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장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율 특성
Prosodic pattern of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sentence typ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2, 2016년, pp.65 - 71  

신희백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어청각학과) ,  최지은 (한림대학교 대학원 언어청각학과) ,  이윤경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sodic pattern of the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according to sentence type. The participants were 18 children aged from 7 - 9 years; 9 children with HFASD and 9 typical development children(TD) of the same chronolog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임세미 & 심현섭(2009)가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High Function Autism; HFA) 대상으로 문장 유형에 따른 운율 특성을 연구하였다.
  • 이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억양 중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문장 유형에 따른 억양 차이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이 평서문과 의문문에 따라 일반아동 집단과 운율 표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문장 읽기가 가능한 학령기 저학년의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과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의 문장 양식에 따른 운율 특성을 음향학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의 억양 중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문장 유형에 따른 억양 차이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문장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의 운율 특성을 음향학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운율 특성을 평균 F0, 음도 범위, 강도, 말속도, 억양 곡선의 5가지 음향학적 측정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집단의 주효과는 F0범위에서만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언어 샘플 수집 방법에서는 읽기와 자발화 과제에서만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문장이나 단락 수준의 읽기, 자발화 과제를 이용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음향학적 측정치를 분석할 때,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의 비전형적인 운율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자폐 집단을 대상으로 정상집단과 비교하여 비전형적인 운율 사용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음도에 대한 결과는 이전 선행연구를 지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가 선행 연구와 갖는 차이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언어학적 구조에서의 차이로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권에서는 강세를 품사를 구별하거나,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비전형적인 운율 특성은 청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비전형적인 운율 사용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다. 높은 음도는 고집 센 인상을 제공하거나, 매우 느린 말속도는 거들먹거리는 인상을 주고, 작지만 지각적으로 눈에 띄는 운율 특징들이 의도하지 않게 부정적인 인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비전형적인 운율 특성은 청자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어 의사소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Paul et al.
운율의 역할은? 운율은 초분절적 요소로 정의되며 음도, 말속도 그리고 억양 등의 다양한 운율적 요소를 통해 화자의 의도나 정서적 상태를 청자에게 전달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운율은 문장의 억양, 강세, 리듬을 변화시켜 의문문과 평서문과 같은 문장 형태를 구분하게 하며, 이는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의 의도를 전달하는데 영향을 주어 화용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Crystal, 1986).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은 어떠한 운율 특성을 보이는가? 곡선을 제외한 음도, 강도, 말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국외 선행 연구들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집단이 부적절한 음성 강도와 일탈적인 강세 패턴을 보이고(Paul et al., 2008; Peppe et al., 2007; Shriberg et al., 2001), 더 느리거나 빠른 말속도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Fillipe et al., 2014; Pau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ron-Cohen, S. & Staunton, R. (1994). Do children with autism acquire the phonology of their peers? An examination of group identification through the window of bilingualism. First Language, 14(42-43), 241-248. 

  2. Case, J. L. (2000). Clinical Management of Voice Disorders. (4th edition). Austin, Texas: Pro-Ed Inc. 

  3. Crystal, D. (1986). Prosodic development. In P. Fletcher & M. Garman (Eds.), Language acquisition (2nd edi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de Pijper, J. R. 1983. Modelling British Englishintonation: An analysis by resynthesis of British English intonation. The Hague: Mouton. 

  5. Diehl, J. J., Watson, D., Bennetto, L., Mcdonough, J., & Gunlogson, C. (2009). An acoustic analysis of prosody in high-functioning autism. Applied Psycholinguistics, 30(3), 385-404. 

  6. Diehl, J. J. & Paul, R. (2012). Acoustic differences in the imitation of prosodic pattern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1), 123-134. 

  7. Filipe, M. G., Frota, S., Castro, S. L., & Vicente, S. G. (2014). Atypical prosody in Asperger syndrome: perceptual and acoustic measurement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4(8), 1972-1981. 

  8. Grossman, R. B., Bemis, R. H., Skwerer, D. P., & Tager-Flusberg, H. (2010). Lexical and affective prosody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3(3), 778-793. 

  9. Grossman, R. B. & Tager-Flusberg, H. (2012). "Who Said That?" Matching of low-and high-intensity emotional prosody to facial expressions by adolescents with ASD.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2(12), 2546-2557. 

  10. Grossman, R. B., Edelson, L. R., & Tager-Flusberg, H. (2013). Emotional facial and vocal expressions during story retelling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3), 1035-1044. 

  11. Hubbard, K. & Trauner, D. A. (2007). Intonation and Emotion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36(2), 159-173. 

