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기조절에 대한 교사신념,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 및 학교준비도의 관계 : 유아 성별에 따른 차이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Beliefs Regarding Self-control, Preschooler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 The Gender Differ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3, 2016년, pp.61 - 78  

성미영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장영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손승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belief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e study sample included 229 preschoolers aged 3 to 5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of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이 매일 상호작용하는 교사가 가진 신념과 태도, 특히 자기규제 및 사회적 조율에 관한 신념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칠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교사신념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학교준비도를 예측할 것이라 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은 교사 보고식 척도나 일반적인 관찰보다는 과업 수행을 통해 직접적으로 측정될 때 더 정확하게 유아의 능력을 반영할 수 있다는 연구자들의 의견을 근거로 하여(Ponitz et al.
  •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담당하는 변인으로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을 선정하여 자기조절에 대한 교사신념,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 학교준비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이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나, 행동적 자기조절과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신념의 영향력에 대해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주어지지 않았다.
  •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이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나, 행동적 자기조절과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신념의 영향력에 대해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자기조절 관련 교사신념과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나타내는 변인으로 읽기, 사회적 기술, 과제수행능력을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학교준비도의 학습, 사회성, 그리고 행동적 영역이 교사신념 및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에 의해 다른 양상으로 예측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자기조절 관련 교사신념과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나타내는 변인으로 읽기, 사회적 기술, 과제수행능력을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학교준비도의 학습, 사회성, 그리고 행동적 영역이 교사신념 및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에 의해 다른 양상으로 예측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연령대는 만 3세에서 만 5세로, 학습준비도와 관련된 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유아기 초기(Dickinson & McCabe, 2001; Dowsett & Livesey, 2000; Lonigan, Farver, Nakamoto, & Eppe, 2013)부터의 연령대를 포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사신념 및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이 유아 학교준비도와 가지는 관계에 있어 성차가 존재할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앞서 교사신념, 행동적 자기조절, 유아 학교준비도 변인에서 유의한 성차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t = -3.

가설 설정

  • 즉, 행동적 자기조절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한 만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의 탐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이 매일 상호작용하는 교사가 가진 신념과 태도, 특히 자기규제 및 사회적 조율에 관한 신념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칠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교사신념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학교준비도를 예측할 것이라 보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어떤 인지적 과정이 통합된 것인가? 자기조절 능력 중에서도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정서 조절과는 대비되는, 외현적인 행동의 규제가 초점(Baumeister & Vohs, 2004)이며 주의 집중(attention), 작업기억(working memory), 그리고 억제(inhibitory control)의 과정을 포함하는 수행기능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Bronson, 2000). 이중 주의집중은 과제에 집중하여 작업기억에 접근하며 과제를 완성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며, 지속적 주의(sustained attention)능력을 획득하기 시작하는 학령전기 유아기가 발달의 중요한 시기이다(Siegler & Alibali, 2005).
교사신념이란? 신념은 어떠한 사안에 대한 인식과 생각을 의미하며, 개인의 신념은 지식과 더불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 교사신념(teachers’ beliefs)은 일반적으로 교사가 가지고 있는 아동관, 교육목적 및 목표, 그리고 교수활동에 대한 가정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믿음으로 정의된다(Peters, Neisworth, & Yawkey, 1985). 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은 교사의 인식, 판단, 행동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실제 보육현장에서 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교수행동은 교사의 신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김수영, 1992).
국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서 무엇을 중요한 변인이라 하였나? , 2003). 그리고 이러한 학교준비도의 중요한 변인으로 행동적, 관계적 자기조절 능력의 발달을 꼽았다(Abry, Latham, Bassok, & LoCasale-Crouch, 2015; Hatcher, Nuner, & Paulsel,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 자기규제 또는 관계적 기술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김수영 (1992).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영숙, 김성수 (2001).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신념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아동학회지, 22(4), 257-269. 

  3. 김윤희, 오상철 (2010). 교사의 정서적 지원과 교사신념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지원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63-282. 

  4. 서지은, 이선미 (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129-150. 

  5. 성소영, 홍지영 (2010). 유아의 성별에 따른 자기 조절력과 또래 상호작용. 과학논집, 36, 37-49. 

  6. 송주연, 장미연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4, 121-142. 

  7. 양옥승,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변인간의 관계 분석. 교육방법연구, 15(2), 145-161. 

  8.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정미 (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윤희, 문혁준 (2011).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73-87. 

  11. 정혜진, 이완정 (2009).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 따른 문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159-170. 

  12. 지경진, 이강이 (2009). '머리/발 과제'로 측정한 유아의 행동조절 능력과 사회적 적응. 아동학회지, 30(6), 591-605. 

  13. 최나야, 이순형 (2007).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51-168. 

  14. Abry, T., Latham, S., Bassok, D., & LoCasale-Crouch, J. (2015).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early school competencies: Misalignment matters for kindergarten adjust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2), 78-88. 

  15. Adams, A. M., Bourke, L., & Willis, C. (1999). Working memory and spoken language comprehension in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4(5-6), 364-373. 

  16. Baumeister, R. F., & Vohs, K. D. (2004).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NY: Guilford Press. 

  17. Blair, C. (2002). School readiness: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American Psychologist, 57(2), 111-127. 

  18.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19. Bronson, M.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Y: Guilford Press. 

  20. Bronson, M. B., Tivnan, T., & Seppanen, P. S. (1995).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classroom activity variables and the classroom behaviors of prekindergarten children in Chapter 1 funded progra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253-282. 

