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운구 경계와 단어빈도가 한국어 음운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that influence the phonological word recognitio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2, 2019년, pp.45 - 56  

김제홍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신하선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예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윤광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김다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단어를 처리할 때, 운율구성성분인 음운구 경계와 어휘변인인 단어빈도가 상호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참가자가 목표단어를 찾을 때, 음운구 경계에 걸침 유무에 따라서 생기는 방해효과를 단어찾기 과제(word monitoring task)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목표단어는 2음절의 고빈도와 저빈도 단어들이 실험자 내 조건으로, 4개의 음운구로 발화된 문장에서 각각 음운구 경계 간(목표단어: 대표, 음운구 경계: [이사회의] [반대] [표명이] [있었다]) 조건과 음운구 경계 내(목표단어: 마차, 음운구 경계: [세뱃돈은] [항상] [우리] [엄마 차지였다]) 조건이 실험자 간 조건으로 설계되었다. 실험 결과, 두 변인 중 음운구 경계의 주 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사후분석 결과 음운구 경계 내 그룹에서만 고빈도 목표단어를 저빈도 목표단어보다 유의미하게 빠르게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운구 경계 간 그룹에서는 목표단어의 빈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음운 단어재인시 단어의 빈도변인이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와 한국어 말소리 처리에서 두 변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between phonological phrase boundary and word frequency variable in Korean speech processing. A word monitoring task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frequency effect of target word depending on whether a phonological phrase is form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어 말소리 분절 정보로 알려진 음운구 경계를 사용해 단어를 탐지할 때, 단어의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의미 있는 결과로 음운구 경계 조건과 빈도 조건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문장 내의 다양한 위치에 목표단어가 등장하기 때문에, 실험참가자의 정확한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문장 내의 목표단어 첫 음절의 시작 시간을 측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목표단어 첫 음절의 시작 시간 측정은 Lee et al.
  • 따라서 복합적인 정보로 구성된 말소리 문장을 이해할 때 어떤 정보가 우선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속된 발화에 포함된 음운단어(phonological word) 재인 시 운율정보와 어휘정보 사이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 , 1974; Tyler, 1989; Tyler & Warren, 1987)를 음운구 경계 유무 환경과 고빈도와 저빈도 환경에서 수행하게 함으로써 각 환경에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보이는 반응시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음성언어 처리 과제에서 생기는 특성을 고려하여 관련 변수를 철저히 통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빈도효과는 무엇인가? 한편,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가 낮은 단어에 비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빈도효과(frequency effect)의 확인은 언어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단어 검출기 모델들(word detector models)로 알려진 로고젠 모델(Morton, 1969), 상호 작용적 활성화 모델(interactive activation model; McClelland & Rumelhart, 1981) 이나 연속 검색 모델(serial search model; Rubenstein et al.
문어와 구어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문어와 구어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어는 띄어쓰 기가 단어와 단어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지만, 구어는 단어와 단어의 경계가 명확하게 나뉘지 않는다. 선행연구를 통해 사람이 말소리에서 단어와 단어의 경계를 찾도록 돕는 단서로 말소리의 운율정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음운구의 경계를 어떻게 찾는가? 한국어 말소리 처리에도 음운구의 경계는 중요한 단위로 알려져 있다(Shin, 2011). 한국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Kim & Cho(2009) 는 음운구 경계의 마지막 음절이 갖는 성조와 다음 음운구 경계의 첫 번째 음절의 성조가 두 음운구의 경계를 찾고 단어를 분절하는 데에 이용된다고 주장하였다.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10.1097/00001756-200102120-00007 Assadollahi, R., & Pulvermuller, F. (2001). Neuromagnetic evidence for early access to cognitive representations. Neuroreport, 12(2), 207-213. 10.1097/00001756-200102120-00007 11209922 

  2. 10.1097/00001756-200306110-00016 Assadollahi, R., & Pulvermuller, F. (2003). Early influences of word length and frequency: A group study using MEG. Neuroreport, 14(8), 1183-1187. 10.1097/00001756-200306110-00016 12821805 

  3. Balota, D. A., & Chumbley, J. I. (1984). Are lexical decisions a good measure of lexical access? The role of word frequency in the neglected decision stag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0(3), 340-357. 10.1037//0096-1523.10.3.340 

  4. Balota, D. A., & Chumbley, J. I. (1985). The locus of word-frequency effects in the pronunciation task: Lexical access and/or produc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4(1), 89-106. 10.1016/0749-596X(85)90017-8 

  5. 10.1016/j.jml.2008.06.003 Bell, A., Brenier, J. M., Gregory, M., Girand, C., & Jurafsky, D. (2009). Predictability effects on durations of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conversational English.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60(1), 92-111. 10.1016/j.jml.2008.06.003 

  6. Choi, J. Y., Cho, H. S., & Nam, K. C. (2011). Effect of prosody on the phonological processing of Korean words.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 16(4), 614-626. 

