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과 영향 요인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독일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Cross-Cultural Comparison on Ethical Fashion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Focusing on Consumers in South Korea and German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3, 2016년, pp.251 - 262  

신연욱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고애란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 of the consumption values and ethical fashion consumption behavior as well as other influential factors between Korean and German ethical consumers based on the 'Modif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haw와 Shiu [32]의 수정된 계획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과 독일의 윤리적 소비자의 소비 가치와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과의 관계와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비 가치가 윤리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의 경우 소비 가치 중 감정적 가치가, 독일의 경우 기능적 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의 선진국인 독일과 한국의 윤리적 소비자들의 소비 가치와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과의 관계 및 영향요인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국가간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의 선진국으로 독일을 설정하고, 독일과 한국에서 보편 가능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의 하위차원을 규명하고, 윤리적 정체성을 매개하여 윤리적 패션 소비 행동에 이르는 소비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이한 두 국가의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으로의 경로 차이를 일으킬 수 있는 문화적인 변수로 사회적 비교 성향과 물질주의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개인/집단주의에 따른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연구를 위해 작성된 설문지와 독일에서 사용될 독일어 설문지와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한국어로 작성된 설문지를 번역전문가를 통해 독일어로 번역하였고, 이를 한국어로 역 번역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설문 문항을 수정하였다. 또한 최종 완성된 독일어 설문지를 독일 현지의 대학원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상이하게 해석될 수 있는 표현들을 수정하는 작업을 통해 연구 개념의 이해에 오차를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구통계적 특성의 분포를 유사하게 통제하고자 노력하였다. 설문조사는 독일에서 먼저 이루어졌으며, 한국에서도 독일의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분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추출하고자 노력하였다.
  •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구통계적 특성의 분포를 유사하게 통제하고자 노력하였다. 설문조사는 독일에서 먼저 이루어졌으며, 한국에서도 독일의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분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추출하고자 노력하였다. 두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윤리적 패션 소비의 현 주소를 더욱 깊이 고찰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패션 소비의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소비행동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의 선진국으로 독일을 설정하고, 독일과 한국에서 보편 가능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의 하위차원을 규명하고, 윤리적 정체성을 매개하여 윤리적 패션 소비 행동에 이르는 소비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이한 두 국가의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으로의 경로 차이를 일으킬 수 있는 문화적인 변수로 사회적 비교 성향과 물질주의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개인/집단주의에 따른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소비 가치와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 개인주의/집단주의 하위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방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윤리적 정체성과 사회적 비교성향, 물질주의의 척도를 위해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두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국가별로 실시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묶이는 문항만을 추출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 개념의 해석에 혼선을 줄이고자 하였다. 각 변수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집단주의 그룹별 변수의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F-test와 t-test를 활용하였다.
  • 현대인의 삶과 소비가 불가분의 관계라 한다면, 이제 사회적 책임까지 고려하는 윤리적 소비는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소비행위이며,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라는 광범위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실 소비자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특히 우리나라의 소비자만이 아닌 윤리적 소비에 앞서 있는 독일의 소비자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과 독일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효용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두 국가의 윤리적 패션 소비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윤리적 소비란 무엇인가요? 20세기 후반 들어 소비자들은 자신을 위한 소비에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을 더하게 되면서, 물질의 소비를 통한 즐거움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소비와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윤리적 소비란 소비의 사회·문화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또한 최근 소비자의 주체적인 위상 정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적인 면에서, 그 의미와 중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25].
개인/집단주의가 가지는 주요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여러 비교문화 연구에서는 개인적인 성향뿐 아니라 집단의 문화적인 틀로 행동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집단주의로 집단을 구별하여 그 특성을 설명하고자 Triandis [38]의 이론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개인/집단주의가 가지는 주요한 의미는 집단에서는 집단이념의 역할을 하고, 개인에게는 행동의 안내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이다. 개인주의는 조직의 요구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반면 집단주의는 개인적인 요구나 관심보다는 조직의 이익을 우선하기 때문에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고 집단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공공의 목표를 중요시 여기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38].
윤리적 소비의 개념이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범위 또한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윤리적 소비의 개념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며, 윤리적 소비의 범위 또한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특정한 상품에 대한 소비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가치의 실천 측면에서의 의미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윤리적 소비의 유형을 분류해보면, Hong [12], Hong과 Song [13]은 윤리적 소비를 소비과정과 사회적 책임 범위로 나누어 살펴보았 는데, 소비과정에 따라서는 자원배분행동, 구매행동, 사용행동, 처분행동, 자발적 간소화의 5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책임에 따라서는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지속가능한 소비의 책임, 동시대 인류를 위한 책임으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jzen, I. (1985). From intention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p. 11-39). Heidelberg: Springer. http://dx.doi.org/10.1007/978-3-642-69746-3_2 

  2.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3.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 Carrington, M. J., Neville, B. A., & Whitwell, G. J. (2010). Why ethical consumers don't walk their talk: Toward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the ethical purchase intentions and actual buying behaviour of ethically minded consumers. Journal of Business Ethics, 97(1), 139-158. http://dx.doi.org/10.1007/s10551-010-0501-6 

  5. Chun, K. H., Hong, Y. K., Yoon, M. A., & Song, I. S. (2010). Good consumption, ethical consumption. Seoul: Sigmapress. 