  21. Dickinson, D. K., & McCabe, A. (2001). Bringing it all together: The multiple origins, skills, and environmental supports of early literacy.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 16(4), 186-202. 

  22. Dowsett, S. M., & Livesey, D. J. (2000). The development of inhibitory control in preschool children: Effects of 'executive skills' training. Developmental Psychobiology, 36(2), 161-174. 

  23. Gathercole, S. E., Alloway, T. P., Willis, C., & Adams, A. (2005).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93(3), 265-281. 

  24. Graue, E. (2010). Reimagining Kindergarten. Education Digest: Essential Readings Condensed for Quick Review, 75(7), 28-34. 

  25. Hatcher, B., Nuner, J., & Paulsel, J. (2012). Kindergarten readiness and preschools: Teachers' and parents' beliefs within and across program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14(2), n2. 

  26. Howse, R. B., Calkins, S. D., Anastopoulos, A. D., Keane, S. P., & Shelton, T. L. (2003). Regulatory contributors to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4(1), 101-119. 

  27. Jarrold, C., & Bayliss, D. M. (2007). Variation in working memory due to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In A. R. A. Conway, C. Jarrold, M. J. Kane, A. Miyake, & J. N. Towse (Eds.), Variation in working memory (pp. 134-161). NY: Oxford University Press. 

  28. Kail, R. V. (2003).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mory. In M. H. Bornstein, L. Davidson, C. L. M. Keyes, & K. A. Moore (Eds.), Well-being. positive development across the life course (pp. 269-280). Mahwah, NJ: Erlbaum. 

  29. Kochanska, G., Murray, K., Jacques, T. Y., & Koenig, A. L. (1996). Inhibitory control in young children and its role in emerging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7(2), 490-507. 

  30. Ladd, G. W., Birch, S. H., & Buhs, E. S. (1999). Children's social and scholastic lives in kindergarten: Related spheres of influence?. Child Development, 70(6), 1373-1400. 

  31. Lin, H. L., Lawrence, F. R., & Gorrell, J. (2003). Kindergarten teachers' views of children's readiness for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2), 225-237. 

  32. Lonigan, C. J., Farver, J. M., Nakamoto, J., & Eppe, S. (201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reschool early literacy skills: A comparison of language-minority and monolingual-Englis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9(10), 1943-1957. 

  33. Matthews, J. S., Ponitz, C. C., & Morrison, F. J. (2009). Early gender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3), 689-704. 

  34. McClelland, M. M., Acock, A. C., & Morrison, F. J. (2006). The impact of kindergarten learningrelated skills on academic trajectories at the end of elementary 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471-490. 

  35. McClelland, M. M., Morrison, F. J., & Holmes, D. L. (2000). Children at risk for early academic problems: The rol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307-329. 

  36. McMullen, M., Elicker, J., Wang, J., Erdiller, Z., Lee, S. M., Lin, C. H., et al. (2005). Comparing beliefs about appropriate practic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fessionals from the U.S., China, Taiwan, Korea and Turke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4), 451-464. 

  37. Miech, R., Essex, M. J., & Goldsmith, H. H. (2001).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The role of self-regulation during early childhood. Sociology of Education, 74(2), 102-120. 

  38. Morrison, F. J., & Cooney, R. R. (2001). Parent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ultiple paths to early literacy. In J. G. Borkowski, S. L. Ramey & M. Bristol-Power (Eds.), Parenting and the child's world: Influences on academic, intellectual,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 141-160). Mahwah, NJ: Lawrence Erlbuaum. 

  39. Peters, D. L., Neisworth, J. T., & Yawkey, T. D. (1985).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Monterey, CA: Brooks & Cole Publishing Company. 

  40. Ponitz, C. C., McClelland, M. M., Jewkes, A. M., Connor, C. M., Farris, C. L., & Morrison, F. J. (2008). Touch your toes! Developing a direct measure of behavioral 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2), 141-158. 

  41. Ponitz, C. C., McClelland, M. M., Matthews, J. M., & Morrison, F. J. (2009). A structured observation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kindergarten outcomes. Developmental Psychology, 45(3), 605-619. 

  42. Ready, D. D., LoGerfo, L. F., Burkam, D. T., & Lee, V. E. (2005). Explaining girls' advantage in kindergarten literacy learning: Do classroom behaviors make a differ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1), 21-38. 

  43. Rimm-Kaufman, S. E., & Pianta, R. C. (2000).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research.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491-511. 

  44. Rimm-Kaufman, S. E., Storm, M. D., Sawyer, B. E., Pianta, R. C., & LaParo, K. M. (2006). The Teacher Belief Q-Sort: A measure of teachers' priorities in relation to disciplinary practices, teaching practices, and beliefs about childr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2), 141-165. 

  45. Sax, L. (2001). Reclaiming kindergarten: Making kindergarten less harmful to boys.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2(1), 3-12. 

  46. Siegler, R. S., & Alibali, M. W. (2005). Children's think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Prentice Hall. 

  47. Son, S. H., Lee, K. & Sung, M. (2013). Links between preschoolers' behavioral regulation and school readiness skills: The role of child gender.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4(4), 468-490. 

  48. Spodek, B. (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49. von Suchodoletz, A., Trommsdorff, G., Heikamp, T., Wieber, F., & Gollwitzer, P. M. (2009). Transition to school: The role of kindergarten children's behavior regul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4), 561-566. 

  50. Weinberg, M. K., Tronick, E. Z., Cohn, J. F., & Olson, K. L. (1999).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regulation during early infancy. Developmental Psychology, 35(1), 175-1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