  7. 10.1016/j.jml.2004.07.001 Christophe, A., Peperkamp, S., Pallier, C., Block, E., & Mehler, J. (2004). Phonological phrase boundaries constrain lexical accessⅠ. Adult data.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1(4), 523-547. 10.1016/j.jml.2004.07.001 

  8. Connine, C. M., Titone, D., & Wang, J. (1993). Auditory word recognition: Extrinsic and intrinsic effects of word frequenc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9(1), 81-94. 10.1037//0278-7393.19.1.81 

  9. 10.1177/002383097702000101 Cutler, A., & Foss, D. J. (1977). On the role of sentence stress in sentence processing. Language and Speech, 20(1), 1-10. 10.1177/002383097702000101 592948 

  10. Cutler, A., & Norris, D. (1988). The role of strong syllables in segmentation for lexical acces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4(1), 113-121. 10.1037//0096-1523.14.1.113 

  11. 10.1006/cogp.2001.0750 Dahan, D., Magnuson, J. S., & Tanenhaus, M. K. (2001). Time course of frequency effects in spoken-word recognition: Evidence from eye movements. Cognitive Psychology, 42(4), 317-367. 10.1006/cogp.2001.0750 11368527 

  12. Foster, K. I. (1976). Accessing the mental lexicon. New Approaches to Language Mechanisms, 257-287. 

  13. 10.1016/0010-0277(78)90002-1 Frazier, L., & Fodor, J. D. (1978). The sausage machine: A new two-stage parsing model. Cognition, 6(4), 291-325. 10.1016/0010-0277(78)90002-1 

  14. 10.1016/j.jml.2004.07.002 Gout, A., Christophe, A., & Morgan, J. L. (2004). Phonological phrase boundaries constrain lexical access Ⅱ. Infant data.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1(4), 548-567. 10.1016/j.jml.2004.07.002 

  15. 10.1016/j.clinph.2003.12.020 Hauk, O., & Pulvermuller, F. (2004). Effects of word length and frequency on the human event-related potential. Clinical Neurophysiology, 155(5), 1090-1103. 10.1016/j.clinph.2003.12.020 15066535 

  16. 10.1016/j.neuroimage.2005.11.048 Hauk, O., Davis, M. H., Ford, M., Pulvermuller, F., & Marslen-Wilson, W. D. (2006). The time course of visual word recognition as reveal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ERP data. Neuroimage, 30(4), 1383-1400. 10.1016/j.neuroimage.2005.11.048 16460964 

  17. Jescheniak, J. D., & Levelt, W. J. (1994). Word frequency effects in speech production: Retrieval of syntactic information and of phonological form.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0(4), 824. 10.1037//0278-7393.20.4.824 

  18. Jun, S. A. (2000). K-ToBI (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s. Version 3.1. Retrieved from https://linguistics.ucla.edu/people/jun/ktobi/k-tobi.html 

  19. 10.1006/cogp.1999.0716 Jusczyk, P. W., Houston, D. M., & Newsome, M. (1999). The beginnings of word segmentation in English-learning infants. Cognitive Psychology, 39(3-4), 159-207. 10.1006/cogp.1999.0716 10631011 

  20. 10.1121/1.3097777 Kim, S., & Cho, T. (2009). The use of phrase-level prosodic information in lexical segmentation: Evidence from word-spotting experiments in Korean.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5(5), 3373-3386. 10.1121/1.3097777 19425677 

  21. Lee, S. H., Shin, J., Kim, B. Y., & Lee, Y. J. (2003). Some considerations on SiTEC segmental and prosodic labeling convention for Korean. Malsori, 46, 127-143. 

  22. 10.1162/jocn.2009.21221 Mannel, C., & Friederici, A. D. (2009). Pauses and intonational phrasing: ERP studies in 5-month-old German infants and adult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1(10), 1988-2006. 10.1162/jocn.2009.21221 19296725 

  23. 10.1016/0010-0285(86)90015-0 McClelland, J. L., & Elman, J. L. (1986). The TRACE model of speech perception. Cognitive Psychology, 18(1), 1-86. 10.1016/0010-0285(86)90015-0 

  24. McClelland, J. L., & Rumelhart, D. E. (1981). An interactive activation model of context effects in letter perception: I. An account of basic findings. Psychological Review, 88(5), 375-407. 10.1037//0033-295X.88.5.375 

  25. Monsell, S. (2012). The nature and locus of word frequency effects in reading. In Basic processes in reading (pp. 148-197). London: Routledge. 

