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in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548 - 556  

이미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재활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년기의 인지-언어적 변화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 아니라 신경학적 질환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관적 및 객관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인지-언어 능력의 예측 변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63명과 이들의 정보제공자 63명을 대상으로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자기 보고형 및 정보제공자 보고형 주관적 평가(ISCOLE)와 객관적 평가(CAPTBI)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 및 정보제공자 집단 간에 주관적 평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 집단은 8개, 정보제공자 집단은 15개 영역에서 주-객관적 평가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력 등은 정보제공자 보고형의 언어능력이, 그리고 집행기능과 언어능력은 정보제공자 보고형의 기억력이 주요 예측 변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 상관성에 있어 노인 및 정보제공자 집단이 하위 영역별로 차이를 보이며, 정보제공자 집단의 주관적 평가가 더 많은 영역에서 객관적 평가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인지-언어 능력의 평가 및 예방적 중재 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gnitive-linguistic changes that normally accompany aging are often simply an annoyance, but in some instances they may herald a more perilous course of decline to a state of neurological dise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tests on cognitive-lingui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객관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고, 객관적 인지-언어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관적 평가로서 노인 집단에게 ‘자기 보고형’ 방식을, 그리고 정보제공자 집단에게 ‘정보제공자 보고형’ 방식을 각각 적용한 후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에 나타나는 인지-언어적 변화는 무엇의 지표가 될 수 있는가? 노년기에 나타나는 인지-언어적 변화는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수준을 넘어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나 치매와 같은 신경학병리학적 질환의 지표가 될 수 있다[1][2]. 정상 노년층의 대다수가 인지-언어 능력의 저하에 대해 주관적으로 호소하고 있으나, 이것이 신경학적 질환의 전조 증상으로서 유효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존재한다[2][3].
정보제공자 보고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정상 노년층의 자기 보고형 평가에서는 추론력이 객관적인 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영역에서의 상관성은 낮다고 보고된다[3]. 정보제공자 보고형은 기억력, 집행기능, 언어능력 등에서 상관성이 높고[2][3][8], 특히 기억력에 대한정확도가 높다[9-11]. 특정 평가도구에 따라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서 활용되는 두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서 흔히 두 가지 방법이 활용된다. 대상자 본인의 주관적 호소에 기반하여 평가하는 자기 보고형(self-report), 그리고 가족, 친지, 지인 등 관찰자의 보고나 평가에 의존하는 정보제공자 보고형(informant-report)이 이에 해당한다. 객관적 평가와 비교할 때 주관적 평가는 임상 현장에서 직접 실시할 필요가 없어 평가 자체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일상의 기능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데 용이하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 S. Lee, "Content validity of Informant-report Scale o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for the Elderly (ISCOLE)",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Vol.24, No.4, pp.275-286, 2015. 

  2. R. Gavett, J. E. Dunn, A. Stoddard, B. Harty, & S. Weintraub, "The cognitive change in women study (CCW): informant ratings of cognitive change but not self-ratings are associated with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over 3 year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Vol.25, No.4, pp.305-311, 2011. DOI: http://dx.doi.org/10.1097/WAD.0b013e31820d8652 

  3. M. S. Lee,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linguistic tests: focused on normal aging, MCI, and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1, pp.7414-742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414 

  4. M. T. Buelow, G. Tremont, L. L. Frakey, J. Grace, & B. R. Ott, "Utility of the cognitive difficulties scale and association with objective test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Vol.29, No.8, pp.755-761, 2014. DOI: http://dx.doi.org/10.1177/1533317514539032 

  5. J. C. Chung, & D. W. Man, "Self-appraised, informant-reported, and objective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27, pp.187-193, 2009. DOI: http://dx.doi.org/10.1159/000200467 

  6. L. Clare, I. S. Markova, I. Roth, & R. G. Morris, "Awareness in Alzheimer's disease and associated dementias: theoretical framework and clinical implications", Aging and Mental Health, Vol.15, pp.936-944, 2011. DOI: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1.583630 

