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차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제품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석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3, 2016년, pp.201 - 209  

염승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명숙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 종류의 공기정화제품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위는 필터부위, 물이 직접 닿는 부위 및 공기가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입구부위 등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기정화제품은 사용하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오염 미생물의 성상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그리고 Bacillus sp.의 세균과 Cladosporium sp. 및 Penicillium sp.의 진균이 공통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우점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atmospheric pollutants including chemical agents, house dust, and microorganisms cause building-related illnesses through respiration in hum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ofiles of microbial pollutants in air purifiers used in home, office and playschool. Dominant eleven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내 환경에 따른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정집과 사무실 등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1-2년간 사용한 4종류의 공기 정화 제품을 수거하여 이들 제품에 오염된 미생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품 A는 어린이 집에서 1년간 사용한 공기정화제품, 제품 B는 일반 아파트 가정집에서 1년간 사용한 공기정화제품, 제품 C는 반 지하 가정에서 2년간 사용한 제습기이고 제품 D는 일반 사무실에서 1년간 사용한 제습기이다.
  • 이러한 공기정화제품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미생물 중에 식중독과 관련된 미생물이 존재할 경우 교차오염을 유발할 수 있지만11,12), 국내에서 현재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공기정화제품에 오염된 미생물의 실태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진행된 적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였던 공기정화제품들을 수거하여 이들 제품의 부위별로 오염된 미생물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정화관련 제품 판매가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새집 증후군, 황사와 미세먼지 등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실내 공기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대로 공기정화관련 제품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4,17).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에 대한 연구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공기정화제품의 개발에 미생물 제어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정화하는 장치인 공기정화제품에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이 오염될 수 있고, 이들 제품에서 미생물 저감화를 위한 관리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 미생물에 의한 지속적인 실내공기의 오염이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공기정화제품의 개발에는 주요 오염부위에서 미생물 제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향후 이들 제품들에서 미생물 제어를 위한 기술 개발에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r Quality Management Act for Underground Living Spaces.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199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Right to Healthy Indoor Air-Report on a WHO Meeting, Bilthoven. The Netherlands, European Healthy 21 Targets 10.13 (2000). 

  3. Pronczu, J.: Indoor air pollu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7, pp. 40 (2008). 

  4. Abdul-Wahab, S.A.: Sick building syndrome in public buildings and workplaces. Springer, USA, pp. 25-26 (2011). 

  5. Sekine, Y., Fukuda, M., Takao, Y., Ozano, T., Sakuramoto, H. and Wang, K.W.: Simultaneous removal of formaldehyde and benzene in indoor air with a combination of sorption- and decomposition-type air filters. Environ. Technol., 33, 1983-1989 (2011). 

  6. Russell, J.A., Hu, Y., Chau, L., Pauliushchyk, M., Anastopoulos, I., Anandan, S. and Waring, M.S.: Indoor-biofilter growth and exposure to airborne chemicals drive similar changes in plant root bacter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80, 4805-4813 (2014). 

  7. Den Aantrekker, E.D., Beumer, R.R., van Gerwen, S.J.C., Zwietering, M.H., van Schothorst, M. and Boom, R.M.: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recontamination via the air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Int. J. Food Microbiol., 87, 1-15 (2003). 

  8. Holah, J., Margas, E., Hagberg, R., Warren, B., Fraser-Heaps, J. and Mortimore, S.: Identifying and controlling microbiological cross-contamination. Food Safety Mag., Feb/Mar, 54-61 (2012). 

  9. Reij, M. W., Den Aantrekker, E. D. and ILSI Europe Risk Analysis in Microbiology Task Force.: Recontamination as a source of pathogens in processed foods. Int. J. Food Microbiol., 91, 1-11 (2004). 

  10. Rorvik, L.M., Skjerve, E., Knudsen, B.R. and Yndestad, M.: Risk factors for contamination of smoked salmon with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processing. Int. J. Food Microbiol., 37, 215-219 (1997). 

  11. Goff, H.D. and Slade, P.J.: Transmission of a Listeria sp. through a cold-air wind tunnel. Dairy Food Environ. Sanit., 10, 340-343 (1990). 