  6. Freitag, A. (2012). Germany's 'green' fashion market. Retrieved March 30, 2015, from http://source.ethicalfashionforum.com/article/germanys-green-fashion-market- 

  7. Gibbons, F. X., & Buunk, B. P. (1999).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comparison: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1), 129-142. http://dx.doi.org/10.1037/0022-3514.76.1.129 

  8. Han, G. S. (1991). A review of the cross-cultural research on the theor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0(1), 1-19. 

  9. Han, G. S., & Shin, S. J. (1999). A cultural profile of Korean society: From vertical collectivism to horizontal individualism.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 13(2), 293-310. 

  10. Harrison, R., Newholm, T., & Shaw, D. (2006). The ethical consumer. London: Sage Publications. 

  11. Hong, E. S., & Shin, H. Y. (2011). A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4), 801-817. http://dx.doi.org/10.5934/KJHE.2011.20.4.801 

  12. Hong, Y. G. (2009). A case study of ethical consumer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13. Hong, Y. G., & Song, I. S. (2010). A case study of ethical consumer in Korea.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3(2), 1-25. 

  14. Huh, E., & Kim, W. S. (2012).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3(4), 105-130. 

  15. Huh, E. J., & Kim, W. S. (2014).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s based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analysi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0(4), 95-114. http://dx.doi.org/10.15790/cope.2014.10.4.095 

  16. Hwang, H. Y., Choi, Y. K., & Kim, Y. G. (2005). The effec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interpersonal trust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7(1), 123-153. 

  17. Jeon, K. S., & Park, H. J. (2010, October). Relation of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brand sensitivity.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Conference, Seoul, Korea. 

  18. Joergens, C. (2006). Ethical fashion: Myth or future trend?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3), 360-371. http://dx.doi.org/10.1108/13612020610679321 

  19. Jung, J. W. (2011). In-depth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cloth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4(1), 49-73. http://dx.doi.org/10.17053/jcc.2011.14.1.003 

  20. Kim, G. S., Song, J. G., & Lee, S. A. (2009). The effect of fair trade on consumer behavior: In terms of ethical consumerism. Korean Management Review, 38(1), 295-315. 

  21. Koh, A. R. (2009). Ethical consumer behavior in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6, 54-62. 

  22. Koh, Y. S. (2015). Mixed up common sense on business. Seoul: Smartbooks. 

  23.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2014). Germany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trend. Retrieved March 11, 2015, from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22472&ARTICLE_SE20302 

  24. Lee, S. H., & Noh, Y. N. (2007). Empirical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consumer ethics related to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141-150.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1.141 

  25. Lee, S. H., & Shin, H. J. (2012). Ethical consumption. Seoul: Books I & I. 

  26. Nam, S. J. (2007).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consumption values on the consumption self-regulatio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0(3), 59-86. http://dx.doi.org/10.17053/jcc.2007.10.3.004 

  27. Oh, J. C. (2014). A study on the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trust.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1(2), 1-26. 

  28. Rhee, H. J., & Kong, O. R. (2007).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and product knowledge on negative emotions due to service failure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2(3), 45-67. 

  29. Shaw, D. (2006). Modelling consumer decision making in fair trade. In R. Harrison, T. Newholm, & D. Shaw (Eds.), The ethical consumer (pp. 137-153). London: Sage Publication. http://dx.doi.org/10.4135/9781446211991.n10 

  30. Shaw, D., & Shiu, E. (2002a). An assessment of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in ethical consumer decision-mak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4), 286-293. http://dx.doi.org/10.1046/j.1470-6431.2002.00255.x 

  31. Shaw, D., & Shiu, E. (2002b). The role of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in ethical consumer choi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2), 109-116. http://dx.doi.org/10.1046/j.1470-6431.2002.00214.x 

  32. Shaw, D., & Shiu, E. (2003). Ethics in consumer choice: A multivariate modelling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7(10), 1485-1498. http://dx.doi.org/10.1108/03090560310487202 

  33. Shen, B., Wang, Y., Lo, C. K. Y., & Shum, M. (2012). The impact of ethical fashion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6(2), 234-245. http://dx.doi.org/10.1108/13612021211222842 

  34.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http://dx.doi.org/10.1016/0148-2963(91)90050-8 

  35. Soh, S., & Leong, F. T. L. (2002). Valid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Singapore: Relationships with values and interes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1), 3-15. http://dx.doi.org/10.1177/0022022102033001001 

  36. Song, I., & Jae, M. K. (2006). Materialism and unethical business transactions of married wome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Study, 9(3), 185-206. 

  37. Song, I. S., Chun, K. H., & Hong, Y. G. (2013).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consumer's happiness in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6(4), 1-27. http://dx.doi.org/10.17053/jcc.2013.16.4.001 

  38.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39. Winter, A. (2014). Berlin fashion program director sees 'paradigm shift' in sustainable style. Retrieved March 30, 2015, from http://www.dw.de/berlin-fashion-program-director-sees-paradigm-shiftin-sustainable-style/a-17360215 

  40. Yi, J. H., & Park, E. A. (2010). Relationship among recognition of selfview, conditions for happiness, social comparison, and self-esteem: Focused on age difference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6(4), 423-4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