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대한 인증 의료기관과 조사위원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for the Accredited Hospitals and the Surveyors 원문보기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QIH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2 no.1, 2016년, pp.59 - 69  

김경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이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started in 201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for the accredited hospitals and the surveyors.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병원의 환자안전과 질,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병원경영 등 인증제도 참여로 인한 변화 및 성과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6-12], 인증제도 자체에 대한 연구나 인증제도 관련 조사위원과 의료기관의 인식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병원 인증조사에 직접 참여한 조사위원과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의 인증제도에 관한 인식들을 비교함으로써 국내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조사위원과 인증 의료기관의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급성기병원 인증조사가 시작된 2010년 1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인증조사에 직접 참여한 조사위원 245명과 동일한 기간에 인증을 획득한 의료기관 77개소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인증제도 관련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인증제도 발전을 위하여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병원 인증조사에 참여한 조사위원과 인증 의료기관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속 의료기관의 종별과 지역, 병상 수에 관한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한 조사위원의 전문성과인증제도에 대한 수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hin[13]의 연구에서 활용한 ‘심사원의 전문성’과 ‘제도에 대한 수용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복지부와 인증 전담기관인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의료 질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보건복지부와 인증 전담기관인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는 인증제도를 통한 의료기관의 환자안전과 의료 질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증기준이나 조사방법을 강화하고 있고, 아직 인증제도에 참여하지 않은 기관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지정요건으로 의료기관 인증을 필수 요건으로 포함시키는 등 관련 정책과의 연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4]. 다른 한편으로는 의료기관의 인증제도 참여 효과가 명확하고, 인증결과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인 지원과 연계될 경우 의료기관의 인증제도 참여 동기는 보다 촉진될 수 있다.
2011년 이후 국내 의료기관 인증제도 적용 대상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국내 의료기관 인증제도는 환자안전 수준과 의료의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011년 급성기병원을 대상으로 시작되어 2013년에는 정신병원과 요양병원,2014년에는 치과병원과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다. 국내 인증제도에서는 4년을 인증주기로 정하고 있기에 어느덧 2015년부터는 급성기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인증 2주기에 접어들었다.
제도에서의 공정성이 그 제도의 수용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증제도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가장우선적으로 고려할 점은 제도에서의 공정성이 그 제도의 수용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5]. 따라서 인증제도의 공정성을 위해서는 실제 인증조사를 담당하는 조사위원의 전문성 확보가 필수적이고, 인증조사에서의 조사위원의 전문성 확보는 인증제도의 신뢰성과도 연결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Internet]. Korea. [cited 2016 Mar 24]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Internet]. Korea. [cited 2016 Mar 24].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3. Kim KS. Changes and Strategies in 2nd cycle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5;20(1):65-70. 

  4. Kim KS. Progress, achivements and challenges of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J of Korean Acacemy of Managed Care Pharmacy 2011;3(1):31-3. 

  5. Kim HS, Kang YK. The Effect of Fairness of Performance Appraisal on Appraisee's Acceptability.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010;63: 91-115. 

  6. Yeun YR. The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ut a general hospital.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4):1820-9. 

  7. Woo JS, Kim YH, Yoon BJ, Lee HJ, Kim HS, Choi YJ, et al. The Effects of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s - Focused on Perception of Accredited Hospital Professions. Korean J of Hospital Management 2013;18(2):33-56. 

  8. Lee HS, Yang YJ. The effects of the healthecare accreditation on hospital employees'satisfaction level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J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431-43. 

  9. Lee HT. The Effects of the Hospital Accreditation System on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 Hospital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2013;29(3):307-28. 

  10. Lee HS, Jeun YJ. Impact of health care accreditation on the effect of hospital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comparison between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hospital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2015;31(2):235-59. 

  11. Jeong SY, Hyang SO, Chun HK. Analysis of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s after applica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The Korean J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5;9(4):33-49. 

  12. Lanteigne G, Bouchard C. Is the introduction of an accreditation program likely to generate organization-wide quality, change and learning? The International J of Health Planning and Management 2015. doi: 10.1002/hpm.2314. 

  13. Shin SJ.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mpany's Service Performances and the Post-Intention after getting Korean Quality of Service Excellent Enterprise Certification. [dissertation]. Seoul: Seokyeong University; 2011. 

  14. Yoon SH, Lee JS. A study of selection of R&D Evaluator.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2012;26(3):291-313. 

  15. Greenfield D, Pawsey M. Are accreditation surveys reliable? Int J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2009;22(2):105-16. 

  16. Lee HS, Lee JH. Effect of accepting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on employees'ac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006;30(2):135-56. 

  17. Ra HM, Choi DM. Meta-Evaluation on the Business Evaluation Systems of the Local Government Enterprise in Gyeonggi-Do:Gyeonggi Research Institute REVIEW 2010;12(1):47-72. 

  18. El-Jardali F, Jamal D, Dimassi H et al. The impact of hospital accreditation on quality of care: perception of Lebanese nurses. Int J Quality Health Care 2008;20(5):363-71. 

  19. Saleh SS, Sleiman JB, Dagher D et al. Accreditation of hospitals in Lebanon: is it a worthy investment? Int J Quality Health Care 2013;25(3): 284-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