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을 위한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효과: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 비교
A Comparis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Conditions in Reciprocal Attention Intervention for Improving Joint Atten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2, 2017년, pp.19 - 43  

정필은 (이화뮤직웰니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 4-5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의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를 교대로 실시하여 공동주의 기술 향상에 미치는 중재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한 가지 방법인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고,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의 중재를 사전에 결정된 무작위 순서에 따라 회기 내 교대로 실시하였다. 총 23회기의 전체 프로그램은 기초선(3회기), 중재(15회기), 유지(5회기)의 절차로 이루어졌다. 음악 조건에서는 구조화된 공동 악기 연주, 음악적 신호(cue)에 따른 주의전환, 상호적 악기연주가 이루어졌고, 비음악 조건에서는 조립장난감을 이용한 공동 놀이, 언어적 신호에 따른 주의전환, 장난감 주고받기가 이루어졌다. 중재 내 나타난 공동주의 행동 변화는 공동주의 반응행동과 얼굴 쳐다보기, 공동 활동에 참여하기의 발생 빈도로 측정되었고, 중재 사전 사후에는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가지 조건 모두에서 공동주의 행동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음악 조건이 비음악 조건에 비해 증가하는 폭이 크고 더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구조화된 음악적 환경 안에서, 음악을 통해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고 주의를 조절하는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eciprocal attention intervention on the joint atten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by comparing the music and nonmusic conditions.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as applied as one of the single subject designs and the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장 먼저 진행된 공동참여 활동에서는 공동주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표적한 것은 아니지만,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전조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 타인과 동일한 사물을 공유하고 공통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행동을 목표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공동주의 반응 행동을 직접적으로 목표하여 대상자들이 주의를 조절하고 전환하는 행동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개입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주의 전환을 훈련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상호 주의 중재를 구성하여 해당 중재가 ASD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 자극의 활용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를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으로 각각 구성하여 교대로 제공함으로써 각 중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ASD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을 위한 중재 구성 시, 사회적인 맥락 안에서의 단계적인 중재 개입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특히 공동주의 발달을 촉진시키는데 있어 음악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음악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한 구조화된 악기연주를 통해 ASD 아동의 공동주의 집중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공동주의 향상을 목표로 한 다양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연구 대상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보호자가 평가한 사회적 타당도 점수는 각 항목 당 문항별 평균값으로 산출되었으며, 총 5점 중효과성에서 3.
  •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 내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의 교대 개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SD 아동 대상 임상경력이 8년 이상이고 음악치료학박사 학위 소지자인 음악치료 전문가 2인이 중재 충실도를 평가하였다. 중재 충실도는 동영상 관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중재 영상 중 20%의 영상이 무작위로 선정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23회기의 프로그램 전후에 Mundy 등(2003)이 개발한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척도(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 이하 ESCS) 중 공동주의에 대한 평가인 세부 검사 두 가지를 실시하였다. 실시된 세부 검사는 ‘주의 단서에 따라 4개 방향에 부착된 그림 쳐다보기’와 ‘주의 단서에 따라 그림책 내에서 지시된 그림 쳐다보기’이다.
  • 연구자가 먼저 사물의 조립을 진행하면서 언어적으로 대상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대상자가 다가와 참여를 시작하면 장난감을 공유한 뒤 함께 조립하는 절차를 거쳤다. 본 활동에서 활용된 장난감의 경우, 색깔, 모양 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공동 참여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사용된 장난감은 자동차모양 블록, 비행기 선로 조립장난감 등이다.
  • 본 활동에서는 교대로 장난감을 주고받는 구조의 놀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호작용 구조에 대한 인식 및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언어적 신호를 통해 주의를 유도한후, 대상자가 주의를 전환하면 즉각적으로 장난감을 전달하였다.
  • 본 활동은 언어적 신호를 주의 전환에 대한 신호로 제공하여 새로운 장난감으로 주의를 전환시키는 활동이다. 연구자는 장난감 제시 시 “◯◯야 이것 봐”라는 언어적 신호를 제공하여 주의 전환을 유도하였다.
  • 본 활동은 음악적 패턴으로 변환시킨 사회적 정보를 주의 전환에 대한 신호로 제공하여 연구자가 제시하는 새로운 악기로 주의를 전환시키는 활동이다. 연구자는 악기 제시 시, [Figure 2]와 같은 음악적 신호를 제공하여 주의 전환을 유도하였는데, 이 때 사용된 음악적신호의 패턴과 조성은 이전의 음악 자극과 현저하게 구별되도록 구성해 주의 전환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고자 하였다.
