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연안 서식 해조류에 대한 주요 활성성분 및 항산화효능 연구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rine Algae from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8 no.1, 2016년, pp.30 - 38  

김태희 (부경대학교 의공학과) ,  고석천 (부경대학교 해양 융복합 바이오닉스 연구단) ,  오건우 (부경대학교 의공학과) ,  박현호 (부경대학교 의공학과) ,  이대성 (국립 해양생물 자원관, 융복합 연구본부) ,  임미진 (국립 해양생물 자원관, 융복합 연구본부) ,  이정민 (국립 해양생물 자원관, 융복합 연구본부) ,  유종수 (국립 해양생물 자원관, 융복합 연구본부) ,  김창수 (한국 연안환경 생태 연구소) ,  최일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과) ,  정원교 (부경대학교 의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 components and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30 marine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The contents of bioacitve substance of extracts from marine algae, such total polyphenol and carbohydrate, were determined. The extrac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에 서식하는 해조류 30종 에대한 총 폴리페놀 및 총 당 함량 분석과 항산화능 평가를 위해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른 분류군에 비해 폴리페놀함량과 당 함량은 갈조류와 홍조류에서 각각 높았으며, 녹조류에 속하는 갈색대마디말은 각각 폴리페놀과 당 함량이 갈조류와 홍조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항산화, 항암, 항바이러스, 항염증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해조류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해조류 30종의 유용성분 함량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잠재성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서 서식하는 30종의 해조류에 대한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용성분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 내에서 항산화제의 주요 기능은? 항산화제는 주로 면역 증진, 생체 내의 산화적 손상 방어와 세포의 신호전달과정에 참여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생체 내에서의 항산화제의 주요 기능은 활성산소종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체내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인체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 [10,11]. 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ytylated hydroxyl anisol(BHA) 및 butylated hydroxyl toluene(BHT) 등은 높은 항산화능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어, 최근 천연자원으로부터 부작용이 없는 항산화제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7].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활성산소종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현대인들의 불규칙한 생활환경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 등으로 인해 당뇨, 동맥경화, 고지혈증을 포함한 각종 성인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성인병의 복합적인 원인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5,6].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활성산소종의 종류로는 초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1O2),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및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종은 불안정한 상태로 인해 반응성이 높지만, 생체 내 효소 기작에 의해 대부분 소멸이 된다 [7,8]. 하지만, 각종 원인에 의해 항산화 방어계(antioxidant defense system)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종이 완전히 소멸되지 않아, 높은 반응성을 가지는 활성산소종이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거나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암, 당뇨병, 치매, 면역 질환 등 다양한 병리적인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6,9].
제주에 서식하는 해조류 중 라디칼 소거능이 높은 것은? 그 결과, 다른 분류군에 비해 폴리페놀함량과 당 함량은 갈조류와 홍조류에서 각각 높았으며, 녹조류에 속하는 갈색대마디말은 각각 폴리페놀과 당 함량이 갈조류와 홍조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던 갈조류가 DPPH와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이 높으며, 녹조류에 속하는 갈색대마디말은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i, J. H., Kim, D. I., Park, S. H., Kim, D. W. and Koo, J. G. 1999. Effect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Fucoidan Components on the Attack of Oxygen Rad icals in Kidney. J. Korean Fish. Soc. 32, 758-763. 

  2. Kim, M. J., Choi, J. S., Song, E. J., Lee, S. Y., Kim, K. B. W. R., Lee, S. J., Kim, S. J., Yoon, S. Y., Jeon, Y. J. and Ahn, D. H. 2009.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0-56. 

  3. Lee, S. H., Park, M. H., Heo, S. J., Kang, S. M., Ko, S. C., Han, J. S. and Jeon. Y. J. 2010. Di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inhibits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 vitro and allevi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Food. Chem. Toxicol. 48, 2633-2637. 

  4. Kang, M. C., Cha, S. H., Wijesinghe, W. A. J. P., Kang, S. M., Lee, S. H., Kim, E. A., Song, C. B. and Jeon, Y. J. 2013. Protective effect of marine algae phlorotannins against AAPH-induced oxidative stress in zebrafish embryo. Food Chem. 48, 950-955. 

  5. Lee, B. B., Park, S. R., Han, C. S., Han, D. Y., Park, E., Park, H. R. and Lee, S. 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6. Lee, M. H., Lee, J. W., Park, C., Han, M. H., Hong, S. H. and Choi, Y. H. 2015.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 nticancer Properties of Seven Traditional Herb-combined Remedies. J. Life Sci. 25, 406-415. 

  7. Hyon, J. S., Kang, S. M., Han, S. W., Kang, M. C., Oh, M. C., Oh, C. K., Kim, D. W., Jeon, Y. J. and Kim, S. 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J. Korean Soc. Nutr. 38, 1310-1316. 

  8. Lee, K. M., Jeong, G. T. and Park, D. H. 2004. Study of antimicrobial and DPPH scavenger activity of wood vinegar. Korean J. Boptechnol. Bioeng. 19, 381-384. 