  7. F. Clement, S. Belleville, & S. Gauthier, "Cognitive complain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14, pp.222-232, 2008. DOI: http://dx.doi.org/10.1017/S1355617708080260 

  8. K. R. Greenop, J. Xiao, O. P. Almeida, L. Flicker, C. Beer, J. K. Foster, F. M. van Bockxmeer, & N. T. Lautenschlager, "Awareness of cognitive deficits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no dementia (CIND): comparison with informant report",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Vol.25, No.1, pp.24-33, 2011. DOI: http://dx.doi.org/10.1097/WAD.0b013e3181f81094 

  9. M. J. Slavin, P. S. Sachdev, N. A. Kochan, C. Woolf, J. D. Crawford, K. Giskes, S. Reppermund, J. N. Trollor, B. Draper, K. Delbaere, & H. Brodaty, "Predicting cognitive, functional, and diagnostic change over 4 years using baseline subjective cognitive complaints in the Sydney memory and age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3, No.9, pp.906-914, 2015. DOI: http://dx.doi.org/10.1016/j.jagp.2014.09.001 

  10. E. C. Edmonds, L. Delano-Wood, D. R. Galasko, D. P. Salmon, & M. W. Bondi, "Subjective cognitive complaints contribute to mis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20, pp.836-847, 2014. DOI: http://dx.doi.org/10.1017/S135561771400068X 

  11. R. M. Clarnette, O. P. Almeida, H. Forstl, A. Paton, & R. N. Martin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subjective memory loss in Western Australia: results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6, pp.168-174, 2001. DOI: http://dx.doi.org/10.1002/1099-1166(200102)16:2 3.0.CO;2-D 

  12. F. Li, X. Jia, & J. Jia, "The informant questionnaire on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ndividuals in screen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or without functional impair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Vol.25, No.4, pp. 227-232, 2012. DOI: http://dx.doi.org/10.1177/0891988712464822 

  13. E. T. Ozel-Kizil, E. D. Turan, E. Yilmaz, B. Cangoz, & S. Uluc,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Informant Questionnaire on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QCODE-T)",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Vol.25, pp.139-145, 2010. DOI: http://dx.doi.org/10.1093/arclin/acp103 

  14. A. P. Jansen, H. P. van Hout, G. Nijpels, H. W. van Marwijk, C. Gundy, H. C. de Vet, & W. A. J. Stalman, "Self-reports on the IQCODE in older adults: a psychometric evaluatio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Vol.21, No.2, pp.83-92, 2008. DOI: http://dx.doi.org/10.1177/0891988707311558 

  15. D. W. Lee, J. Y Lee, S. G. Ryu, S. J. Cho, C. H. Hong, J. H. Lee, Y. M. Choi, B. S. Kim, E. J. Park, & S. H. Park,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formant questionnaire on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QCOD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9, No.3, pp.196-202. 2005. 

  16. Y. J. Jeon, K. E. Yun, & Y. S. Kim, "Validation of KDSQ-P as selecting elderly for KDSQ-C",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pp.45-52, 2010. 

  17. S. H. Choi, D. L. Na, Y. W. Kang, W. Y. Lee, & B. J. Park,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DQ)",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Vol.16, pp.307-314. 

  18. M. S.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formant-report Scale o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for the Elderly (ISCOLE)",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Vol.21, No.1, pp.151-161, 2016. DOI: http://dx.doi.org/10.12963/csd.15278 

  19. D. W. Yang, B. R. Jo, J. Y. Choi, S. Y. Kim, & B. S. Ki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dementia sceening questionnaire (KDSQ)", Journal of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Vol.20, No.2, pp.135-141, 2002. 

