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fficacy Belief about Pla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3, 2016년, pp.137 - 157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세경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  김민정 (가천대학교 세살마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fficacy belief about play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Participants were 26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Gyeonggi area. Data were analyzed by desc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둘째,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 과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순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매개변인들 간의 선행 순서에 따른 두 또한 정서지능이 교직전문성 인식을 거쳐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 구체적으로 살펴 본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놀이교수효능 감과 전문성 인식의 단순매개효과와 순차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후)놀이교수 효능감을">놀이교수효능감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 전문성 인식 간 영향관계의 방향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실제로 초임 유치원교사의 직전 교육과 현직교육 시 개입의 초점을 우선적으로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교사의 정서지능과 후)놀이교수효능 감">놀이교수효능감 중 선행되어야 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교사 교육 시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 교사의 전문성과 유능감의 결여에서 오는 어려움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김혜선(2005)도 유치원 초임교사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에서 전문성과 유능감의 결 여에서 오는 어려움을 보고하고 1년간의 초임교사 과정에 대한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한 지원이 부재하면 초임교사가 습득한 이론적 지식과 교실현장에 서 겪는 교육실제 간의 격차와 어려움인 현실 충격(reality shock)을 겪게 되며(Veenam, 1984), 이 는 교사 스스로의 전문성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거나 가치관의 변화를 수반하기도 하는 등 교직 생활에서 부정적 요소로 발현되거나 교직 이탈의 원인이 된다(김현진, 2012). 초임교사의 교직 부적응은 유능한 교사 인력의 교육현장 이탈을 야기할 수 있고, 직무스트레스나 불만족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과 결합하여 교육의 질, 즉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저하시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도 전문성 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다 중매개변인으로 선정한 것은 특히 초임교사가 학생에서 교사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 로 인식되는 것이 교직전문성이며, 교사로서 갖는 일반적인 효능감이 아닌 유아와의 활동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놀이교수효능감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효능감이기 때문이다.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교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전문성 인식은 교직에서 요구되는 전문적 지식, 기술에 대 한 요구, 사회봉사성, 자율성, 직업윤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이수련, 2013), 교사의 전문성 인 식은 전문성 발달의 기초가 되며 교사 역할 수행과 보다 나은 교수 실제를 도모하는 동기를 제공 한다(박형신, 김정주, 2010). 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스스로를 전문가로 인정하고 지속적으로 전문성 발달에 관심을 두게 되므로(조부경, 199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권미성, 문혁준, 2013; 이수련, 2013). 특히 유치원교사는 타 학교급 에 비해 지역사회, 유치원의 특성이나 유아 발달수준 등을 고려하여 보다 융통성있게 교육과정 을 해석, 실현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다(황윤세, 강현석, 2007).
정서지능이란? 교사의 정서적인 능력은 교사와 유아 간 정서적 교감을 기초로 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기초가 된다(조혜진, 김수연, 2012). 이러 한 정서적인 능력은 정서지능의 개념과 연관되는데 정서지능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정서를 정확히 지각, 인식하고 이를 적절히 표현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해 정서를 활용하여 행동을 이끄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Matthews & Zeidner, 2010; Mayer & Salovey, 1997). 또한 정서지능은 교사가 유아와 상호작용을 할 때 유아의 감정과 의도를 이해하 여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유아교사가 꼭 가져야 할 능력이다(노은숙, 부성숙, 2012; 조혜진, 김수연,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이해와 활용. 서울: 동문사. 

  2. 강순미 (2007). 초임 유아교사의 멘토링 경험과 언어적 상호작용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7(2), 91-108. 

  3. 강영숙 (2007). 학생의 교사만족도에 대한 성격 특질과 정서지능의 역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 권랑희, 이진희 (2015).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93-107. 

  6.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7.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8. 김선영, 강의정 (2006). 영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사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1(2), 5-26. 

  9. 김영한, 추경진 (2010).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413-432. 

  10. 김유림 (2000). 교육실습의 특성이 초임교사의 역할수행 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진 (2012).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현실충격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151-173. 

  12. 김혜선 (2005).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 생활 이해-네 교사의 교직 첫해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277-305. 

  13. 노은숙, 부성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3(4), 113-135. 

  14. 모용희, 김규수 (2013).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41-260. 

  15. 박현경 (2006).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이 유아의 가장놀이 사회적 수준과 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215-233. 

  16. 박형신, 김정주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환경 인식과 조직헌신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아동교육, 19(2), 87-102. 

  17. 배문조, 박세정 (2013).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8, 139-164. 

  18. 변길희, 김나림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21-34. 

  19. 서지은 (2014). 영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소연희 (2012). 초등교사가 지각한 정서적지지, 교육신념 및 교수효능감이 수업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0(2), 163-181. 

  21. 송미선 (2013).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정서성이 교사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277-295. 

  22. 송상호 (2005).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은수 (1996). 5년제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정규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현장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덕성여대 논문집, 25, 315-328. 

