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을 투여한 증례 2례
Two Case Reports treated with Jagyakgamcho-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8 no.1, 2016년, pp.25 - 39  

이성준 (정인한의원) ,  임은교 (일산중심병원 한방과) ,  허주 (모가보건지소 한방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2 clinical cases were analyzed to report the improvement of patient having anger problem and patient of low leg pain treated by herb medication based on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Methods : We collected 2 cases treated by Jagyakgamcho-tang according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傷寒論』의 서술 체계에 따라 진단하고 芍藥甘草湯으로 치료한 2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大陽病 提綱과 29번 條文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증상이자 동시에 질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에 대한 기록으로 보고 진단 및 투약 기준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傷寒論』 辨病診斷體系만으로 환자가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條文의 내용을 관찰 가능한 현상으로 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질병에 대하여 29번 條文이라는 동일한 질병 서사가 맞물려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提綱-條文의 순서로 환자의 질병서사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大陽病 29번 條文의 ‘若厥愈足温者’로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傷寒論』변병진단체계의 활용 가능성을 밝히고, 『傷寒論』에 서술된 내용은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증상 또는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4) 汗出 : 발에 땀이 많이 남.
  • 7) 寒熱 : 추위, 더위 모두 못 견디는 편임. 몸은 전반적으로 춥고 발도 시린데 발바닥에서는 열이 남.
  • 두면부 상열감이 상당히 완화됨.
  • 수면장애가 개선됨.
  • 종아리의 열감, 당김 증상이 전체적으로 조절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의 특징은? 『傷寒論』은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한의 임상 전문서적으로1) 현재까지도 의료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음은 물론이고 한의학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 『傷寒論』을 해석하거나 이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이론을 창발하는 과정이 한의학 발전에 막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
脉, 浮, 厥 등 提綱과 條文의 글자는 金文을 중심으로 해석한 이유는? 한편, 『傷寒論』의 15字行이 저술되었다고 추정되는 시기27)에는 金文이 유행하였는데 이것이 大篆, 小篆으로 넘어가면서 뜻과 형태가 여러 이유에 의해 와전된 경우가 많다35). 따라서 脉, 浮, 厥 등 提綱과 條文의 글자는 金文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그동안의 한의학이 어떤 이론을 기초로 한 논의를 통해 발전하였는가?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傷寒論』에 대한 과거의 검증되지 않은 이론,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임상과 연구, 교육에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의 한의학이 『黃帝內經』의 이론을 기초로 한 논의를 통해 발전해왔던 것과는 달리 『黃帝內經』과 『傷寒論』은 그 서술 체계가 상이하다는 연구들24-27)이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동향이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진행된 것을 보면 『傷寒論』에 대한 검증과 임상적 효용을 입증하는 연구는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Joon-Jeon Moon, et al. Interpretation of Shanghanlun. Korean medicine publish. 2010;ⅲ:104-107. 

  2. Eun-Ha Kim and Jong-hyun Park. A Study on Building a Database of Prescription and Herbs on the Shanghanron.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2010:35(4):17-23. 

  3. Junbiao Wu et al. Zhen-wu-tang attenuates cationic bovine serum albumin-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rat through inhibiting AGEs/RAGE/ $NF-{\kappa}B$ pathway activation.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16;33:33-41. 

  4. Jie Ma, et al. Neurological mechanism of Xiaochaihutang's antidepressant-like effects to socially isolated adult rats.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16;68(10):1340-1349. 

  5. Huarong Xu et al. Qualitative screening of absorbed indoloquinazoline alkaloids and their metabolites in rat plasma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Wu-Zhu-Yu decoction by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with multiple data mining algorithms.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2016;39(16):3260-3266. 

  6. Kuo Zhang et al.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Xiaochaihutang in a neuroendocrine mouse model of anxiety/depress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6;194:674-683. 

  7. Zhili Xiong et al. Serum metabonomics study of anti-depressive effect of Xiao-Chai-Hu-Tang on rat model of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 Journal of Chromatography B. 2016;1029:28-35. 

  8. Rong Rong, et al. Mahuang-Xixin-Fuzi decoction reduces the infection of influenza A virus in Kidney-Yang deficiency syndrome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6;192:217-224. 

  9. Yang Zhang, et al. Improved prescription of taohechengqi-tang alleviates D-galactosamine acute liver failure in rat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6;22(8):2558. 

  10. Shufang Wang, et al. Identifica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in two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e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off-line nuclear magnetic resonance.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2016;117:255-265. 

  11. Qihui Sun,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in Mahuang-Fuzi-Xixin decoction based 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and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s. Biomedical Chromatography, 2016. 

  12. YaXiong Yi, et al.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14 active components in Yinchenhao decoction by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Method development and ingredient analysis of different commonly prepared samples.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2016;39(21):4147-4157. 

