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인간 암세포주, A549와 SKOV3의 p53의존적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p53-dependent Apoptosis by Resveratrol in Human Cancer Cells, A549 and SKOV3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2, 2016년, pp.194 - 200  

이슬기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식품공학) ,  남주옥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식품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veratrol은 포도, 오디, 땅콩과 같은 많은 과일과 채소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써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어있다. 그러나, resveratrol이 A549 폐암세포에서 유도하는 apoptosis에 관여하는 분자적 기전 및 anoikis에 관해서는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정상적인 p53 유전자를 갖는 A549 세포에서 resveratrol의 효과를 조사하고, p53 유전자가 결실된 SKOV3 난소암 세포와 그 효과를 비교했다. Resveratrol은 확실하게 SKOV3 세포에 비해 농도, 시간의존적으로 A549 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억제했다. 또한 resveratrol은 A549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했지만 세포의 anoikis 저항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더불어, p53 유전자 기능이 불완전 소실된(knock-down) A549 세포의 생존과 증식은 resveratrol에 의해 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resveratrol의 항암 효과가 기능을 하는 p53 유전자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resveratrol이 p53 유전자에 의존적으로 A549 세포에 대해 항암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present in many fruits and vegetables such as grapes, mulberries, and peanuts,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effect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in A549 ovarian cancer cells are not well understoo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esveratrol이 A549 폐암세포와 SKOV3 자궁암세포의 생존 및 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p53이 관여하는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en J, Peng H, Ou-Yang X, He X. 2008. Research on the antitumor effect of ginsenoside Rg3 in B16 melanoma cells. Melanoma Res. 18: 322?329. 

  2. Corney DC, Flesken-Nikitin A, Godwin AK, Wang W, Nikitin AY. 2007. MicroRNA-34b and MicroRNA-34c are targets of p53 and cooperate in control of cell proliferation and adhesion-independent growth. Cancer Res. 67: 8433?8438. 

  3. Ferraz da Costa DC, Casanova FA, Quarti J, Malheiros MS, Sanches D, Dos Santos PS, et al. 2012. Transient transfection of a wild-type p53 gene triggers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in cancer cells. PLoS One 7: e48746. 

  4. Fiucci G, Ravid D, Reich R, Liscovitch M. 2002. Caveolin-1 inhibits anchorage-independent growth, anoikis and invasiveness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Oncogene 21: 2365?2375. 

  5. Hsieh TC, Juan G, Darzynkiewicz Z, Wu JM. 1999. Resveratrol increases nitric oxide synthase, induces accumulation of p53 and p21(WAF1/CIP1), and suppresses cultured bov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by perturbing progression through S and G2. Cancer Res. 59: 2596?2601. 

  6. Kang SW. 2013.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death pathways. Hanyang Med. Rev. 33: 77?82. 

  7. Kim BW, Kwon HJ, Jin K-S, Park H-J, Lee J-Y, Oh YN, et al. 2013. Induction of G2/M arrest and apoptosis by the methanol extract of typha orientalis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HT29 cell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425?432. 

  8. Kim HH, Min G. 2015. Inhibitory effects of S-allylcysteine on cell proliferation of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HeLa. J. Life Sci. 25: 397?405. 

  9. Lee SH, Park SY, Kim I-S, Park OJ, Kim YM. 2012. Effects of resveratrol on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KSBB J. 27: 289?294. 

  10. Min SO, Lee SW, Bak SY, Kim KS. 2015. Sphere-forming cultivation of liver cancer cell line in culture media without growth factors. Korean J. Clinical Oncol. 11: 20?23. 

  11. Mukhopadhyay T, Roth JA. 1997.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lung cancer cells after wild-type p53 activation by methoxyestradiol. Oncogene 14: 379?384. 

  12. NaveenKumar SK, Thushara RM, Sundaram MS, Hemshekhar M, Paul M, Thirunavukkarasu C, et al. 2015. Unconjugated bilirubin exerts pro-apoptotic effect on platelets via p38-MAPK activation. Sci. Rep. 5: 15045. 

  13. Opipari AW Jr, Tan L, Boitano AE, Sorenson DR, Aurora A, Liu JR. 2004. Resveratrol-induced autophagocytosis in ovarian cancer cells. Cancer Res. 64: 696?703. 

  14. Park H-J, Jin S, Oh YN, Kim BW, Kwon HJ. 2015.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endlicheria anomala in human lung and liver cancer cells. J. Life Sci. 25: 441?449. 

  15. Park S-Y, Kim E-J, Lim D-Y, Kim J-S, Lim S-S, Shin H-K, et al. 2008. Inhibitory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 

  16. Wang H, Zhang H, Tang L, Chen H, Wu C, Zhao M, et al. 2013. Resveratrol inhibits TGF-beta1-induced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and suppresses lung cancer invasion and metastasis. Toxicology 303: 139?146. 

  17. Wang X, Lin G, Martins-Taylor K, Zeng H, Xu RH. 2009. Inhibition of caspase-mediated anoikis is critical f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sustained culture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J. Biol. Chem. 284: 34054?34064. 

  18. Yoo J, Park S, Kang CS, Kang SJ, Kim BK. 2002. Expression of E-cadherin and p53 proteins in human soft tissue sarcomas. Arch Pathol. Lab. Med. 126: 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