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닭의 맹장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L2와 L8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ion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L2 and L8 Isolated from Chicken Cecum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2, 2016년, pp.201 - 207  

심인숙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생명융합과학과) ,  박근태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생명융합과학과) ,  임영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생명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한 닭의 맹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LAB 2와 LAB 8의 생균제로 이용을 알아보기 위해 기본적인 특성과 면역활성을 시험하였다. LAB 2와 LAB 8은 높은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가지고 있으며, 1차 대사산물인 유기산에 기인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Salmonella 종을 병원성균으로 이용하여 최대 항균력을 나타내는 시간을 시험한 결과 48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생성된 유기산 중 젖산의 생산량은 다른 Lactobacillus 균주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In vitro 모델로 알아본 면역증진효과는 면역관련 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의 생산량 증가로 확인하였다. 이에 Lactobacillus sakei LAB 2와 LAB 8은 유용한 생균제로 개발할 수 있는 균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as probiotics. Two strains were isolated from healthy chicken cecum and their acid and bile tolerance, residual organic acid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immunomodulation activ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닭의 맹장에서 유래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을 분리하여 가금류 병원성의 주 원인균인 Salmonella를 비롯하여 병원성 내성균들(Antibiotic-Resistant Bacteria)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생균제로 이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장내환경에 대한 내성과 기능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akomi HL, Skyttä E, Saarela M, Mattila ST, Latva KK, Helander IM. 2000. Lactic acid permeabilizes gram-negative bacteria by disrupting the outer membrane. Appl. Environ. Microbiol. 66: 2001?2005. 

  2. Argyri AA, Zoumpopoulou G, Karatzas KAG, Tsakalidou E, Nychas GJE, Panagou EZ, et al. 2013. Selection of potential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olives by in vitro tests. Food Microbiol. 33: 282?291. 

  3. Barrow P, Brooker BE, Fuller R, Newport MJ. 1980. The attachment of bacteria to the gastric epithelium of the pig and its importance in the microecology of the intestine. J. Appl. Bacteriol. 48: 147?154. 

  4. Chon H, Choi B. 2010. The effects of a vegetable­derived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um on the immune response. Microbiol. Immunol. 54: 228?236. 

  5. Conrad R. 1981. Induction and collection of peritoneal exudate macrophages, pp. 5?11. In Herscowitz HB, Holden HT, Bellanti JA, Ghaffar A (ed.), Manual of macrophage methodology. Marcel Dekker, Inc., New York. 

  6. Fuller R. 1992. Probiotics, The scientific basis. Chapman and Hall, London. 

  7.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8. Gilliland S, Staley T, Bush L. 1984. Importance of bile tolera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used as a dietary adjunct. J. Dairy Sci. 67: 3045?3051. 

  9. Holzapfel WH, Haberer P, Snel J, Schillinger U, Huis V, Jos HJ. 1998. Overview of gut flora and probiotics. Int. J. Food Microbiol. 41: 85?101. 

  10. Kanmani P, Satish KR, Yuvaraj N, Paari KA, Pattukumar V, Arul V. 2013. Probiotics and its functionally valuable products—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53: 641?658. 

  11. Kim DS, Cho HW, Oh KH. 2013.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KSBB J. 28: 18?23. 

  12. Kim SH. 2002. The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roiler and laying hens cecum.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19 Proceedings 11: 64?84. 

  13. Lee SB, Kim BK, Park CH, Park GH, Jin YC, Kang HS, et al. 2011.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and Immunomodulator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Korean native chicken. J. Anim. Sci. Technol. 53: 409?418. 

  14. Li N, Russell WM, Douglas-escobar M, Hauser N, Lopez M, Neu J. 2009. Live an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GG: effects on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chemokines in gastrostomy-fed infant rats. Pediatr. Res. 66: 203?207. 

  15. Miettinen M, Vuopio-Varkila J, Varkila, K. 1996. Production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is in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fect. Immun. 64: 5403?5405. 

  16. Mottet C, Michetti P. 2005. Probiotics: wanted dead or alive. Dig. Liver Dis. 37: 3?6. 

  17. Parham P. 2014. The immune system. Garland Science Publishing, London. 

  18. Pereira DI, Gibson GR. 2002. Cholesterol assimil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the human gut. Appl. Eenviron. Microbiol. 68: 4689?4693. 

  19. Radecki S, Juhl M, Miller ER. 1988. Fumaric and citric acids as feed additives in starter pig diets: effect on performance and nutrient balance. J. Anim. Sci. 66: 2598?2605. 

  20. Renshaw M, Rockwell J, Engleman C, Gewirtz A, Katz J, Sambhara S. 2002. Cutting edge: impaired Toll-like receptor expression and function in aging. J. Immunol. 169: 4697?4701. 

  21. Salminen S, Ouwehand A, Benno Y, Lee YK. 1999. Probiotics: how should they be defined? Trends in Food Sci. Technol. 10: 107?110. 

  22. Schepetkin IA, Faulkner CL, Nelson-Overton LK, Wiley JA, Quinn MT. 2005. Macrophag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Juniperus scopolorum. Int. Immunopharmacol. 5: 1783?1799. 

  23. Schepetkin IA, Xie G, Kirpotina LN, Klein RA, Jutila MA, Quinn MT. 2008. Macrophag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polyacantha. Int. Immunopharmacol. 8: 1455?1466. 

  24. Spencer R, Chesson A. 1994.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p. on the attachment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to isolated porcine enterocytes. J. Appl. Bacteriol. 77: 215?220. 

  25. Turvey SE, Broide, DH. 2010. Innate immunity. J. Allergy Clin. Immunol. 125: S24?S32. 

  26. Urban JL, Shepard HM, Rothstein JL, Sugarman BJ, Schreiber H. 1986. Tumor necrosis factor: a potent effector molecule for tumor cell killing by activated macrophages. Proc. Natl. Acad. Sci. 83: 5233?5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