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약 폭발에 의한 탄화수소계 연료의 분산매질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persed Media Formation of Hydrocarbon Fuel by an Explosive Burster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2, 2016년, pp.33 - 40  

유재헌 (국방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quid fuel can be easily exploded and release more energy of detonation than conventional explosives because it has different explosion mechanism. In order to analyz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fuel for the safety purpose, two tests are conducted. First, pre-test, which is a computer si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타 연료 대비 정보가 부족한 heptane의 분산 특성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약을 이용하여 연료 분산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분산화약의 밀도, 약량에 따른 액체연료의 분산형태, 반경,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을 통해 획득하였다.
  • 7 g/cc, 질량 145 g의 중약량 조건을 기준으로 하고 화약의 상태방정식은 CHEETAH code19) 결과를 적용하였다. 또한 외부 용기는 20개의 홈을 내어 노치가공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격자의 간격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 추가로 시험 수행사전에 상용 코드인 AUTODYN을 활용하여 기폭 초기용기의 파열 형태 및 속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용기에 의한 액체연료의 불안정한 분산을 최대한 배제하고 분산화약의 영향만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획득한 정보 중 연료 분산 반경을 활용하여 초기연료 분산 시 인화원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위험반경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서론에 언급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인 분산화약의 충전 밀도와 약량에 따른 액체 연료의 분산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참고로 시험에 사용된 분산화약량이 100~200 g 수준으로 실내/소규모 시설에서의 시험은 부적합하며, 근처에 장애물이 없는 개활지에서의 시험이 요구된다.
  • 앞서 분석한 분산화약량, 밀도별 속도 및 분산 면적결과와 더불어 위험 반경을 산정하기 위해 연료 분산매질의 최대 반경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액체 연료가 폭발하면 강력한 압력과 화염을 발생시켜, 근접한 위치에 인화성 물질이 있을 경우 연쇄 폭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액체 연료에 대한 위험반경 및 피해거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고21) 관련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어야 한다.
  • 분산화약량에 따른 분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약량을 3종으로 구분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약량을 증가시켰지만 용기는 모두 동일하게 제작하여 크기에 따른 변화를 상쇄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화약을 이용하여 연료 분산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분산화약의 밀도, 약량에 따른 액체연료의 분산형태, 반경,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시험을 통해 획득하였다. 추가로 시험 수행사전에 상용 코드인 AUTODYN을 활용하여 기폭 초기용기의 파열 형태 및 속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용기에 의한 액체연료의 불안정한 분산을 최대한 배제하고 분산화약의 영향만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획득한 정보 중 연료 분산 반경을 활용하여 초기연료 분산 시 인화원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위험반경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액체 연료인 heptane과 민감제를 혼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 Lee, "Lees'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4th Edition", Butterworth-Heinemann, pp. 1506-1508, 2012. 

  2. J. K. Yoon, "Discussion on the Cause of Bucheon LPG Station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Vol. 16, No. 3, pp. 31-34, 2001. 

  3. K. -h. Oh, H. -s. Kim and C. -h. Lee, "A Study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Flammable Gas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Vol. 7, No. 3, pp.66-72, 1992. 

  4. K. -h. Oh, S. -E. Lee and K. -W. Rhie,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Hydrogen-Air and LPG-Air Explosion to F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9, No. 4, pp.150-154, 2004. 

  5. K. -h. Oh, "A Study on the Explosion Relief Venting in the Gas Explo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0, No. 3, pp.53-60, 2005. 

  6. S. H. Lim and Y. J. Huh,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Estimation for Surround Building caused by Vapor Cloud Explosion (VCE) in LPG Filling 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5, No. 1, pp.44-49, 2010. 

  7. S. H. Lim and Y. J. Huh, "A Study on the Damage of Flame caused by the Vapor Cloud Explosion in LPG Filling 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5, No. 3, pp.53-60, 2010. 

  8. N. -S. Kim and D. -J. Park,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LPG/Air Mixture by Electrostatic Discharge Energ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6, No. 6, pp.26-30, 2011. 

  9. A. Apparao, C. R. Rao and S. P. Tewari, "Studies on Frmation of unconfined Detonable Vapor Cloud using Explosive Mea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254-255, pp. 214-220, 2013. 

  10. A. Apparao and C. R. Rao, "Performance of Unconfined Detonable Fuel Aerosol of Different Height to Diameter Ratios", Propellents, Explosives, Pyrotechnics, Vol. 38, pp. 818-824, 2013. 

  11. Q. Zhang, W. Kezhen, A. Luo, D. Wang and B. Qin, "Numerical Simulation on Dispersal Character of Fuel by Central HE", Defense Science Journal, Vol. 57, No. 4, pp.425-433, 2007. 

  12. Q. Zhang, D. Lin, C. Bai and Y. Guo, "Effect of Center High Explosive in Dispersion of Fuel", Journal of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Vol. 13, No. 2, pp. 174-178, 2004. 

  13. C. Bronsky, I. Moen and S. Murray, "Dispersed fuel-air explosives: Evaluation of alternate fuels and fuel combinations", Memorandum 1189, Defense Research Establishment Suffield, Ralston, 1987. 

  14. P. Lu, N. Slagg and C. Br. Fishburn, "Relation of Chemical and Physical Process in Two-phase Detonations", Acta Astronaut, Vol. 6, pp 815-826, 1979. 

  15. A. Apparao, "Fuel Air Explosives", Defense Science Journal, Vol. 37, No. 1, pp. 23-28, 1987. 

  16.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http://www.cdc.gov/niosh/npg 

  17. Air Blast Parameter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Nitroguanidine and Guanidine Nitrat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Technical Report AD-A018 247, 1974. 

  18. E. S. Kim, J. H. Kim, J. H. Shim, J. P. Kim, J. M. Goh and N. K. Park, "A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Evaluation of Explosive Pressure and Velocity for LNG Explosion Accident using AUTODY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4, pp. 56-63, 2015. 

  19. L. E. Fried, W. M. Howard and P. C. Souers, "CHEETAH 2.0 User's Manual",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UCRL-MA-117541 Rev. 5, 1998. 

  20. D. C. Bull, M. A. McLeod, G. A. Mizner, "Detonation of unconfined fuel aerosols in 'Gas Dynamics of Detonations and Explosions", Progress in Astronautics and Aerodynamics, Vol. 75, pp. 48-60, 1981. 

  21. K. -D. Lee and C. -S. Shin, "A Study on The Damaging Distance and the Explosion Effect by the LPG Relea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Vol. 14, No. 2, pp.109-115,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