  • 본 활동은 음악적 패턴으로 변환시킨 사회적 정보를 주의 전환에 대한 신호로 제공하여 연구자가 제시하는 새로운 악기로 주의를 전환시키는 활동이다. 연구자는 악기 제시 시, [Figure 2]와 같은 음악적 신호를 제공하여 주의 전환을 유도하였는데, 이 때 사용된 음악적신호의 패턴과 조성은 이전의 음악 자극과 현저하게 구별되도록 구성해 주의 전환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대상자의 주의 전환 행동이 나타나면 즉각적으로 악기를 전달하여 연주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 때 연구자는 키보드로 대상자의 악기연주를 반영한 음악을 제공하여 목표 행동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연구자는 장난감 제시 시 “◯◯야 이것 봐”라는 언어적 신호를 제공하여 주의 전환을 유도하였다. 이 때 연구자는 장난감이 있는 쪽으로 시선을 돌리며 손가락을 가리켜 주의 전환 행동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주의 전환 행동이 나타나면 즉각적으로 장난감을 전달하여 놀이 기회를 제공하였고, 연구자는 언어적 강화와 함께 공동 놀이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중재에서는 공동주의행동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훈련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와 같은 중재 구성이 공동주의 반응행동의 증가뿐만 아니라 타인을 인식하는 행동의 공동 참여하기와 자발적인 공동주의 행동의 얼굴 쳐다보기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을 대상으로 공동주의 중재를 제공할 시, 효과적인 중재 개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ASD 아동의 주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사회적 정보를 제공할 때,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자는 악기 제시 시, [Figure 2]와 같은 음악적 신호를 제공하여 주의 전환을 유도하였는데, 이 때 사용된 음악적신호의 패턴과 조성은 이전의 음악 자극과 현저하게 구별되도록 구성해 주의 전환에 대한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대상자의 주의 전환 행동이 나타나면 즉각적으로 악기를 전달하여 연주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 때 연구자는 키보드로 대상자의 악기연주를 반영한 음악을 제공하여 목표 행동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공된 악기에 대상자의 주의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새로운 악기를 제시하며 음악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주의 전환을 유도하는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주의 전환을 훈련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상호 주의 중재를 구성하여 해당 중재가 ASD 아동의 공동주의 기술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 자극의 활용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를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으로 각각 구성하여 교대로 제공함으로써 각 중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에 참여한 ASD 아동은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에 따른 주의 전환유도 시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2.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에 참여한 ASD 아동은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에 따라 세션 내에서 자발적으로 시도한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3. 단계적 상호 주의 중재에 참여한 ASD 아동은 음악 조건과 비음악 조건에 따라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시 보이는 공동주의 반응행동에 있어 사전사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인 맥락에서의 공동주의란 무엇인가? 공동주의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타인과 공통의 대상, 특정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 타인과 주의를 공유하는 기술을 말하며(Tomasello, 1995), 타인이 관심을 공유하기 위해 시도한 행동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행동과 자신이 직접 타인의 주의를 유도하는 시도 행동으로 나누어진다(Mundy, Delgado, Block, Venezia, Hogan, & Seibert, 2003). 공동주의 반응 행동은 시도 행동에 앞서 발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초기 기술 발달에서의 장애가 다른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기술의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Charman, 2003; Kim & Chung, 2016).
자폐범주성장애란 무엇인가?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는 발달 초기에 발현되는 신경발달장애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능적 행동 조절에 결함이 나타나는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이 중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에서 보이는 결함은 ASD의 두드러진 결함이며(Kim, 2010; Kim, Jeon, & Lee, 2012), 특히 타인과 주의를 공유하는 공동주의(joint attention) 기술은 영아기에 발달하는 초기 사회 기술로, 이후 ASD의사회적 결함 및 의사소통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장해 요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parella, Goods, Freeman, & Kasari, 2011).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개입하는 경우 외부 감각 자극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것은? 따라서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개입하는 경우, 적절한 주의 전환 및 조절을 촉진할 수 있는 외부 감각 자극의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자극 활용 시, 고려해야 하는 점은 ASD 아동이 감각 정보처리에 있어 비전형적인(atypical)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제공되는 소리 자극에 대해 매우 둔감하거나 혹은 과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데(Ayres & Robbins, 2005), 이처럼 소리 자극 제공 자체만으로는 기대하는 반응을 유도하는 데 제한이 있다는 점(Greenspan & Wieder, 2006)을 볼 때, 해당 대상군의 주의 조절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이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사한 맥락에서 제공되는 청각적 자극이 단순한 패턴 혹은 복잡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도 반응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반응 차이가 자폐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게 야기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alas,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Ayres, A. J., & Robbins, J. (2005).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Understanding hidden sensory challenges. Wilshire Boulevar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Berger, D. S. (2012). Music therapy, sensory integration and the autistic child(자폐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와 감각통합) (Rev. ed.). Seoul: Sigma Press. 