  12. Radmore, K., Holzapfel, W.H. and Luck, H.: Proposed guidelines for maximum acceptable air-borne microorganism levels in dairy processing and packaging plants. Int. J. Food Microbiol., 6, 91-95 (1988). 

  13. Brown, K.L.: Guidelines on Air Quality Standards for the Food Industry. Campden and Chorleywood Food Research Association, Hertfordshire, UK (2005). 

  14. European Hygienic Engineering and Design Group (EHEDG).: Guidelines on air handling in the food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 17, 331-336 (2006). 

  15. Saitou, N. and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987). 

  16.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2011). 

  17. Moon, Y.S., Koo, Y.S. and Jung O.K.: Analysis of sensitivity to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related meteorological fields using the WRF-Chem model during Asian dust episode days. J. Korean Earth Sci. Soc., 35, 1-18 (2014). 

  18. Lee, A.M., Kim, N.Y., Kim, S.Y. and Kim, J.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indoor environment of schools. Korean J. Microbiol., 41, 188-194 (2005). 

  19. Kim, S.H. and Kim, Y.K.: A study on microbial pollution of indoor air at elderly care facilitie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0, 2485-2491 (2009). 

  20. Seo, M.S., Lee, S.M. and Hong, J.Y.: The Characteristic study of the microbial habitat in the Muwisa museum, Gangjin. J Conserv. Sci., 29, 333-343 (2013). 

  21. Lee, S.W., Jung, H.M., Park, S.J., Choe, B., Kim, J.H., Lee, B.R., Joo, Y.L., Kwon, O.S. and Jheong, W.H.: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ulturable bacteria in the bioareosol from several environmen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3, 142-149 (2015). 

  22. Naruka, K. and Gau, J.: Microbial air contamination in a school. Int. J. Curr. Microbiol. App. Sci., 2, 404-410 (2013). 

  23. Cheong, C.D., Neumeister-Kemp, H.G., Dingle, P. and Hardy, G. St J.: The use of HEPA air filters to control airborne indoor fungi. In IAQ Conference 2001: Moisture, Microbes and Health Effects: Indoor Air Quality and Moisture in Buildings, 4-7 November, San Francisco (2001). 

  24. Eduard, W.: Exposure to non-infectious microorganisms and endotoxins in agriculture. Ann. Agric. Environ. Med., 4, 179-186 (1997). 

  25. Grisoli, P., Rodolfi, M., Villani, S., Grignani, E., Cottica, D., Berri, A., Picco, A.M., and Dacarro, C.: Assessment of airborne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an industrial area characterized by an open composting facility and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Environ Res., 109, 135-142 (2009). 

  26. Valerio, F., De Bellis, P., Di Biase, M., Lonigro, S.L., Giussani, B., Visconti, A., Lavermicocca, P., and Sisto, A.: Diversity of spore-forming bacteria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s a species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ropy spoilage of bread. Int. J. Food Microbiol., 3, 278-285 (2012). 

  27. Darouiche, R.O.: Device-associated infections: a macroproblem that starts with microadherence. Clin. Infect Dis., 3, 1567-1572 (2001). 

  28. Upadhyay, R.K., Dwivedi, P. and Ahmad S.: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six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pathogenic bacterial strains. Asian J. Med. Sci., 2, 152-158 (2010). 

  29. Reuben, A., Anaissie, E., Nelson, P.E., Hashem, R., Legrand, C., Ho, D.H. and Bodey, G.P.: Antifungal susceptibility of 44 clinical isolates of Fusarium species determined by using a broth microdilution method.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3, 1647-1649 (1989). 

  30. Mack, D., Davies, A.P., Harris, L.G., Jeeves, R., Pascoe, B., Knobloch, J.K.M., Rohde, H., and Wilkinson, T.S.: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biomaterial-associated infections. In Biomaterials Associated Infection: Immunological Aspects and Antimicrobial Strategies (Moriarty, T.F., Zaat, S.A.J., Busscher H.J. eds.) Springer, New York, pp. 25-2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