  12. Heikkinen, J., Jansson-Verkasalo, E., Toivanen, J., Suominen, K., Vayrynen, E., Moilanen, I., & Seppanen, T. (2010). Perception of basic emotions from speech prosody in adolescents with Asperger's syndrome.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5(3), 113-120. 

  13. Imaizumi, S., Furuya, I., & Yamasaki, K. (2009). Voice as a tool communicating intention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4(4), 196-199. 

  14. Jarvinen-Pasley, A., Peppe, S., King-Smith, G., & Heaton, P.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level receptive prosodic abilities in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8(7), 1328-1340. 

  15. Jung, K. S. & Seong, C. J. (2007).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sodic Feature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in Korean Read Sentenc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4), 625-642. (정금수.성철재 (2007). 자폐범주성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문장 읽기에서의 운율특성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2, 625-642.) 

  16. Lindner, J. L. & Rosen, L. A. (2006). Decoding of emo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prosody and verbal cont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perger's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6), 769-777. 

  17. Lim, S. M. & Sim, H. S. (2009). Prosodic Control of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Children in Relation to Question-Statement Contra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9(1), 37-55. (임세미. 심현섭 (2009). 의문문과 평서문 읽기과제를 통한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운율 통제능력 비교. 자폐성장애연구, 9(1), 37-55.) 

  18. McAlpine, A., Plexico, L. W., Plumb, A. M., & Cleary, J. (2014). Prosody in Young Verba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ntemporary Issues in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41, 120-132. 

  19. McCann, J. & Peppe, S. (2003). Prosody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critic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8(4), 325-350. 

  20. McCann, J., Peppe, S., Gibbon, F. E., O’Hare, A., & Rutherford, M. (2007). Prosody and its relationship to language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42(6), 682-702. 

  21. Nadig, A. & Shaw, H. (2012). Acoustic and perceptual measurement of expressive prosody in high-functioning autism: Increased pitch range and what it means to listen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2(4), 499-511. 

  22. Paul, R., Augustyn, A., Klin, A., & Volkmar, F. R. (2005a).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prosody by spea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5(2), 205-220. 

  23. Paul, R., Shriberg, L. D., McSweeny, J., Cicchetti, D., Klin, A., & Volkmar, F. (2005b). Brief report: Relations between prosodic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ratings in high functioning spea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5(6), 861-869. 

  24. Paul, R., Bianchi, N., Augustyn, A., Klin, A., & Volkmar, F. R. (2008). Production of syllable stress in speak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1), 110-124. 

  25. Peppe, S., McCann, J., Gibbon, F., O'Hare, A., & Rutherford, M. (2007). Receptive and expressive prosodic ability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0(4), 1015-1028. 

  26. Sharda, M., Subhadra, T. P., Sahay, S., Nagaraja, C., Singh, L., Mishra, R., & Singh, N. C. (2010). Sounds of melody-Pitch patterns of speech in autism. Neuroscience letters, 478(1), 42-45. 

  27. Shin, H. B., Choi, J., Kim, K., & Lee, Y. (2015). Expressive Prosody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a-Analysi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3), 424-434. (신희백.최지은.김기숙.이윤경 (2015).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운율 표현에 대한 메타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20(3), 424-434. 

  28. Shriberg, L. D., Paul, R., McSweeny, J. L., Klin, A., Cohen, D. J., & Volkmar, F. R. (2001). Speech and prosod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5), 1097-1115. 

  29. Simmons, J. Q. & Baltaxe, C. (1975). Language patterns of adolescent autistic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5(4), 333-351. 

  30. Tager-Flusberg, H., Paul, R., & Lord, C. (2005).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autism.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1, 335-364. 

  31. Titze, I. R. (1994). Toward standards in acoustic analysis of voice. Journal of Voice, 8(1), 1-7. 

  32. van Bourgondien, M., & Woods, A. (1992). Vocational possibilities for high-functioning adults with autism. In E. Schopler & G. Mesibov (Eds.),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pp. 227-239). New York: Plenum Press. 

  33. van Santen, J. P. H., Prud’hommeaux, E. T., Black, L. M., & Mitchell, M. (2010). Computational prosodic markers for autism. Autism, 14(3), 215-236. 

  34. Venkatagiri, H. S. (1999). Clinical measurement of rate of reading and discourse in young adult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4(3), 209-226. 

  35. Whiteside, S. P. & Hodgson, C. (2000). Som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voices of 6-to 10-year-old children and adults: a comparative sex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5(3), 122-132. 

  36. Wing, L. (1981). Asperger's syndrome: a clinical account. Psychological medicine, 11(1), 115-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