.) 

  13. 장윤금, 정행순. 2008.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현황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81-501. (Chang, Yunkeum and Jeong, Haengsoon. 2008.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481-501.) 

  14. 장혜란 외. 2008. 대학도서관 사서를 위한 전문 계속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133-168. (Chang, Hye-Rhan et al. 2008.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133-168.) 

  15. 정종원 외. 2015. 사이버 사서교육 콘텐츠 개발.운영가이드라인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Jeong, Jong-Won et al. 2015. Development and Operational Guidelines of Cyber Education for Librarian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6.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육운영시스템. 2015. 2015년 사이버교육 운영계획 안내. [online] [cited 2016. 4. 15.] (Central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2015. 2015 Cyber Education Management Plan. [online] [cited 2016. 4. 15.] ) 

  17. 중앙공무원교육원. 2015. 사이버교육 교육과정. [online] [cited 2016. 4. 15.] (Central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2015. Cyber Education Curriculum. [online] [cited 2016. 4. 15.] ) 

  18. 지방행정연수원 사이버교육센터. 2015. 2015년 사이버교육 운영계획. [online] [cited 2016. 4. 15.] (Cyber Education Cente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2015. 2015 Cyber Education Management Planning. [online] [cited 2015. 4. 15.] ) 

  19. 차미경 외.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95-115. (Cha, Mikyeong et al. 2007. "A Survey of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for Develop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1): 95-115.) 

  20. 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HRD용어사전. 서울: 중앙경제. Korea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2010. HRD glossary. Seoul: Choongang Economic.) 

  21. 한국산업인력공단. 2014. 문화예술경영: 문헌정보관리. 서울: 진한엠앤비. (HRD Korea. 2014. Art and Culture: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Seoul: Jinhan M&B.) 

  22. 황옥경. 2006. 대학도서관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173-190. (Hwang, Ok-Gyung. 2006.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173-190.) 

  23.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5. AASL Best Apps for Teaching & Learning 2015. Chicago, IL: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online] [cited 2016. 4. 15.] 

  24.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9. ALA's core competences of librarianship.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4. 15.] 

  25.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 Online learning.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4. 15.] 

  26.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2016. Professional development. Kingston, ACT: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4. 15.] 

  27.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2015. ALIA Training Courses and Workshops. ACT: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online] [cited 2016. 4. 15.] 

  28. Bond, P. 2013.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In Smallwood, C., Harrod, K. and Gubnitskaia, V.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NC: McFarland & Company, Inc.: 28-34. 

  29.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2013.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Base. London: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online] [cited 2016. 4. 15.] 

  30.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2015. Course subjects. London: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online] [cited 2016. 4. 15.] 

  31. Holley, R. P. 2013. "Forword". In Smallwood, C., Harrod, K. and Gubnitskaia, V. J. ed.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Essays on Career Improvement through Classes, Workshops, Conferences and More. NC: McFarland: 1. 

  32.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06.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Den Hag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online] [cited 2016. 4. 15.] 

  33.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5a. Updated Last Session for 2015 of the Webinar Series "New Librarians Global Connection: Best Practices, Models and Recommendations." Den Hag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online] [cited 2016. 4. 15.] 

  34.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5b.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orkplace Pearning Section. Den Hag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online] [cited 2016. 4. 15.] 

  35. LYRASIS. 2016. LYRASIS Homepage. Atlanta, GA: LYRASIS. [online] [cited 2016. 4. 15.] 

  36. OCLC WebJunction. 2014. Competency Index for the Library Field 2014. Seattle, WA: WebJunction. [online] [cited 2016. 4. 15.] 

  37. OCLC WebJunction. 2015. About Us. Seattle, WA: WebJunction. [online] [cited 2016. 4. 15.] 

  38. Smallwood, C., Harrod, K. and Gubnitskaia, V. J. ed.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Essays on Career Improvement through Classes, Workshops, Conferences and More. NC: McFarland & Company, Inc. 

  39. Tampa Bay Librarian Consortium. 2015. About. Tampa, FI: Tampa Bay Librarian Consortium. [online] [cited 2016. 4.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