  9. Hyun, J. M., Park, K. J., Kim, S. S., Park, S. M., Lee, Y. J. and An, H. J. 2015.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the Peel of the Native Jeju Citrus 'Hongkyool'and 'Pyunkyool. J. Life Sci. 25, 1132-1138. 

  10. Kim, S. J., Lee, G. S., Moh, S. H., Park, J., Auh, C. K., Chung, Y., Ryu, T. K. and Lee, T. K. 2013.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x Edible Seawe eds. J. Korea Acad. Indistr. Coop. Soc. 14, 3081-3088. 

  11. Ko, Y. H., Moon, Y. S., Sohn, S. H., Jung, C. Y. and Jang, I. 2012.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lum or Omija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Broiler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9, 121-131. 

  12. Wijesinghe, W. A. J. P., Lee, W. W., Kim, Y. M., Kim, Y. T., Kim, S. K., Jeon, B. T., Kim, J. S., Heu, M. S., Jung, W. K., Ahn, G., Lee, K. W. and Jeon, Y. J. 2011. Value-added fermentation of Ecklonia cava processing by-product and its antioxidant effect. J. Appl. Phycol. 24, 201-209. 

  13.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4. Duboi, M., Gilles, K. A., Hamilton, J. K., Rebers, P. A. and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5. Nanjo, H., Adachi, H., Aketa, M., Mizoguchi, T., Nishihara, T. and Terada, T. 1995. The role of cysteine in the alteration of bovine liver dihydrodiol dehydrogenase 3 activity. Biochem. J. 17, 233-238. 

  16. Rosen, G. M. and Rauckman, E. J. 1980. Spin trapping of the primary radical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the carcinogen N-hydroxy-2-acetylaminofluorene by cumene hydroperoxide-hematin. Mol. Pharmacol. 17, 233-238. 

  17. Bae, H. M., Cho, E. K., Kim, H. Y., Kand, S. H. and Choi, Y. J. 2012.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J. Life Sci. 22, 627-633. 

  18. Kim, S. J., Lee, G., Moh, S. H., Park, J., Auh, C. H., Chung, Y., Ryu, T. K. and Lee, T. K. 2013.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x edible seaweed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4, 3081-3088. 

  19. Kim, E. J., Choi, J. Y., Yu, M., Kim, M. Y., Lee, S.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 Na, H. S., Kim, J. Y., Park, J. S., Choi, G. C., Yang, S. I., Lee, J. H., Cho, J. Y. and Ma, S. J. 2014.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e extracts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21, 62-68. 

  21. Lee, W. W., Ahn, G. A., Kang, N., Kim, E. A., Jee, Y. and Jeon, Y. J. 2015. Radio-protective Effect of a Polysaccharide from Ishige okamurae against Gamma Ray-irradiated Mouse Immune Cells. J. Chitin Chitosan 20, 229-236. 

  22. Kim, J. H., Kim, Y. H., Kim, S. K., Kim, B. W. and Nam, S. W. 2011. Propert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seaweed polysaccharides-degrading enzymes from the marine microorganisms. Korean J. Microbiolo. Biotechnology 39, 189-199. 

  23. Choi, S. Y., Kim, S. Y., Hur, J. M., Choi, H. G. and Sung, N. 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24. Joung, Y. M., Park, S. J., Lee, K. Y., Suh, J. K., Hwang, S. Y., Park, K. E. and Kang, M. 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6-160. 

  25. Heo, S J., Cha, S. H., Lee, K. W., Cho, S. and Jeon, Y. J.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chlorophyta and phaeophyta from Jeju Island. Jour. Fish. Mar. Sci. Edu. 20, 251. 

  26. Shin, J. H., Choi, D. J., Lee, S. J., Cha, J. Y. and Sung, N. 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971. 

  27. Pereira, L. 2011. A review of the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edible seaweeds. In: Seaweed and Vitor H. Pomin(eds), Seaweed: Ecology, nutrient composition and medicinal uses, Nova Science Publishers, pp 15-47. 

  28. Kim, K. N., Heo, S. J., Cha, S. H. and Jeon, Y. J. 2006. Evalu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ju seaweeds using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technique. J. Mar. Biosci. Biotechnol. 1,170-177. 

  29. Kim, B. M., Jun, J. Y., Park, Y. B. and Jeong, I. 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r. 35, 1097-1101. 

  30. Yoon, J. A., Yu, K, W., Jun, W. J., Cho, H. Y., Son, Y. S. and Yang, H. C. 2000. Screening of anticoagulant activity in the extracts of edible seaweeds and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98-1106. 

  31. Vinoth Kumar, R., Murugesan, S., Bhuvaneshwari, S. and Thennarasan, S. 2016. In vitro antibacterial effecs of red alga Champia parvula (C. Agardh) of various solvents against human pathogenic bacterial. Int. J. Pharm. 4, 11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