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의 교량의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분석 - 농촌지역 자연경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s of Background and Shape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Natural Landscape in Rural Area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2, 2016년, pp.89 - 98  

천현진 (중국 동남대학교 조경학과) ,  강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성옥영 (중국 동남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bridge have been built by government over the several years. Additionally, there are too many mountain and river and the bridge have been built in rural area. But bridge designers weren't considering the bridge landscape. And bridge was a nega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에서 국토개발과 함께 농촌지역에 위치하는 교량을 하나의 경관자원을 개발한다는 목적에서 교량경관 설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에 따른 교량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배경경관의 선정에서는 농촌지역에 위치하는 교량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경관이 확보되는 교량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 더욱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인공경관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자연경관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경관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이미지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를 반영하여 농촌지역에 적절한 교량설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이러한 이유로 농촌지역의 경관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교량은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농촌지역에 위치 하는 교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의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갸장 어울리는 교량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교량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량 설계 시 반영하여 농촌 경관 이미지 향상을 위한 교량경관설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그러 므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의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갸장 어울리는 교량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교량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교량 설계 시 반영하여 농촌 경관 이미지 향상을 위한 교량경관설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경관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이미지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를 반영하여 농촌지역에 적절한 교량설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또한 정성관 등(2007B)은 아치교의 형태적 요소를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른 교량경관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성관 등(2007B)은 도시에 적합한 교량경관 설계방향을 제시하고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허준(2002)은 교량과 비 선호교량간의 시각적 이미지 인자들의 영향, 방향, 크기, 상대적 기여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는데 이 논문을 통해 허준(2002)은 교량의 건설계획 및 설계와 도시경관 속에서 교량의 시각적 선호도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에 따른 경관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경관형용사를 사용하여 교량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하천경관 1 의 배경경관에 대한 이미지 평가에서는 경관형용사 척도 중 ‘자연적인’, ‘친근한’ 의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거더교 도입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연속적인’, ‘안정한’ 의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 먼저 정성관 등(2007A)은 배경경관에 따라 교량형태의 이미지 변화와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성관 등(2007A)은 경관 이미지 향상을 위한 교량형태 선정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량형태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상협 등(2002)은 교량 자체의 미학적 요소가 주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갖는 이미지와 경관 조화성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향후 교량설계 시 교량경관에 대해 고려하여야 할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농촌지역의 교량은 지금까지 교량의 안정성 및 경제성만을 고려한 나머지 미적인 요소인 교량경관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못하여 지역경관에 부정적인 요소가 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위치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하여 교량형태의 이미지 변화 및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시공된 토목공사는 어떤 것이 있는가? 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사회간접자본 확충의 일환으로 다양한 토목공사가 시공되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통운송의 주요 구조물인 도로, 철도,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으며 특히 농촌지역에는 지형적으로 산과 강이 많아 도로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다. 그러나 농촌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교량은 안정성 및 경제성 등 일부 측면만 강조한 나머지 구조물의 미적 아름다움, 주변 경관과의 조화성 등 교량경관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교량이 지역적 정체성의 상실한 구조물일뿐만 아니라 지역경관의 부정적 요소로 변모하였다(정성관 등, 2007A).
60년대 이후 국내에서 다양한 토목공사가 시공된 배경은? 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사회간접자본 확충의 일환으로 다양한 토목공사가 시공되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통운송의 주요 구조물인 도로, 철도,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으며 특히 농촌지역에는 지형적으로 산과 강이 많아 도로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다.
농촌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교량이 가지는 문제점은? 이러한 상황에서 교통운송의 주요 구조물인 도로, 철도,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으며 특히 농촌지역에는 지형적으로 산과 강이 많아 도로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량이 많이 시공되어졌다. 그러나 농촌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교량은 안정성 및 경제성 등 일부 측면만 강조한 나머지 구조물의 미적 아름다움, 주변 경관과의 조화성 등 교량경관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교량이 지역적 정체성의 상실한 구조물일뿐만 아니라 지역경관의 부정적 요소로 변모하였다(정성관 등, 2007A).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의 지역주민들도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가 고조되고 경관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대 되고 있는 현실이다(서주환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Y. S. et al. (2006). Analysis of Luminance distribution of Illuminated Bridges by View.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0(6), 1-8. 

  2. Choi, J. Y. & Park, Y. H. (2007) Estimating Esthetic Values of Agricultural Landscape Affected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2), 105-119. 

  3. Chun, H. J., Kim, S. K.(2010). 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idges using Landscape Simulations - A Case Study of Yanghwaro in the Gyeongui Railroad Area -, 38(3), 75-82. 

  4. Huh, Joon (2002). Difference in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Bridges - The Case of the Han River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2), 1-11. 

  5. Im, Seung-Bin (1991). Landscape analy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 Jang, Y. J. et al. (2011). Preference and Image Property according to Middle Span and Sag Ratio of the Suspension Bridg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13(1), 1-11 

  7. Jung, S. G. et al. (2007)a. Analysis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s - A Focus on Background Landscape and Bridge Typ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82-91. 

  8. Jung, S. G. et al. (2007)b. 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on Arch Bridge Using Landscape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48-56. 

  9. Lee, S. Y. et al. (2002). An Analysis on the Image and Landscape Harmonization of Urban Bridges on Han-River,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6), 11-20. 

  10. Suh, J. H. et al. (2002). An Analysis of Night and Day Images of Bridges Over the Han River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5), 3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