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식품안전 체감도에 따른 식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식품안전정보 신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Consumers on Dietary Satisfaction to Sentiment Index about Food Safe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Reliance to Food Safety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3 = no.141, 2016년, pp.15 - 26  

임해파 (Departmen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ersity) ,  이승신 (Department of Global trade and Consumer, Konku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is a kind of unconditional element for the health and survival of humanity. Eating is the most principle desire for humans among others, which can make humans feel stability and pleasure when the desire is well satisfied. The attention to food safety is increasing and food safety accidents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식품안전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측정해 보고자 한다. 현재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소비자의 특성별로 살펴봄으로써 식품안전에서 기본적인 사항인 식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소비자들의 식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마련과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한 동시에 소비자들도 식품안전정보를 잘 이해하고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 중심으로 식품안전 체감도, 식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식품안전정보 신뢰가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상별로 차별화 된 적절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와 관계에서 식품안전정보 신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 중심으로 식품안전 체감도, 식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식품안전정보 신뢰가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식품안전에 관한 체감 수준에 관한 계략적인 측정이며, 식품안전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요하며, 소비자들은 식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불안을 경감하는 정책방안과 소비자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도록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기존의 문헌들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자의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식품안전체감도, 식품안전정보 인식, 식생활만족도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연구 검증은 SPSS for Windows 22.
  • 본 연구는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예비조사는 2015년 4월 5일부터 7일까지 4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를 수정 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대상으로 식생활만족도가 수준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도가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소비자의 실천이 낮은 식품안전 체감도가 부분을 파악하여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정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매스컴, 전문기관, 생산제조, 유통업자, 시민소비자단체에서 얻은 식품안전정보에 대한 신뢰를 파악하고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 간에 식품안전정보신뢰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체감을 적용할 수 있는 H. Yoo and S. Joo(2012)이 개발한 소비자안전체감지수 척도와 같아 사회 전반적 시스템이 소비자의 식품선택과 사용에 있어 얼마나 안전하게 구축되어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인지하는 식품안전의 실태를 지수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같은 체계로 연구할 것이다.
  • 소비자의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우선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요인(VIF)값을 조사하였다.
  • 먼저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도가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소비자의 실천이 낮은 식품안전 체감도가 부분을 파악하여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상별로 차별화 된 적절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와 관계에서 식품안전정보 신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또한 식품안전정보 신뢰가 식품안전 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식품안전에 관한 체감 수준에 관한 계략적인 측정이며, 식품안전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요하며, 소비자들은 식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불안을 경감하는 정책방안과 소비자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도록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특히 국민들이 각 식품, 식품군, 식품사고에 대해 체감하는 안전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식품안전체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Korea Consumer Agency (2007)의 연구에서는 식품 14개 품목과 8개 주요 위해요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과 심각성에 대한 판단을 측정하여 ‘소비자안전체감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한편, 식품안전의 실태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식품안전을 달성할만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비자 식품 안전체감 및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 소비자들은 위험의 발생가능성과는 별개로 전문가들보다 더 많은 위험에 불안해할 수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의 안전체감수준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H.
  •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식품안전체감도와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측정해 보고자 한다. 현재 식생활만족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소비자의 특성별로 살펴봄으로써 식품안전에서 기본적인 사항인 식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1세기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21세기는 생활수준의 향상, 환경오염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되고 따라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게 되었다. 최근 안전과 관련된 소비자 문제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의 경우 소비자 문제 발생시 피해의 심각성이 크다.
소비자안전체감이란 무엇인가요? 소비자안전체감이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피부로 느끼고 평가하는 소비자 안전 수준을 의미하는데 소비자안전체감 측정은 한 사회의 안전수준을 평가하는 한 지표이며, 실제 발생한 위해, 안전사고 등과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통상적으로 소비자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불안감을 의미한다(C. Hwang, 2010).
식품안전체감지수의 주요기능을 4가지로 요약한것은 무엇인가요? 식품안전체감지수의 주요기능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식품 및 식품군별 안전체감 정도를 파악, 식품안전정책의 초점을 각 대상 식품별 안전체감 정도를 높이는 기능이나 제도에 맞추도록 유도한다. 둘째, 통계기법을 적용한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조사와 조사결과의 정밀하고 객관적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과학적인 식품정책을 수립한다. 셋째, 구체적인 조사 자료는 식품안전 수준의 제고를 위한 식품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한 전문 기술적인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독립성 있고 조사 방법론적 지식을 갖춘 정부이외의 기관에 의해 식품안전실태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고, 그 조사결과가 광범위하게 공유되면 식품안전에 관한 올바른 여론을 형성할 것이다(Korea Consumer Agency,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S. Y., Kim, S. C., Lee, K. H., & Kim, H. J.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safety sentiment index. Seoul: Korean Consumer Agency. 