  26. Monsell, S., Doyle, M. C., & Haggard, P. N. (1989). Effects of frequency on visual word recognition tasks: Where are the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8(1), 43-71. 10.1037//0096-3445.118.1.43 2522506 

  27. 10.1037/h0027366 Morton, J. (1969). Interaction of information in word recognition. Psychological Review, 76(2), 165. 10.1037/h0027366 

  28. 10.1016/j.biopsycho.2009.06.002 Nan, Y., Knosche, T. R., & Friederici, A. D. (2009). Non-musicians’ perception of phrase boundaries in music: A cross-cultural ERP study. Biological Psychology, 82(1), 70-81. 10.1016/j.biopsycho.2009.06.002 19540302 

  29. 10.1016/j.jml.2005.10.004 Nazzi, T., Iakimova, G., Bertoncini, J., Fredonie, S., & Alcantara, C. (2006). Early segmentation of fluent speech by infants acquiring French: Emerging evidence for crosslinguistic difference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4(3), 283-299. 10.1016/j.jml.2005.10.004 

  30. 10.1016/0013-4694(88)90192-7 Polich, J., & Donchin, E. (1988). P300 and the word frequency effect.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70(1), 33-45. 10.1016/0013-4694(88)90192-7 

  31. 10.1177/001872089103300408 Ralston, J. V., Pisoni, D. B., Lively, S. E., Greene, B. G., & Mullennix, J. W. (1991). Comprehension of synthetic speech produced by rule: Word monitoring and sentence-by-sentence listening times. Human Factors, 33(4), 471-491. 10.1177/001872089103300408 1835449 PMC3518837 

  32. 10.1016/S0022-5371(70)80091-3 Rubenstein, H., Garfield, L., & Millikan, J. A. (1970). Homographic entries in the internal lexic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9(5), 487-494. 10.1016/S0022-5371(70)80091-3 

  33. 10.3758/BF03197126 Rugg, M. D. (1990).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dissociate repetition effecs of high- and low-frequency words. Memory and Cognition, 18(4), 367-379. 10.3758/BF03197126 2381316 

  34. Schvaneveldt, R. W., & McDonald, J. E. (1981). Semantic context and the encoding of words: Evidence for two modes of stimulus 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7(3), 673-687. 10.1037//0096-1523.7.3.673 

  35. 10.1097/00001756-199807130-00009 Sereno, S. C., Rayner, K., & Posner, M. I. (1998). Establishing a time-line for word recognition: Evidence from eye movements and event-related potentials. Neuro Report, 9(10), 2195-2200. 10.1097/00001756-199807130-00009 

  36. 10.1037/h0035855 Shields, J. L., McHugh, A., & Martin, J. G. (1974). Reaction time to phoneme targets as a function of rhythmic cues in continuous spee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2(2), 250-255. 10.1037/h0035855 

  37. Shin, J. (2011). Korean phonetics and phology. Seoul: Pagijong. 

  38. Smith, M., & Halgren, E. (1987).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lexical decision: Effects of repetition, word frequency, pronouncebaility, and concreteness. Electroencephalography Clinical Neurophysioogy, 40, 417-421. 

  39. 10.1080/02643298908253423 Tyler, L. K. (1989). Syntactic deficits and the construction of local phrases in spoken language comprehension. Cognitive Neuropsychology, 6(3), 333-355. 10.1080/02643298908253423 

  40. 10.1016/0749-596X(87)90107-0 Tyler, L. K., & Warren, P. (1987). Local and global structure in spoken language comprehens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6(6), 638-657. 10.1016/0749-596X(87)90107-0 

  41. 10.3758/BF03197127 Van Petten, C., & Kutas, M. (1990). Interaction between sentence context and word frequency in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Memory and Cognition, 18(4), 380-393. 10.3758/BF03197127 2381317 

  42. 10.1016/j.neuropsychologia.2011.02.054 Zhao, J., Guo, J., Zhou, F., & Shu, H. (2011). Time course of Chinese monosyllabic spoken word recognition: Evidence from ERP analyses. Neuropsychologia, 49(7), 1761-1770. 10.1016/j.neuropsychologia.2011.02.054 213823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