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According to the Infant Class's Teacher Sensitivity and Efficacy of Teaching Pla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2 no.5, 2014년, pp.193 - 205  

정혜진 (Inha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for Child Education Research) ,  박재옥 (Department of Child Studies, Instructor of Inha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ther basic data to make nursery teachers' role clear and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ir expertise by investigating their sensitivity and expertise. To fulfill this aim,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targeting 180 nursery teachers responsible for infant cla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영아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영아반 교사는 희생, 봉사 등의 엄격한 직업윤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영아반 교사는 특별한 역할을 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요인들 중 영아보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봉사정신, 직업에 대한 윤리성, 전문적 지식, 직업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이외에도 학급운영의 결정권에 대한 자율성, 상황에 따라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공정성,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는 교직수행성에 대한 전문성 인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전문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을 탐색함으로서 영아반 보육교사의 역할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민감성과 놀이교수 효능감 집단수준에 따른 전문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어린이집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을 최대한으로 이끌기 위해 영아반 교사의 교육연수,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잡지, 도서를 구입해 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를 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제한된 지역에서의 표집과 어린이집의 모든 유형을 표집하지 못하였으며, 교사의 부정적인 민감성에 대한 설문문항을 제외하여 조사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영아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검사도구의 실시 방법, 문항 수, 문항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9월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 동안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의 교사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도 소재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들에게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에 대해서는 연구자가 담임교사에게 직접 또는 전화로 연구목적을 간단히 설명한 후, 연구목적과 검사도구의 작성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한 서면과 함께 우편 또는 직접 담임교사에게 전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요인들 중 영아보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봉사정신, 직업에 대한 윤리성, 전문적 지식, 직업만족도를 알아볼 것이다. 이외에도 학급운영의 결정권에 대한 자율성, 상황에 따라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공정성,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는 교직수행성에 대한 전문성 인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 서비스의 양적 성장 못지않게 질적 성장은 어떤 과제인가? 보육 서비스의 양적 성장 못지않게 질적 성장은 보육 주체 모두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보육의 수요자인 영유아와 부모 모두가 만족할 만한 전문적이고 질 높은 보육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양질의 보육프로그램과 함께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이 요구될 것이다.
전문성이란? 전문성이란 개인적 차원으로 직업에 종사하는 자들이 보여주는 태도와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이란 영아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의미한다(K. Lee & H.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본 이유는? 영아기는 발달특성상 교육보다는 돌봄을 받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영아반 교사는 자신의 업무를 하찮게 여기게 되어, 교사로서 직업에 대한 갈등과 혼란을 겪으며 낮은 전문성 인식을 갖게 된다. 그러나 영아반 교사가 자신의 하는 일이 생에 초기에 해당하는 영아들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좋은 영아 보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해도 그 효과는 미비해진다. 따라서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갖추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Sroufe, L. A. (1988). The role of infant-caregiver attachment in development. In J. Belsky & T. Nezworski (Ed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 302-303). Hillsdale, NJ, Eng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 Anisworth, M. D. (1989). Attachment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44(4), 709-716. 

  3.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4. Baik, E.-J., & Cho, B.-K. Developing a Self-assessment of Developmental Levels for Kindergarten Teache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4), 95-118. 

  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125. 

  6.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7. Benz, C. R., Kay, A. M., & Ann, F. M. (1992). Personal teaching efficacy: Development relationships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5(5), 274-285. 

  8.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2nd ed.). New york: Basic 

  9. Byun, Y.-K. (2005). The understanding instruction and learning theory. Seoul: hakjisa. 

  10. Chang, Y. H., & Kwak, S. J. (2004). An ethnographic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4), 71-92. 

  11. Chin, H. J.(2007). Narrative study on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2. Cho, H.-J., & Kim, O-J. (2009). A study on relevant variables influencing on infant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3), 227-244. 

  13. Denham, C. C., & Mica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5, 39-61. 

  14. Easterbrooks, M., & Biringen, Z. (2000). Guesteditor'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Mapping the terrain of emotion availability and attachment.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2(2), 123-129. 

  15.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9 601) 

  16. Feeney, s. Chrisensen, D., & Moravcik, E. C. (1983). Who an I in the lives of children?. Columbus Ohil: Merril Publishing Co. 