  4. Chang, J. E., Lee, S. H., & Lee, J. Y. (2016). Research trends and issues for improving joint attention in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an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자폐 범주성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공동관심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동향 및 과제).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2), 5-30. 

  5. Charman, T. (2003). Why is joint attention a pivotal skill in autism?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58(1430), 315-324. 

  6. Chong, H. J. (2003).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자폐성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4(1), 57-66. 

  7. Greenspan, S. I., & Wieder, S. (2006). Engaging autism: Using the floortime approach to help children relate, communicate, and think. Boston, MA: Da Capo Books. 

  8. Gulsrud, A. C., Kasari, C., Freeman, S., & Paparella, T. (2007). Children with autism's response to novel stimuli while participating in interventions targeting joint attention or symbolic play skills. Autism, 11(6), 535-546. 

  9. Kalas, A. (2012). Joint attention respons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simple versus complex music. Journal of Music Therapy, 49(4), 430-452. 

  10. Kim, E. K. (2010). Early social communication featur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자폐 스펙트럼 장애 영유아의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종단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0(2), 25-49. 

  11. Kim, J., Wigram, T., & Gold, C. (2008). The effects of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on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autistic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8(9), 1758-1766. 

  12. Kim, M. J., & Chung, K. M. (2016). A review of behavior interventions for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동주의 능력 증진을 위한 행동 치료에 대한 탐색적 문헌 분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2), 557-583. 

  13. Kim, M. S., Jeon, J. A., & Lee, Y. K. (2012). Communica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행동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2(2), 1-20. 

  14. Lee, H. S., Kang, W. S., Bae, M. J., Jang, S. J., Kim, K. H., Kang, J. B., ... An, J. U. (2010). Exploring responses of children labeled with autism to auditory, visual and tactile stimuli through interacting with a robot(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4), 371-399. 

  15. Lee, S. R., & Kim, S. J. (2013). Comparison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비교연구). Special Education Research, 12(3), 107-126. 

  16. Mundy, P., Delgado, C., Block, J., Venezia, M., Hogan, A., & Seibert, J. (2003).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 (ESCS). Coral Gables, FL: University of Miami. 

  17. Paparella, T., Goods, K. S., Freeman, S., & Kasari, C. (2011). The emergence of nonverbal joint attention and requesting skill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4(6), 569-583. 

  18. Reitman, M. R. (2005).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joint attention in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A pilot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rlos Albizu University, Puerto Rico. 

  19. Siller, M., & Sigman, M. (2002). The behavior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predict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2(2), 77-89. 

  20. Tomasello, M. (1995). Joint attention as social cognition. In C. Moore & P. J. Dunham (Eds.), Joint attention: Its origins and role in development (pp. 103-130). Hillsdale, NJ: Erlbaum. 

  21. Wigram, T., & Gold, C. (2006). Music therapy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Clinical application and research evidence.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2(5), 535-542. 

  22. Yoder, P. J., Bottema-Beutel, K., Woynaroski, T., Chandrasekhar, R., & Sandbank, M. (2014).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effects vary by dependent variable type in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Evidence-Based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7(4), 150-174. 

  23. Yoo, G. E. (2014)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1), 21-37. 

  24. Yoo, G. E. (2016).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1), 61-8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