  2. Cho, K. H.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meals' dietary satisfaction that e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family streng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 Choi, A. J. (2011). Transfer system of dietary life safety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onsumer-based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A. Y., & Rha, J. Y. (2012). How do consumers search for information in multi-channel environment? : Consumer typology based on their choice of information channe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2), 135-164. 

  5. Choi, J. M. (2009). Influence of some food hygiene-safety accidents on food labeling check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6. Han, T. H. (1998), Risk recognition and their acceptance in perspective of risk communication - Risk as a Social Construction. Social research, 13(1), 135-148. 

  7. Hargreaves, M. K., Schlundt, D. G., & Buchowskib, M. S. (2002).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e eating behaviors of african american women: A focus group investigation. Ethnicity & Health, 7(3), 133-147. 

  8. Huh, K. O. (2011). An analysis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for consumer safety of product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consumer safety of products by economic agencies : Focused on information, education, and policy for safety.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7(3), 101-121. 

  9. Hwang, C. S. (2009).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safety sentiment index. Seoul: Korea Consumer Agency. 

  10. Hwang, C. S. (2010).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Consumer Safety Sentiment Index. Seoul: Korean Consumer Agency. 

  11. Jang, E. A. (2010).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social relation network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C. S. (2010). Correlation between food safety related knowledge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3. Kim, E. M. (2003).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risk acceptabili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H. C., & Kim, M. R. (2009). Consumers' awareness of the risk elements associated with foo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regarding food safety.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1), 116-129. 

  15. Kim, H. J. (2008).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on the food safety in daegu and gyeongbuk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6. Kim, Y. S., Lee, H. S., Yoo, D. Y., Lee, E. H., & Kim, S. G. (2002). Understanding the consumer information management. Seoul: Sigmapress. 

  17. Korea Consumer Agency. (2007).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Index and Food Safety Competency Index. 

  18. Korea Consumer Agency. (2009). Consumer Injury Information. 

  19. Lee, Y. H., & Lee, S. S. (2014). Analysis of consumer trust model regarding food businesses and government food safety polici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5(2), 1-20. 

  20. Meadow, H. L.(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the United State. 

  21. Moon, S. J., Sohn, K. H. Kim, Y. H., & Jeon, H. J. (1989). Research: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counseling system for weight control of athletes - Part 1: A basic study for investigating dietary guideline of athletes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7(3), 53-60. 

  22.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23. Park, M. H., Song, I. S., & Park. M. S. (2007). Consumer decision. Seoul: Gyomoon. 

  24. Rosati, S., & Saba, A. (2004). The perception of risks associated with food-related hazards and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sources of in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39(5), 491-500. 

  25. Sandman, P. M. (1993). Responding to community outrage. Fairfax: Amer Industrial Hygiene Assn. 

  26. Siegrist, M., & Cvetkovich, G. (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 Risk Analysis, 20(5), 713-720. 

  27. Sl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28. Slovic, P. (1999), Trust, emotion, sex, politics and science: Surveying the risk-assessment battlefield. Risk analysis, 19, 689-701. 

  29. Solomon, M. R. (2011). Consumer behavior. Seoul: Kyungmoon. 

  30. Song, E. G., & Yoo, H. J. (2008).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of perceived risk on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food safety pursuit between seoul & shanghai consumers: Focused on food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9(3), 215-244. 

  31.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2012).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research on food imports. 

  32. Yoo, H. J., & Joo, S. H. (2012). Development of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competency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4), 79-104. 

  33. Yoo, H. J., Choi, E. S., Kim, S. S., & Lee, J. E. (2011). Consumers living and life safety risk society. Seoul: dymbook. 

  34. Yoo, H. J., & Joo, S. H. (2014).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index and food safety competency index. Survey research, 15(2), 23-70. 

  35. Yoon, H. J. (2007).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behavior and preference for education method associated with food saf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6. Yun, J. S. (2006). A survey on attitudes of toward food hygiene, safety and awareness of haccp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Yeungnam,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