  13. Shufang Wang, et al. Rapid discovery and ident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by activity index, LC-MS, and NMR. Scientific Reports, 2016:6. 

  14. Kaiwen Luo, Qingshui Shi, Fang Feng. Characterization of global metabolic profile of Zhi-Zi-Hou-Po decoction in rat bile, urine and feces after oral administration based on a strategy combining LC-MS and chemometrics. Journal of Chromatography B. 2016. 

  15. Eun-Jin Seong, et al. Comparative study on stability and efficacy of Banhasasim-tang decoction depending on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s. J Korean Med. 2016;37(1):21-33. 

  16. Lee Sang-Hyup, Kim Hoon. A study on the Transmutation among Six-channels in Shanghanlun.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5;28(3):27-43. 

  17. Ju Bao-zhao, Kim Hyo-chul. A Study on the Harmonization Method(和法) in Huang Di Nei Jing(黃帝內經) and Shanghan ZabingLun(傷寒雜病論).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5;28(4):057-063. 

  18. Kim Jong-hyun, et al. A Study on Acupuncture in Shanghanlun(傷寒論).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5;28(1):127-142. 

  19. Mi Sun Park, Yeong Mok Kim. Study on Diseases Scope of Prescriptions Related with the Palpitation in Shanghanlu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29(1):1-10. 

  20. Jung Kyun B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of Shanghanlon(傷寒論) and the defensive Gi(衛氣).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6;29(2):151-163. 

  21. Hung-Tsu Cheng, et al. The Classification of Sini Decoction Patter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y Gene Expression Profiling.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6, 2016. 

  22. Varela A., Fernandes D., Faro J. Efeect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hang han lun formulas in the treatment of influenza like illness condition(ILI). Revista da UIIPS, 2016;4(3):1-23. 

  23. Feng-jing Shao et al. Complex network model of the Treatise on Cold Damage Disorder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2016;460:152-161. 

  24. Feng SR. The Six Meridians and Prescription-Symptoms of ShangHanLun. Seoul. Omniherb. 2012;6:529. 

  25. CHEN Fang-pey, et al. Modern use of Chinese herbal formulae from Shang-Han Lun. Chinese Medical Journal. 2009;122(16):1889,1893. 

  26. Otsuka Geisetsu. Explanation of Shanhanlun. Euibang publish. 2004:39. 

  27. Kyong-Mo Park, Seung-Hun Choi. The comparative study of Sanghanron and hwangjenaegyeongth rough historical study on Gangpyung.Sanghanron. J. Korean Medical Classics. 1995;9:263-300. 

  28. Soong-In Lee. A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Way of Medical Study of ShangHanLun.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Medicine Society For The Herbal Formula Study. 2014;22(2):1-13. 

  29. SJ Lee, JE Lim.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30. Jung-Hoon Kim, Hyeun-Kyoo Shin, Chang-Seob Seo. Chemical interaction between Paeonia lactiflora and Glycyrrhiza uralensis, the components of Jakyakgamcho-tang, using a validat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Herbal combination and chemical interaction in a decoction.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2014;37(19):2704-2715. 

  31. Chang-Seob Seo and Hyeun-Kyoo Shi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leven Marker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Formula, Jakyakgamcho-Tang Decoction Using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Yakhak Hoeji. 2016;60(2):64-72. 

  32. Soo-Jin Jeong, et al. Traditional herbal formula Jakyakgamcho-tang (Paeonia lactiflora and Glycyrrhiza uralensis) impairs inflammatory chemokine production by inhibiting activation of STAT1 and $NF-{\kappa}B$ in HaCaT cells. Phytomedicine. 2015;22(2):326-332. 

  33. Sung Ha, Ho-Keun Lee, Dong-il Seo. Effects of Peony-Licorice Mixture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Lactate Levels. Kor. J. Herbology. 2012;27(5):93-97. 

  34. Wenzong Zhu, et al. Clinical efficacy and sEMG analysis of a new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pasticity following apoplectic hemiparalysis. Acta Neurologica Belgica. 2014;114(2):125-129. 

  35. Kwan-soo Moon,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isinterpretations about Chinese Bronze Characters. Journal of regional culture research. 2013;12:181-218. 

  36. SI Lee. Comparison of Shanghanlun.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5:195,196. 

  37. WORLD HEALTH ORGANIZATION, et al.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7. 

  38. Otsuka Geisetsu. Explanation of Shanhanlun. Euibang publish. 2004:72-74. 

  39. Otsuka Geisetsu. Explanation of Shanhanlun. Euibang publish. 2004:38-39. 

  40. YB Rho, KI Kim. Shanghanlun-Paleographic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Bada Publishing company. 2015:46,47,49,50,57,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