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대식세포 RAW 264.7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
Glucosylation of Resveratrol Improves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the Viability of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5 no.1, 2017년, pp.19 - 26  

라메스 프라시드 판데이 (선문대학교 BT융합 제약공학과) ,  이지선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용일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  송재경 (선문대학교 BT융합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성질과 대식세포의 생존능력과 관련하여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에서 연구하였다. 인비토로에서 대식세포에서 총 4개의 레스베라트롤 및 당화된 유도체 (E)-resveratrol, (E)-resveratrol 3-O-${\beta}$-${\small{D}}$-glucoside (R-3-G), 및 (E)-resveratrol 4'-O-${\beta}$-${\small{D}}$-glucoside (R-4'-G)를 여러 가지 농도로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 (NO)와 인터루킨 6 (IL-6) 발현을 연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물질로 처리한 후 인비토로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도 연구하였다. 대식세포 생존능력 평가분석 결과를 보면, 두 개의 레스베라트롤 모노글루코사이드인 R-3-G와 R-4'-G은 (E)-resveratrol와 비교하여 A549 and HepG2 세포에서 50-80% 감소된 독성을 보여준다. 당이 없는 레스베라트롤과 비교하면, 당화된 레스베라트 유도체는 긍정적으로 전사적으로 IL-6 및 iNOS 발현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NO 및 대식세포에서 IL-6의 생산이 조절된다. 레스베라트롤의 당의 역할은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resveratrol glucosylation on the immunomodulation properties of resveratrol and on the viability of macrophage cells have been studied by using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Nitric oxide (NO) and interleukin 6 (IL-6) expression in macrophages in vitro were studied after treatment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D). Considering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cell viability (Fig. 2A), we hypothesize that the dose-dependent decrease in IL-6 and NO levels is due to RAW 264.7 cell cytotoxicity. For the glucosylated derivatives, these were more effective at expressing iNOS and producing NO at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s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eng YH, Zhou WL, Wu QL, Li XY, Zhao WM, Zou JP. 2002. Low dose of resveratrol enhanced immune response of mice. Acta Pharmacol. Sin. 23: 893-897. 

  2. Fremont L. 2000. Biological effects of resveratrol. Life Science 66: 663-673. 

  3. Fuggetta M, Mattivi F. 2011. The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resveratrol glucosides in humans. Recent Pat. Food Nutr. Agric. 3: 81-90. 

  4. Gao X, Deeb D, Media J, Divine G, Jiang H, Chapman RA, et al. 2003.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resveratrol: discrepant in vitro and in vivo immunological effects. Biochem. Pharmacol. 66: 2427-2435. 

  5. Jang M, Cai L, Udeani GO, Slowing KV, Thomas CF, Beecher CW, et al.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0. 

  6. Baur JA, Sinclair DA. 2006. Therapeutic potential of resveratrol: the in vivo evidence. Nat. Rev. Drug Discov. 5: 493-506. 

  7. Neves AR, Lucio M, Lima JL, Reis S. 2012. Resveratrol in medicinal chemistry: a critical review of its pharmacokinetics, drug-delivery, and membrane interactions. Curr. Med. Chem. 19: 1663-1681. 

  8. Gugler R, Leschik M, Dengler HJ. 1975. Disposition of quercetin in man after single oral and intravenous doses. Eur. J. Clin. Pharmacol. 9: 229-234. 

  9. Makino T, Shimizu R, Kanemaru M, Suzuki Y, Moriwaki M, Mizukami H. 2009. Enzymatically modified isoquercitrin, alpha-oligoglucosyl quercetin 3-O-glucoside, is absorbed more easily than other quercetin glycosides or aglycone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rats. Biol. Pharm. Bull. 32: 2034-2040. 

  10. Tsai SH, Lin-Shiau SY, Lin JK. 1999. Sup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the down-regulation of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macrophages by resveratrol. Br. J. Pharmacol. 126: 673-680. 

  11. Wadsworth TL, Koop DR. 1999. Effects of the wine polyphenolics quercetin and resveratrol on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s. Biochem. Pharmacol. 57: 941-949. 

  12. Gao X, Xu YX, Janakiraman N, Chapman RA, Gautam SC. 2001.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resveratrol: suppression of lymphocyte proliferation, development of cell-mediated cytotoxicity, and cytokine production. Biochem. Pharmacol. 62: 1299-1308. 

  13. Choi O, Lee JK, Kang SY, Pandey RP, Sohng JK, Ahn JS, et al. 2014. Construction of artificial biosynthetic pathways for resveratrol glucoside derivatives. J. Microbiol. Biotechnol. 24: 614-618. 

  14. Pandey RP, Parajuli P, Koirala N, Lee JH, Park YI, Sohng JK. 2014a. Glucosylation of isoflavonoids in engineered Escherichia coli. Mol. Cells 37: 172-177. 

  15. Pandey RP, Parajuli P, Shin JY, Lee J, Lee S, Hong YS, et al. 2014b. Enzymatic biosynthesis of novel resveratrol glucoside and glycoside derivatives. Appl. Environ. Microbiol. 80: 7235-7243. 

  16.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7. Diehl S, Rincon M. 2002. The two faces of IL-6 on Th1/Th2 differentiation. Mol. Immunol. 39: 531-536. 

  18. Detmers PA, Hernandez M, Mudgett J, Hassing H, Burton C, Mundt S, et al. 2000. Deficiency i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results in reduced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J. Immunol. 165: 3430-3435. 

  19. Bowe CL, Mokhtarzadeh L, Venkatesan P, Babu S, Axelrod HR, Sofia MJ, et al. 1997. Design of compounds that increase the absorption of polar molecules. Proc. Natl. Acad. Sci. USA 94: 12218-12223. 

  20. Zhong M, Cheng GF, Wang WJ, Guo Y, Zhu XY, Zhang JT. 1999. Inhibitory effect of resveratrol on interleukin 6 release by 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s of mice. Phytomedicine 6: 79-84. 

  21. Holtmann H, Resch K. 1995. Cytokines. Naturwissenschaften. 82: 178-187. 

  22. Chan MM, Mattiacci JA, Hwang HS, Shah A, Fong D. 2000. Synergy between ethanol and grape polyphenols, quercetin, and resveratrol, in the inhibition of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pathway. Biochem. Pharmacol. 60: 1539-15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