  20. Y. W. Kang,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25, pp.1-12, 2006. DOI: http://dx.doi.org/10.14385/KSSP.25.2.1 

  21. R. M. Crum, J. C, Anthony, S. S. Bassett, & M. F. Folstein,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69, No.18, pp.2386-2391, 1993. DOI: http://dx.doi.org/10.1001/jama.269.18.2386 

  22. A. F. Jorm, "The Informant Questionnaire on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QCODE): a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16, No.3, pp.1-19, 2004. DOI: http://dx.doi.org/10.1017/S1041610204000390 

  23. M. S. Lee, & H. H. Kim, "Cognitive-pragmatic Language Ability Assessment Protocol for Traumatic Brain Injury (CAPTBI):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Contents Society, Vol.13, No.2, pp.370-377,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2.370 

  24. M. S. Lee, & H. H. Kim, "Language assessment for normal aging: study of assessment tools and content validity", Journal of Korean Contents Society, Vol.12, No.5, pp.280-292,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280 

  25. M. S. Le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pragmatic language Ability Assessment Protocol for Traumatic Brain Injury (CAPTBI)",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13. 

  26. I. S. Lee, K. K. Lee, & Y. Ko, "Evaluation of KDSQ-C's reliability and validity between the subject elderly and caregi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3 No.4, pp.446-450, 2012.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2.23.4.446 

  27. M. D. Mendonca, L. Alves, & P. Bugalho, "From subjective cognitive complaints to dementia: who is at risk?: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Jul 3, pp.1-10, 2015. 

  28. C. A. Fyocka, & B. M. Hampstea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objective memory performance, and medial temporal lobe volume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lzheimer's and Dementia (Amsterdam), Vol.1, No.2, pp.242-248, 2015. DOI: http://dx.doi.org/10.1016/j.dadm.2015.03.002 

  29. A. Martyr, S. M. Nelis, & L. Cla, "Predictors of perceived functional ability in early-stage dementia: self-ratings, informant ratings and discrepancy scor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Disorders, Vol.29, pp.852-862, 2014. DOI: http://dx.doi.org/10.1002/gps.4071 

  30. V. Isella, M. L. Villa, L. Frattola, & I. Appollonio, "Screening cognitive decline in dementia: preliminary data on the Italian version of the IQCODE", Neurological Sciences, Vol.23, pp. S79-S80, 2002. DOI: http://dx.doi.org/10.1007/s100720200079 

  31. J. A. Stratford, D. LoGiudice, L. Flicker, R. Cook, W. Waltrowicz, & D. Ames, "A memory clinic at a geriatric hospital: a report on 577 patients assessed with the CAMDEX over 9 year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37, pp.319-326,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440-1614.2003.01174.x 

  32. M. E. Lenehan, S. Z. Klekociuk, & M. J. Summer, "Abs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 and o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it time to aband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 as an MCI diagnostic criterion?",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4, No.9, pp.1505-1514, 2012. DOI: http://dx.doi.org/10.1017/S1041610212000695 

  33. S. Jungwirth, P. Fischer, S. Weissgram, W. Kirchmeyr, P. Bauer, & K. H. J. Tragl,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the Vienna-Transdanube aging community",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2, No.2, pp.263-268,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4.52066.x 

  34. T. S. C. Minett, R. V. D. Silva, K. Z. Ortiz, & P. H. F. Bertolucci,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in an elderly sample: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3, pp.49-54, 2008. DOI: http://dx.doi.org/10.1055/s-0028-1082884 

  35. R. C. Martin, & C. M. Allen, "A disorder of executive function and its role in language processing",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29, No.3, pp.201-210, 2008. 

  36. A. Miyake, N. P. Friedman, M. J. Emerson, A. H. Witzki, A. Howerter, & T. D. Wager,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Vol.41, pp.49-100, 2000. DOI: http://dx.doi.org/10.1006/cogp.1999.0734 

  37. C. H. Lee, J. H. Oh, S. B. Pyun, & H. S. Lim, "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Load on Word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0, No.3, pp.567-571,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3.567 

  38. B. S. Kim, M. S. Lee, & H. H. Kim,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Are they reflected in objective language test performance?",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Vol.20, No.2, pp.214-221, 2015. DOI: http://dx.doi.org/10.12963/csd.15235 

  39. C. Moran & G. Gillian, "Language and memory profiles of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and Injury, Vol.8, pp.273-288, 2004. DOI: http://dx.doi.org/10.1080/02699050310001617415 

  40. M. L. Kimbarow. Cognitive Communication Disorders. San Diego, CA: Plural Publishing,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