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광 통신과 퍼지 논리를 이용한 모바일 로봇의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Mobile Robots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Fuzzy Logic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2 no.2, 2016년, pp.75 - 82  

김준영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지수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 ,  강근택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원창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using LED lamps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in an indoor environment wher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does not reach.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mobile robots using a VLC beacon and fuzz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위치인식의 대상이 되는 모바일 로봇의 주행 경로계획을 위해 퍼지 논리를 이용하였으몌 12-14], 이를 가시광 통신 비컨과 연계한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로봇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을 설계하고 이를 가시광 통신 비컨과 연계하여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종래의 가시광 통신을 통한 RSSI 방식의 위치 인식은 높은 인식률을 보이기 위해 광출력 편차, 수신감도 편차, LED의 방사각 등 까다로운 환경 조성이 필요하였고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지 못하였다.

가설 설정

  • 실험 공간의 크기는 지름이 0.3m인 모바일 로봇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가시광 송신 조명이 설치되는 생활 공간의 천장을 가정하여 가로 2m, 세로 2m, 높이 2m로 제한한다. 실험 환경 천장의 조명은 10W의 소비 전력을 가지는 9개의 LED로 격자를 형성하도록 설치하며 SMPS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Borenstein and L. Feng, "Gyrodometry: A new method for combining data from gyros and odometry in mobile robots," Proc. of IEEE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vol. 1, pp. 423-428, Apr. 1996. 

  2. S. Mazuelas, A. Bahillo, R. M. Lorenzo, P. Fernandez, F. A. Lago, E. Garcia, J. Blas, and E. J. Abril, "Robust indoor positioning provided by real-time RSSI values in unmodified WLAN network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vol. 3, no. 5, pp. 821-831, Oct. 2009. 

  3. M. Alsehaili, S. Noghanian, D. A. Buchanan, and A. R. Sebak, "Angle-of-arrival statistics of a three-dimensional geometrical scattering channel model for indoor and outdoor propagation environments,"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vol. 9, pp. 946-949, Sep. 2010. 

  4. M. Vossiek, L. Wiebking, P. Gulden, J. Wieghardt, C. Hoffmann, and P. Heide, "Wireless local positioning," IEEE Microwave Magazine, vol. 4, no. 4, pp. 77-86, Dec. 2003. 

  5. J. B. Song and S. Y. Hwang, "Past and state-of-the-art SLAM technologie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0, no. 3, pp. 372-379, Mar. 2014. 

  6. J. Borenstein, "Measurement and correction of systematic odometry errors in mobile robots," IEEE Transaction on Robotics and Automation, vol. 12, no. 6, pp. 869-880, Dec. 1996. 

  7. N. B. Soni and P. Devendra, "The transition to LED illumination: A case study on energy conservatio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vol. 4, no. 11, pp. 1083-1087, Nov. 2008. 

  8. G. John, E. Hany, and D. C. Thomas, "Impact of lighting requirements on VLC system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1, no. 12, pp. 34-41, Dec. 2013. 

  9.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Part 15.7: Short-Range Wireless Optical - Communication Using Visible Light, IEEE, NewYork, Sep. 2011. 

  10. J. Y. Kim, J. S. Kim, S. H. Park, and W. C. Lee, "Implementation of 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using a Cortex-M processor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1, no. 1, pp. 76-79, Jan. 2015. 

  11. K. Lee and H. Park, "Modulation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with dimming control,"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 23, no. 16, pp. 1136-1138, Aug. 2011. 

  12. M. Trabia, L. Z. Shi, and N. E. Hodge, "A fuzzy logic controller for autonomous wheeled vehicles," Advanced Robotic Systems International, pp. 175-200. Dec. 2006. 

  13. V. Sezer, Z. Ercan, H. Heceoglu, S. Bogosyan, and M. Gokasan, "A new fuzzy speed planning method for safe navigation,"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hicular Electronics and Safety, pp. 381-386, Jul. 2012. 

  14. N. Ouadah, L. Ourak, and F. Boudjema, "Car-like mobile robot oriented positioning by fuzzy control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obotic Systems, vol. 5, no. 3, pp. 249-256. Sep.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