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종사자의 병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활동
Awareness of Hospital Safety Culture and Safety Activities of Worke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2, 2016년, pp.191 - 201  

하은호 (중원대학교 의료보건대학 간호학과) ,  현경순 (의료기관평가인증원) ,  조진영 (중원대학교 의료보건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wareness of hospital safety culture (AHSC) and safety activities (SA) of worke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afety activities. Methods: 303 Participants from the tertiary care hospital in Seoul were invited.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의 병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병원종사자들의 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 2012).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의료기관인증조사기준집을 근거로 한 병원종사자들의 전반적인 병원안전활동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앞둔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병원안전문화 인식과 그에 따른 안전활동을 알아보고 병원종사들의 안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은 2014년 기준 43개로 이 중 17개 의료기관이 서울(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 2014)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 의료기관은 병원 및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정부에서 인증하는 의료기관인증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주기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앞둔 상급종합병원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병원안전문화 정도와 안전활동 정도를 분석하여 인증평가 준비정도를 점검하고, 병원종사자들의 안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병원 및 환자안전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의료 서비스는 환자에게 어떤 느낌을 받게 하는가? 미국은 환자 및 병원안전을 실현하기 위해 정확한 환자 확인, 효율적 의사소통, 안전한 투약, 임상경보시스템 강화, 감염 및 낙상 예방 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병원에서 제공되는 모든 의료 서비스는 환자에게 안전적(safe)이고, 효과적(effective), 환자중심적(patient-centered), 시기적절(timely)하여야 하며, 효율적(efficient)이고, 공정(equitable)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Ulrich & Kear, 2014). 우리나라는 2007년 의료기관평가 2주기를 기점으로 병원의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고 2010년 의료법 개정과 함께 의료기관 평가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환자안전 및 병원안전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Hwang et al.
안전문화 조성은 어디에 영향을 주는가? 안전한 병원환경의 구축과 의료사고에 대한 개방적인 논의를 허용하는 병원의 안전문화 조성은(Kim et al., 2007; Kim & Kim, 2012) 병원종사자들의 병원안전활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병원의 조직성과 및 환자결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Duff, 2013; Hofmann & Mark, 2006; Ulrich & Kear, 2015). 의료사고 보고에 대한 병원의 비징벌적 태도 및 실수를 수용하는 관리자의 태도는 병원종사자들의 안전활동(환자안전관리, 환경안전관리, 보안 및 재난관리, 감염관리 등)에 대한 자아성찰 및 비판적 사고를 독려하고 안전활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선도하여 병원 내 안전사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Kear & Ulrich, 2015; Raeissi et al.
의료기관에서 중요시 여기는 환자안전의 주목표와 무엇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가?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의료사고는 환자, 보호자는 물론 지역사회로부터의 의료진에 대한 불신뿐만 아니라 병원의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어(Singer, Lin, Falwell, Gaba, & Baker, 2009) 직종, 직위를 막론하고 병원종사자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Ulrich & Kear, 2014). 따라서 환자안전은 손상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것이 주목표이며, 사고를 예방하는 활성화된 의료전달체계와 실수로부터 배우는 학습문화 형성은 환자안전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Stevanin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Retrieved November 20, 2015, from the Web site at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hospital/index.html 

  2. Buljac-Samardzic, M., van Wijngaarden, J. D., Dekker-van, & Doorn, C. M. (2015). Safety culture in long-term care: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 in nursing and residential homes in the Netherlands. BMJ Quality & Safety, in press. http://dx.doi.org/10.1136/bmjqs-2014-003397 

  3.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4. Duff, B. (2013). Creating a culture of safety by coaching clinicians to competence. Nurse Education Today, 33(10), 1108-1111. http://dx.doi.org/10.1016/j.nedt.2012.05.025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Explanation of terms in easy way. Retrieved October 17, 2015, from the Web site at http://www.hira.or.kr/re/term/getExplainList.do?pgmidHIRAA030407000000&searchWrd상급종합병원&sno44 

  6. Hemmat, F., Atashzadeh-Shoorideh, F., Mehrabi, T., & Zayeri, F. (2015). A survey of nurs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4), 490-495. http://dx.doi.org/10.4103/1735-9066.161003 

  7. Hofmann, D. A., & Mark, B. (2006).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medication errors as well as other nurse and patient outcomes. Personnel Psychology, 59(4), 847-869. http://dx.doi.org/10.1111/j.1744-6570.2006.00056.x 

  8. Hwang, J. S., Lee, S. Y., Jeon, Y. J., Lee, H. O., Kwak, Y. Y., & Lee, J. G. (2014). A descriptive study of militar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2(1), 92-104. 