  17. Fox, N. A., & Davidson, RJ. (1986). Rasr-elicited changes facial sing of emotion and the asymmetry of brain electrical activity in newborns. Neuropsychologia, 24, 417-422. 

  18.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 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19.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20. Hong, E. S. (2013). Teachers' sensitivity and sensitivity awareness and infants' adjustment behavior in infant-teacher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21. Jung, Y. H., & Lee, Y. S. (2012). A study on analysis of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ensitivity of childcare center teache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 107-132. 

  22. Kim, E. 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ve gesture and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3. Kim, H. J. (2008). Construct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Enhancement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zing its Eff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J.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verbal behaviors an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5. Kim, J. H., & Yang, O. S. (2009). The meaning of infant and toddler care at the day care center: caring and teaching.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9(2), 163-190. 

  26. Kim, K. R. (2006). A search for the teacher and the fellow relationship of the toddler showing in play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Kim, M. Y. (2010). Sensitivity of teachers in infant day-care : A study focused o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individual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Y. J. (2003). A study on infant nursing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9. Kwak, S. J. (2003). An ecological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toddler and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Lee, E., Bae, S., & Cho, B. (2003).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aju: Yangseowon. 

  31. Lee, G. J. (201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and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5(4), 75-94. 

  32. Lee, K. R., & Moon, H. J. (2013). A effects of infants 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nal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mental levels for teacher's professinalism.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3(3), 163-182. 

  33. Lee, S. H. (2010).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sensitivity shown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1 yearold infant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4. Lee, S. J. (2001).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Seoul: Changjisa. 

  35. Lee, Y.-S. (201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aycare center teacher's sensi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Universty, Gwangju, Korea. 

  36. Lyoo, Y.-H. (2005). Young children's verbal interaction func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raction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7. Manning, K., & Sharp, A. (1977). Structuring play in the early years at school. London: Ward Lock Educational. 

  38. Nam, D. (2006).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infant and father-infant inter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o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9. Park, E. A. (2003). A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infants' play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Korea. 

  40. Park, E.-Y. (2009). The difference of teaching behavior and children's play behaviors on teacher'play teaching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1. Park, S. H. (2004). The effect of day-care, child's characteristics and maternal behavior on child aggress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2), 23-35. 

  42. Rhee, U. H., Kim, O. G., Lee, M. H., & Lee, J. S. (1995). The management and practice for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Paju: Kyoyookbook. 

  43. Ryu, Y.-S. (2008). A Study on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2, 43-62. 

  44. Seo, J. Y.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5. Seo, S. J. (2009). A study of influential variables on infant' s adjustment behavi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Emphasis on infant development, temperament, teacher-infant interaction, maternzal beliefs about parenting and infant care as well as maternal.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4), 259-288. 

  46. Shin E.-S., Yu, Y.-E., & Park, H.-K. (2004). Developing and Validating and Instrumen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and Their Beliefs on Play Management Practi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1), 49-70. 

  47. Shin, E. (2000). The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pla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27-42. 

  48. Shin, E.-K. (2004). Relationships between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teaching efficacy in child care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49. Shin, H. L. (2011).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in infant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Focusing on infant care teachers' sensibility an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yeonggi, Korea. 

  50. Smilansky, S. (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ew York: John Wiley & Sons. 

  51. Spodek, B., & Saracho, O. N. (1990). Preparing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 look to the future. In B. Spodek, & O. N. Saracho (Eds.). Yearboo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V. I: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p. 209-221).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2. Spodek, B., & Saracho, O. N. (2003).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olicy. In O. N. Saracho, B. Spodek (Eds.), Studyi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423-441). New York: Information Age Publishing. 

  53. Sung, Y. S. (2008). A Study on Differences of Perception about Childcare Teachers' Roles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n Bible University. Seoul, Korea. 

  54. Van den Boom, D. C. (1997). Sensitivity and attachment: Next steps for developmentalists, Child Development, 68(4), 592-594. 

  55. Yoon, H. Y. (2010). A Study of Attachment Stability of Infan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56. Yu, Y. E. (2004). The difference of children's constructive play quality on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