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소청용탕(小靑龍湯) 투여 후 호전된 한포진 1례
A Case Report of Dyshidrotic Eczema treated by Socheongryong-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8 no.1, 2016년, pp.41 - 51  

이성준 (정인한의원) ,  김남곤 (성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 of Socheongryong-tang on Dyshidrotic Eczema. Methods : This is a case report on a patient who has been suffering from Dyshidrotic Eczema. According to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Socheongryong-tang was provided for 30 days. The seve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 활용된 다양한 질환의 증례보고가 게재 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한포진 환자를 傷寒論 40번 조문으로 진단하고 小靑龍湯을 투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포진이란? 한포진은 뚜렷한 원인 없이 손가락, 손바닥, 발바닥에 표피 내 수포를 형성하는 재발성 습진 피부질환이다. 여름철에 더욱 악화되고 병변이 정신적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땀의 발생부위와 일치하므로 한포진으로 명명되었으나 조직 검사 상 수포는 한관(sweat duct)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1).
양의학에서 한포진의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이용되는가? 치료에 있어서는 증상에 따라 부신피질호르몬제의 국소도포 및 경구투여, 2차 세균 감염 의심 시 항생제 투여, 수렴제(zinc) 도포 처방, 항소양제(pramocine 제제) 등의 방법이 이용 된다1-3).
한의학에서 한포진을 어떻게 치료하고 있는가? 한의학에서 한포진은 『醫宗金鑑․外科心法要訣足部』4)에서 “田螺皰, 在足掌生, 裏濕外寒蒸鬱成, 豆粒黃皰悶脹硬, 破津臭水腫爛疼.” 이라 하여 그 증상을 서술하였으며 濕熱縕積, 陰虛內熱, 心脾兩虛, 血熱 등으로 변증하여 淸熱利濕解毒, 健脾除濕利水, 滋陰淸熱, 補益心脾, 淸熱凉血 등의 방법으로 치료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ung JY, Han KH. Common Skin Disease in Korea. MD world Publishing company. 1. 2009:123-8. 

  2. KDA textbook editing board. Dermatology. 5th edition. Seoul: Publication Ryo Moon Gak. 2008:51, 166-7, 189-90. 

  3. Kang WH. Atlas of skin disease. Seoul:Publication HanMiUeiHak. 2008:132. 

  4. O Gyeom. EuiGongGeungGam. seoul:Publication DaeSungMunHwaSa. 1994: 397- 8. 

  5. Gu BH. Practical Chinese traditional surgery. Shanghai: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5:243. 

  6. Jin QF, Zhou D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ermatology. Beijing: Chinese Medical Technology Publishing. 2000:401-4. 

  7. Huang QK. Dermatology and Veneral Diseas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ijing: Chinese Medical Technology Publishing. 2000:466-9. 

  8. Lim WK, SunYJ, Kim CH, Kim HK. A Clinical Case Study of Dyshidrotic Eczema. The Jourmal of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 Otolaryngology&Dermatology. 2003;16(2):249-54. 

  9. Shim SH, Jeong DH, Kim JH, Choi JH, Park SY. A Clin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Chunggisangagam on a Dyshidrotic Eczema Patient.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Otolaryngology&Dermatolo gy. 2003;16(3):268-73. 

  10. Shim Lim SY. A Clinical study on effects of Gijakkyuju-tang on Psoriasis and Dyshidrotic Eczema. The journal of Bokchi Medicine. 2010;2(1):53-64. 

  11. Kang DH, Kim JH, Lim HW, Kim JY, Kwon K. A Case Study of Chronic Plantar Pompholyx Including Steroids Side Effec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Otolaryngology&Dermatology. 2011;24(1):181-91. 

  12. Jo SH, Jo EH, Park MC. Two cases of a Dyshidrotic Eczema improved with Fulinggancao-T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3;26(4):91-100. 

  13. Kang NR, Tark MR, Ko WS, Yoon HJ. A clinical study about Effect of Socheongryong-Tang on Dyshidrotic Eczema Patient.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1;24(1):192-199. 

  14. GilIkDongDong. YakJing. seoul: Publication JiSangSa (cheonghong). 2007. 

  15. Lee SJ, Lim JE.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 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16. Kim DD. A study on the naming of 'A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 and suggestion.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5(1):19-29. 

  17. Chang JK. Gangpyeong Shanhanlun.Seoul: 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18. Lee SI, Cho HR. The comparison of the Shanghanlun.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5:25,198. 

  19. Ahn SG. Common Skin Disease. seoul: Pacific publishing house . 2009:59-61. 

  20. ChinSilGong. OeGwaJeongJong.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280. 

  21. GoSeJeung. YangEuiDaeJeon. Beijing: Chinese medicine Publishing House. 1994:394. 

  22. Jung S, Cho SJ, Moon KI, Kim HW, Kim BY, Cho SI.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on Immunoglobulin Production in Asthmatic Mice. The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08;23(1):23-28 

  23. Lee JG, Yang SY, Kim MH, Namgung U, Park YC. Protective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on Elastase-Induced Lung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11;32(4):83-99. 

  24. Kim KY, Lee JH, Kim YJ, Choi SY, Kim TH, Lyu YS, Kang HW. Anti-allergic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on RBL-2H3 Mast Cell and Mice-mediated Allergy Model. Korean Journal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1(5):1260-70. 

  25. Moon JJ, Ahn GS, Kim SH, Park JH, Kim DH, Choi DY, et al. ShanghanlunJeongHae . Seoul:Publication HanEuiMunHwaSa. 2010:125-6. 

  26. Park GM, Choi SH. Comparative study of Shanhanlun and HuangDiNeiJing through Historical research of Gangpyeong.Shanhanlu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5;9(0):265-565. 

  27. DaeChongGyeongGeol. Clinical application ShanhanlunHaeSeol. EuiBang publishing house. 2004:3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