  9. Kear, T., & Ulrich, B. (2015).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ulture in nephrology nurse practice settings: Issues, solutions, and best practices. Nephrology Nursing Journal, 42(2), 113-122. 

  10.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11. Kim, M. Y., & Kim, Y. M. (2012). Comparative studies i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and dental hygien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1), 5196-5205.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5196 

  12. Kim, W. O., Moon, S. J., & Han, S. S. (2010). Contingent nurses's burnout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 Academy Nursing, 40(6), 882-89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6.882 

  13. Martin, H. A., & Ciurzynski, S. M. (2015).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guided huddles improve communication and teamwork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41(6), 484-488. http://dx.doi.org/10.1016/j.jen.2015.05.017 

  14. Park, S. J., Kang, J. Y, & Lee, Y. O.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44-55. 

  15. Pronovost, P. J., Weast, B., Holzmueller, C. G., Rosenstein, B. J., Kidwell, R. P., Haller, K. B., et al. (2003).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2(6), 405-410. 

  16. Raeissi, P., Reisi, N., & Nasiripour, A. A. (2015). Assess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Iranian academic hospitals: Strengths and weaknesses. Journal of Patient Safety, in press. http://dx.doi.org/10.1097/PTS.0000000000000199 

  17. Silverston, P. (2014). The Safe Clinical Assessment: a patient safety focused approach to clinical assessment. Nurse Education Today, 34(2), 214-217. http://dx.doi.org/10.1016/j.nedt.2013.03.001 

  18. Singer, S., Lin, S., Falwell, A., Gaba, D., & Baker, L. (2009). Relationship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in hospitals. Health Services Research, 44(2p1), 399-421.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8.00918.x 

  19. Smeby, S. S., Johnsen, R., & Marhaug, G. (2015). Documentation and disclosure of adverse events that led to compensated patient injury in a Norwegian university hospital.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7(6), 485-489 http://dx.doi.org/10.1093/intqhc/mzv084 

  20. Stein, A. D., Makarawo, T. P., & Ahmad, M. F. R. (2003). A survey of doctors' and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Birmingham teaching hospital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54(1), 68-73. http://dx.doi.org/10.1016/S0195-6701(03)00074-4 

  21. Stevanin, S., Bressan, V., Bulfone, G., Zanini, A., Dante, A., & Palese, A. (2015). Knowledge and competence with patient safety a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of a cross-sectio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5(8), 926-934. http://dx.doi.org/10.1016/j.nedt.2015.04.002 

  22. Toghian, C. N., Ahrari, S., & Alikhah, S. (2014). Comparison the effect of teaching of SBAR technique with role play and lecturing on communication skill of nurses. Journal of Caring Sciences, 3(2), 141-147. http://dx.doi.org/10.5681/jcs.2014.015 

  23. Ulrich, B., & Kear, T. (2014).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ulture: Foundations of excellent health care delivery. Nephrology Nursing Journal, 41(5), 447-456. 

  24. Ulrich, B., & Kear, T. (2015). Patient safety culture in nephrology nurse practice settings: Results by primary work unit, organizational work setting, and primary role. Nephrology Nursing Journal, 42(3), 221-236. 

  25. Waeschle, R. M., Bauer, M., & Schmidt, C. E. (2015). Errors in medicine: Causes, impact and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patient safety. Der Anaesthesist, 64(9), 689-704. http://dx.doi.org/10.1007/s00101-015-0052-4 

  26. Yoon, S. H., Kim, B. S., & Kim, S. Y.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3), 379-38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79 

  27. Yoon, S. H., Kim, S. Y., & Wu, X. L. (2014). Perception of worker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3), 247-256.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