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약주의 이취와 갈변 원인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제균한 누룩추출물을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하고 특성을 확인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재래누룩에서 16.33%, 개량누룩에서 18.67%로 개량누룩에서 1.1배 높게 나타났다. 산도(mL/10 mL)는 재래누룩 5.07, 개량누룩 8.32, 아미노산도 함량(mL/10 mL)도 각각 1.61, 4.72로 개량누룩이 약 2.9배 증가하였다. 당화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글루코아밀레이스는 재래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이 3.2-44.0배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가용 고형물(r =0.965)과 색차(r =0.954)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기산숙신산젖산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 질소화합물 함량(mg/L)은 재래누룩 540.0, 개량누룩 2285.9로 개량누룩에서 4.2배 높게 나타났다. 각 누룩추출물 약주의 이취 및 갈변은 유리질소화합물(r =0.539, 0.792)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akju made with nuruk extracts. Alcoholic fermentation was performed in an incubator set at $25^{\circ}C$ for 14 day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alcohol content of yakju made with modified nuruk (18.67%) was higher than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SD (n=3),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column differ significantly (p<0.05).
  • 1)Values are mean±SD (n=3),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 2)ND means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양조법으로 만든 양조의 특징은? 누룩은 밀이나 보리, 쌀 등 곡류에 물을 뿌려 반죽하고 성형한 다음 자연적으로 발효시켜서 제조한다(2). 따라서 단일균주만 사용하는 일본 입국과 달리 다양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착생하여 생육하므로, 누룩이 생산된 지역의 기후나 풍토, 제조 환경 등에 따라 특색 있는 누룩이 만들어 지게 된다. 과거 1945년 이전 누룩에는 곰팡이의 경우 Aspergillus속이 주종을 이루고 Rhizopus속, Absidia속, Mucor속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효모는 엿당(maltose)을 이용하지 못하는 Saccharomyces cereanus가, 세균류는 점액 세균인 Bacillus viscosus가 다빈도로 분리되었다(3).
우리나라의 양조법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양조법은 외국과 달리 발효제로 누룩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누룩은 밀이나 보리, 쌀 등 곡류에 물을 뿌려 반죽하고 성형한 다음 자연적으로 발효시켜서 제조한다(2).
누룩의 제조법은? 우리나라의 양조법은 외국과 달리 발효제로 누룩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누룩은 밀이나 보리, 쌀 등 곡류에 물을 뿌려 반죽하고 성형한 다음 자연적으로 발효시켜서 제조한다(2). 따라서 단일균주만 사용하는 일본 입국과 달리 다양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착생하여 생육하므로, 누룩이 생산된 지역의 기후나 풍토, 제조 환경 등에 따라 특색 있는 누룩이 만들어 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SR. Korean fermented food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22-294 (1986) 

  2. Jung MJ, Nam YD, Roh SW, Bae JW. Unexpected convergence of fungal and bacterial communities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oculated with various natural starters. Food Microbiol. 30: 112-123 (2012) 

  3. Yu TS, Kim HS, Jin H, Ha HP, Kim TY, Yoon IW.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Nutr. 25: 170-179 (1996) 

  4. Yu TS, Kim J, Kim HS, Hyun JS, Ha HP, Park MG.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9-799 (1998) 

  5. Song SH, Lee CH, Park JM, Lee HJ, Bai DH, Yoon SS, Choi JB, Park YS.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J. Microbiol. Biotechnol. 23: 40-46 (2013) 

  6. Han EH, Lee TS, Noh BS, Lee DS.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1997) 

  7. Lee SJ, Lee KG.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for rice wines using sensory data. J. Sci. Food Agri. 88: 690-698 (2008) 

  8. Kwak HS, Ahn BH, Kim HR, Lee SY. Identification of sensory attributes that drive the likeability of Korean rice wines by American panelists. J. Food Sci. 80: 161-170 (2015) 

  9. Kwak HS, Kim MS, Lee YS, Eon TK, Seo YJ, Shim HS, Ha SH, Ok HY, Jeong YH. Reduction of nuruk flavor in Korean rice-distilled liquor using $sumizyme^{TM}$ .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928-934 (2015) 

  10. Lee SJ, Ahn BH.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2010) 

  11. So MH.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2: 219-225 (1999) 

  12. Atsushi M, Atsuko I, Hitoshi U, Hiroshi I. Identification of 2,4,6-trichloroanisole (TCA) causing a musty/muddy off-flavor in sake and its production in rice koji and moromi mash. J. Biosci. Bioeng. 100: 178-183 (2015) 

  13. NTS. Analysis of liquor regulatory. National Tax Service. Sejong, Korea. pp. 41-42 (2009) 

  14. Chae SK, Kang KS, Ma SJ, Bang KY, Oh MH, Oh SH.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Seoul, Korea. pp. 460-463 (2009) 

  1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Amino acid analysis of beer. Available from: http://hitachi-hta.com/sites/default/files/appnotes/lc56.pdf. Accessed Jul. 29, 2015. 

  16. Brewing Society of Japan. Compon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hin nippon printing Co. Ltd, Tokyo, Japan. pp. 50-62 (1999) 

  17. Atsuko I, Hitoshi U, Ryoko K, Hiroshi I. Change in the aroma compounds of sake during aging. J. Agr. Food Chem. 53: 4118-4123 (2005) 

  18. Bae SM. Sake manufacturing technology. Design plus Co., Seoul, Korea. pp. 166-217, 268-273 (2008) 

  19. Bae SM. Traditional liquor manufacturing technology. Baesangmyeon Brewery Institute, Seoul, Korea. pp. 62-66 (2002) 

  20. Lee MK, Lee SW, Yoon TH.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19-29 (1994) 

  21. Kim KW, Kim JH, Noh BS, An BH, Yeo SH, Ji HC. Makgeolli and yakju; Science and applicatio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85-87 (2012) 

  22.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327 (1987) 

  23. Lee TS,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000) 

  24. Huh CK, Lee JW, Kim YD. Comparison of organic acids, fusel oi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ju with the additions of various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20: 365-371 (2013) 

  25. Yoshizawa Y, Ishikawa TA, Tadenuma M, Nagasawa M, Nagami K. Eancyclopedia of brewing and fermentation food. Asakira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pp. 70-366 (2004) 

  26. Iwami T, Takamiya Y, Takaesu C, Nishia T. Change in sulfur compounds of Awamori during aging. J. Ferment. Technol. 64: 129-136 (1986) 

  27. In HY, Lee TS, Lee DS, Noh BS.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1995) 

  28. Choi HS, Kang JE, Jeong ST, Kim CW, Kim MK. Changes observed in doenjang (soybean paste) with added fermented-Rhus verniciflua extract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599-607 (2015) 

  29. Encyclopedia chimica. Kyolis Publishing & Printing Co Ltd, Tokyo, Japan. pp. 11, 110, 811, 847 (1964). 

  30. Atsuko I. Aroma compounds in aging sake. Bioengineering 89: 720-72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