  24.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25.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26. 안상미 (200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오승민 (2012).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규식 (2007).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수련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30.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31. 이윤식, 이효신 (2012).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541-564. 

  32. 이재진, 최나야 (2013).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3), 183-203. 

  33. 이정미 (2010),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진화 (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36. 이현경, 남명자 (2009).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유아교육학학논집, 13(4), 119-135. 

  37. 전혜미 (2010).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직전문성이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혜진, 박재옥 (2014).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193-205. 

  39. 조부경 (1994).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관심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0(2), 131-161. 

  40. 조영옥 (2015).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조혜진, 김수연 (20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42. 조혜진, 김수연 (2012).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43. 최미애 (1999).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최석란 (2005). 놀이와 유아발달. 서울: 양서원 

  45. 한재민, 이윤식 (2013).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0(4), 407-432. 

  46. 홍근민 (1997). 영아보육환경의 질적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8. 황윤세, 강현석 (2007).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아동학회지, 28(5), 233-251. 

  49. 황은진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Abbott-Shim, M., & Sibley, A. (1987). Assessment profile early childhood programs. Atlanta, GA: Quality Assist, Inc. 

  5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52. Anderson, L. W. (2004). Increasing teacher effectiveness. Paris: UNESCO. 

  53. Armor, D. (1976. August).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 in selected Los Angeles minority schools. Retrieved January 1, 2016 from http://files.eric.ed.gov/fulltext/ED130243.pdf 

  54. Buyse, E., Verschueren, K., Doumen, S., Van Damme, J., & Maes, F. (2008). Classroom problem behavio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The moderating role of classroom climat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4), 367-391. 

  55. Chan, D. W. (2004).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n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ng Ko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8), 1781-1795. 

  56. Curby, T. W., Rudasill, K. M., Edwards, T., & Perez-Edgar, K. (2011). The role of classroom quality in ameliorating the academic and social risks associated with difficult temperament.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6(2), 175-188. 

  57. Damasio, A. R., Grabowski, T. J., Bechara, A., Damasio, H., Ponto, L. L., Parvizi, J., & Hichwa, R. D. (2000). Subcortical and cortical brain activity during the feeling of self-generated emotions. Nature Neuroscience, 3(10), 1049-1056. 

  58. Day, C. (2007). A passion for teaching, 열정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공역). 서울: 파란마음(원판 2004). 

  59. Downer, J., Sabol, T. J., & Hamre, B. (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99-723. 

  60. Goldstein, L. S., & Lake, V. E.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61. Hall, R. H. (1967, August). Components of professionalization. A paper presented at the 1967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California. 

  62.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63. Isen, A. M. (1993). Positive affect and decision making. In M. Lewis & J. Haviland (Eds.), Handbook of emotions (pp. 261-77). NY: Guilford Press. 

  64. Johnson, J. E., Christie, J. F., & Yawkey, T. D. (1999). Play and Development. In J. E. Johnson, J. F. Christie, & T. D. Yawkey (Orgs.),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p. 25-52). NY: Longman 

  65. Lasky, S. (2000). The cultural and emotion politics of parent-teacher intera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43-860. 

  66. Matthews, G., & Zeidner, M. (2010). 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 Myth,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최경아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2002). 

  67.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pp. 3-31). NY: Basic Books. 

  68. Mayer, J. D., Salovey, P., & Caruso, D. R. (2000). Emotional intelligence as zeitgeist, as personality, and as a mental ablilty. In R. Bar-On & J. D. A. Parkers (Eds.),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pp. 91-117). San Francisco: Jossey-Bass. 

  69. McLaughlin, M., & Berman, P. (1977). Retooling staff development in a period of retrenchment. Educational Leadership, 35(3), 191-194. 

  70. Mesquita, B., Frijda, N. H., & Scherer, K. R. (1997). Culture and emotion. In J. Berry, P. R. Dasen, & T. S. Saraswathi (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Basic processes and human development (pp. 225-97). Boston: Allyn and Bacon. 

  71. Penrose, A., Perry, C., & Ball, I. (2007).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The contribution of teacher status and length of experiences. Issues in Educational Research, 17(1), 107-126. 

  72. Rowe, D. J., Early, B., & Loubier, D. (1999). New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영아와 걸음마기 유아교사의 역할: 유아교사 교육의 새로운 접근(조부경, 이정미 공역). 서울: 양서원(원판 1994). 

  73.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74. Steiner, C., & Perry, P. (1997). Achieving emotional literacy: A peronal program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NY: Avon. 

  75. Taylor, C., Farver, C., & Stroller, J. K. (2011). Perspective: Can emotional intelligence training server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professionalism to residents? Academic Medicine. 86(12), 1551-1554. 

  76. Tschannen-Moran, M., Woolfolk-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77. Vandell, D. L., Belsky, J., Burchinal, M., Steinberg, L., & Vandergrift, N. (2010). Do effects of early child care extend to age 15 years?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1(3), 737-756. 

  78. Veenam,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79.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CA: Sage. 

  80.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81.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