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안전 인지도와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조사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s of Food Safety and Food Buying Behavior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4 no.3 = no.94, 2018년, pp.93 - 103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생명학과) ,  정현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stomer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food safety orient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458 adults aged 20 and 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ood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food, follow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소비자의 건강과 직결됨은 물론 식품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는 지속적으로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수행함으로써 식품안전에 대한 올바른 교육 및 홍보, 식품업계의 안전정책을 지속적으로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식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행동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식품안전 교육방향 설정과 식품안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인지도와 관련 구매행동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및 광주 지역거주 만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최근 1주일이내 식품구매의 경험을 가진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8주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은 이질적인 요소가 섞여있는 대상의 것을 유사도(similarity)에 따라 서로 닮은 것끼리 모아 군집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여도의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두그룹으로 분류하여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안전추구행동의 차이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고, 연령에 따른 안전추구행동 차이분석은 ANOVA 실시 후 사후분석방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은? 식품안전은 인간의 건강, 맛, 외관,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며, 넓은 의미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까지도 포함한다(Grunert, 2005; Shafie & Rennie, 2012).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에서 오는 위험요소와 환경오염 및 방사능 유출 등의 이차적 위험들이 있으며, 매년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안전사고의 특징은 1980년대에는 주로 식품의 생산과정에서 오는 안전관리미흡에서 오는 사고가 많았으며, 1980년대 이후 수입식품에 의한 새로운 위해요소가 확산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환경문제, 제조 및 가공과정에서의 안전문제, 유해물질 혼입, 산업발달에 의한 오염 확산 등 다양하게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들이 증가하고 있다(Chong, 2010).
우리나라의 식품안전사고의 특징은?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에서 오는 위험요소와 환경오염 및 방사능 유출 등의 이차적 위험들이 있으며, 매년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안전사고의 특징은 1980년대에는 주로 식품의 생산과정에서 오는 안전관리미흡에서 오는 사고가 많았으며, 1980년대 이후 수입식품에 의한 새로운 위해요소가 확산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환경문제, 제조 및 가공과정에서의 안전문제, 유해물질 혼입, 산업발달에 의한 오염 확산 등 다양하게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들이 증가하고 있다(Chong, 2010). 식품의 안전성은생물학적 위해인자와 화학적 위해인자에 대한 식품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확보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가정, 기업, 국가별로 식품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식품안전의 정의는? 식품안전이란 위해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 아니라 수용되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사람이 음식을 섭취함에 있어 섭취량이나 섭취빈도, 섭취기간에 상관없이 그 식품 섭취로 인한 위험이나 부작용 발생이 안전한 상태를 보장받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Yang & Lee, 2002). 최근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은 해마다 높아지고 세계적인 관심증대로 식품안전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e, J. S., Chun, H. K., Hwang, D. Y., & Nam, H. 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34(1), 66-74. 

  2. Choi, J. E., & Kim, Y. K. (2011).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rganic food : A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towards food safety.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4), 153-168. 

  3. Chong, K. H. (2010). Strengthening of food sfety management for the health of people. Health & Welfare Forum, 27-36. 

  4. Grunert, K. G. (2005). Food quality and safety: Consumer perception and demand. European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32(3), 369-391. 

  5. Han, W. G., & Lee, K. J. (1991).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7(4), 23-34. 

  6. Jeon, Y. Y. (2007). On the foodservice custo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3(4), 243-255. 

  7. Jin, H. J. (2006). S. Korean consumers' response in meat demand to public information regarding BSE outbreaks. Safe Food, 1, 39-45. 

  8. Kim, H. C., & Kim, M. R. (2003).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s towards food hygiene (I):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amily & Environment Research, 41(2), 15-26. 

  9. Kim, H. S., & Kim, M. J. (2004). Housewives' basic knowledge, recognition, and willingness to buy GMO.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13-129. 

  10. Kim, J. H., & Yoo, T. Y. (2008). A sud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4(2), 249-261. 

  11. Kim, K. D., & Lee, J. Y. (2010).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39(3), 392-398. 

  12. Kim, S. S. (2007).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for food safety and purchas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15-32. 

  13. Kim, Y. S. (2009). A survey on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Safe Food, 4, 19-23. 

  14. Knight, A., & Warland, R.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s and concern about food safety issu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8(1), 107-120. 

  15. Lee, K. A., Cho, E. J., & Yoon, H. S. (2010). A study on consumption of cnvenience fods of uiversity s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6(3), 279-290. 

  16. Lee, Y. H., & Lee, S. S. (2011). Consumer trust and food safety pursuit behavior by purchase stage. Korean Consumption Culture Studies, 14(1), 5-26. 

  17. Meer, R. R., & Misner, S. L. (2000). Food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of expande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Arizona. Journal of Food Protection, 63(72), 1725-1731. 

  18. Michaelidou, N., & Hassan, L. M. (2008). The role of health consciousness, food safety concern and ethical identity on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s organic foo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2, 163-170. 

  19. Nam, H. J., & Kim, Y. S. (2006). A survey on perceived food safety in urban residents. Korean Journal Food & Nutrition, 19(2), 126-142. 

  20. Park, C. J., Chun, S. J., Park, K. H., Hong, C. H., & Kim, J. W. (200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Hygiene & Safety, 18(3), 139-145. 

  21. Park, H. Y., & Kim, S. W. (2005).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deman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Family & Environment Research, 43(2), 175-189. 

  22. Park, J. Y., Choi, E. H., Choi, J. H., Shim, S. K., Park, H. S., Park, K. H., ... Ryu, K. (2009). Assessment of consumer's food safety perception and practices. Journal of Food Hygiene & Safety, 24(1), 1-11. 

  23. Park, M. H., Cho, Y. H., & Lee, S. Y. (2011).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consumer information content for consumer risk communication in food safety, Korean Consumption Culture Studies, 14(3), 1-22. 

  24. Piggot, N. E., & Marsh, T. L. (2004). Does food safety information impact U.S mear deman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6(1), 154-174. 

  25. Rodolfo, M. & Nayga, J. (1996). Socio-demographic influences on consumer concern for food safety: the case of irradiation, antibiotic, hormones, and pesticides.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18(3), 457-475. 

  26. Ryu, K. H. (2013). College student consumers' safety pursuit behavior at the purchase of ready-to-eat food. Journal of Safety & Crisis Management. 9(4), 59-82. 

  27. Sah, J. Y., & Yeo, J. S. (2013). Comparative study on levels of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risk due to technological hazards: Focus on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 Korean Society of Consumer Policy & Education, 9(4), 1-28. 

  28. Schilpzand, R. A. (1999). Shifts in food safety perception by consumer and consumer organizations, International food safety handbook. New York, USA: Marcel Dekker Publishing. 

  29. Shafie, F. A., & Rennie, D. (2012). Consumer perceptions towards organic food. Procedia-Social & Behavioral Sciences, 49(1), 360-367. 

  30. Song, E. J., & Yoo, H. J. (2008).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of perceived risk on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food safety pursuit between Seoul & Shanghai consumers: focused on food consumption.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19(3), 215-244. 

  31. Yang, D. S., & Lee, K. C. (2002). A review of product liability law in relation to the safety consciousness of Korean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3(2), 8-24. 

  32. Yoo, H. J., & Joo, S. H. (2012).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n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orientation behavior. Consumer Policy & Education Review, 8(4), 49-7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