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2, 2016년, pp.171 - 181  

전해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 and October 16, 2015 vi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70 nursing s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 중 간호학과 공부에 대한 부담감에 대해 심하게 느끼 거나 매우 심하게 느끼는 경우가 5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학과 특성을 고려하여 간호전문직의 학문적 영향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영향을 고려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재학 기간 중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자료수집 전에 서면으로 작성된 연구 설명서를 통해 연구의 목적, 설문 소요시간, 설문의 익명성 보장, 설문 중 원치 않을 경우 본인의 의사에 따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과 어떠한 신체적, 정신적 불이익이 없음에 대해 자세히 공지되었다. 이후 자발적으로 설문에 응하는 대상자에 한해 서면으로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자가 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호전문직관, 학업적 실패내성,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 향상 및 사회 심리적인 건강향상에 도움이 되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적 실패내성이란 무엇인가? 학업적 실패내성이란 학업적 실패 경험이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게 되어, 실패경험에 대해 건설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성을 의미하는데, 실패경험 후 느끼는 감정적인 반응과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이후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 하는 행동적 반응에 대한 경향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Clifford, 1984). 이러한 학업적 실패내성은 스트레스나 위험을 유발하는 상황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그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자아탄력성(ego-resilience)과 유사하나, 학업적 실패경험에 국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Luthar, 1991).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는 것이 개인의 학교 적응력 및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예측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학업적 실패내성은 스트레스나 위험을 유발하는 상황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그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자아탄력성(ego-resilience)과 유사하나, 학업적 실패경험에 국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Luthar, 1991). 학업적 실패경험은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좌절감이나 우울감 등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수행에서 성공에 대한 기대를 떨어뜨릴 수 있다(Kim, 2002). 그렇기 때문에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는 것은 개인의 학교 적응력 및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은 간호대학생의 경우 전공 관련 학업스트레스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대학생활 삶의 만족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전문직관이란 무엇인가? 간호전문직관이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활동 과정, 간호사 직업에 대한 의식적인 견해를 의미한다(Yeun, Kwon, & Ahn, 2005). 간호전문직관은 가치관에 근거를 두고 있고, 행동의 기준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며(Weis & Schank, 2000),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Kwon & Yeu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 Bozoglan, B., Demirer, V., & Sahin, I. (2013). Lonelines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Turkish university student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4(4), 313-319. 

  3. Cho, M. S., & Lee, Y. H. (2001). The effect of probability, cost judgemental biases for negative social event and self efficacy in social situation on social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 93-103. 

  4. Choi, J., & Park, M. (2013).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339-349. 

  5. Clifford, M. M. (1984). Thoughts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Educational Psychology, 19, 109-120. 

  6.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91. 

  8. Han, K. S., Park, Y. J., Kim, K. M., Oh, Y. J., Jin, J. H., & Kang, H. C. (2008). Communication style, self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ways of cop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1), 28-34. 

  9. Han, K. S., Yang, Y. K., Bae, M. H., & Yang, S. H. (2014).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ollege student of nursing.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1), 23-33. 

  10. Han, S., Kim, M., & Yun, E. K.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73-79. 

  11. Jeon, H. O., & Yeom, E. (2014).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796-807. 

  12. Kim, A. (2002).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tudent motivation scal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5(1), 157-184. 

  13. Kim, K., & Lim, J. (2012). Effects of optimism and orientations to happi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1), 89-101.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December). Some causes of the psycho-social anxiety in Korea and how to address them. Retrieved January 20, 2016,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research/list.jsp 

  15. Kwon, Y. M., & Yeun, E. J.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 

  16. Lee, J., & Lee, H. (1998). A study on quality of life among college student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5(2), 105-117. 

  17. Lee, J. S., & Cho, N. H. (2001). The effects of students' success or failure experience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22(2), 25-36. 

  18. Luthar, S. S. (1991).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 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3), 600-616. 

  19. Mahmoud, J. S., Staten, R. T., Hall, LA., & Lennie, T. A. (2012).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xiety, stress, demographics,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style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3(3) 149-156. 

  2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5, August). 2015 How's life. Retrieved January 20, 2016, from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11111111111 

  21. Park, H. S., & Kwon, B. S. (2006). Satisfaction with life and it's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1), 48-56. 

  22. Song, H. R. (2010).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3. Song, Y. S. (2012).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71-80. 

  24. Scheier, L. M., Botvin, G. J., Diaz, T., & Griffin, K. W. (1999). Social skills, competence, and drug refusal efficacy as predictors of adolescent alcohol use. Journal Drug Education, 29(3), 251-279. 

  25. Trzeniewski, K. H., Donnellan, M. B., Moffitt, T. E., Robins, R. W., Poulton, R., & Caspi, A. (2006). Low self-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s poor health, criminal behavior a limited economic prospects duri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81-390. 

  26. Wei, M., Russell, D. W.,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social self-efficacy, self-disclosure, loneliness, and subsequent depression for freshman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4), 602-614. 

  27. Weis, D., & Schank, M. 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2(2), 201-204. 

  28. Whang, S.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 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2, 205-213. 

  29.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30. Yoon, H. K., Choi, J., Lee, E., Lee, H., & Park, M. (2013). Effects of decision making competenc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mpulse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5), 658-6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