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의료진의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ing and Medical Staff Teamwork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Surgical Patient Safety Protocol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9 no.1, 2016년, pp.27 - 39  

안신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남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nursing and medical staff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surgical patient safety protocol, teamwork, and patient safety culture, and how their grasp of the factors affects the degree of their performance of the protocol. Methods: A surve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수술실 환자안전 프로토콜의 정착을 통해 환자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의 전 과정(수술 전 환자확인, 수술부위 표시 확인, 타임아웃)의 수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수술환자안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실 의료진의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의 차이를 조사하고,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중요성 인식과 팀워크,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프로토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 증진을 통해 수술환자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수술실 의료진을 대상으로 수술 환자안전 프로토콜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 정도, 의료진의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확인하고, 팀워크, 환자안전문화 인식,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의 상관관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의료진이 인식하는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에 대한 중요성 정도와 수행 정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팀워크, 환자안전문화,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중요성 인식이 프로토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수술 의료팀 간 의사소통 및 팀워크 향상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개선을 통해 의료진의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도를 높이고,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중재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2015-09-019-001), 해당병원 간호본부에 허락을 받고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다. 연구자가 수술실을 직접 방문하여 관리자의 동의를 구한 후 수술실 내 빈 회의실에서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연구 설명문에는 연구제목, 연구의 목적, 연구 참여기간, 절차 및 방법, 예상되는 위험 및 이득, 연구 참여에 따른 보상,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 참여 및 동의 철회, 개인정보보호 등의 내용과 설문지에 대한 의문이나 문제가 있을 시 연락 가능한 연락처와 이메일을 기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의료진이 인식하는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에 대한 중요성 정도와 수행 정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팀워크, 환자안전문화,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중요성 인식이 프로토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수술 의료팀 간 의사소통 및 팀워크 향상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개선을 통해 의료진의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도를 높이고,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중재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전 준비시간 동안 수술실이 갖는 특징은? 수술실은 수술 전 준비시간 동안, 시간적인 압박과 다양한 업무 패턴들로 인하여 의사소통을 최소화하는 요인들이 많고, 전문직 간의 의사소통에 많은 장애물들이 있다. 특히 외과, 마취과, 수술실 간호사 3군의 핵심 전문 의료인들이 각자 다른 방향에서 수술환자와 수술과정의 정보에 대해 접근하기 때문에, 이는 전문직군 간 의사소통과 팀워크를 방해할 수 있다(Lingard et al.
2007년 의료기관 평가사항에서의 환자 확인의 마지막 단계는? 지속적으로 수술환자에 대해 환자안전 문제가 발생하자, JCAHO (Joint Commission Accreditation Healthcare Organization)에서는 근본원인분석을 실시하여 수술오류에 대해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환자안전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Universal Protocol)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의료사고 예방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수술환자 확인사항 권고문’을 시행하도록 발표하였으며, 2007년 의료기관 평가사항에서도 환자 확인의 마지막 단계로 ‘타임아웃’을 시행하여 ‘정확한 수술환자, 정확한 수술 부위, 정확한 수술과정(right patient, right site, right procedure)’을 확인 하도록 권유하고 있다(Park, Kim, & Lee, 2008). 이렇듯 수술환자안전을 위한 확인 사항은 수술실의 치명적인 의료사고 예방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로서 안전장치이다.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그러나, 이러한 권고에도 불구하고, 긴박하고 응급상황이 많은 바쁜 수술업무 환경에서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프로토콜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으로 수술 진료과와 마취과의 수술종료 시점에서의 의사소통의 부재, 체크리스트의 중복, 수술실에서의 급박한 상황이 주원인으로 지적된 바 있으며(Fourcade, Blache, Grenier, Bourgain, & Minvielle, 2011), 의사소통이 팀워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료진 간 팀워크도 원인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yea, S. C. (2002). Accident prevention in surgical settings-keeping patients safe. AORN Journal, 75(2), 361-363. 

  2. Cho, H. W., & Yang, J. H. (201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health personn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35-45. 

  3. Chung, Y. S. (2015). Prevention of wrong site, wrong procedure, wrong patient surgery and time-out.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 (2), 110-115. 

  4. DeFontes, J., & Surbida, S. (2004). Preoperative safety briefing project. The Permanente Journal, 8 (2), 21. 

  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6. Fourcade, A., Blache, J. L., Grenier, C., Bourgain, J. L., & Minvielle, E. (2011). Barriers to staff adoption of a surgical safety checklist. BMJ Quality and Safety, bmjqs-2011-000094. 

  7. Gawande, A. A., Zinner, M. J., Studdert, D. M., & Brennan, T. A. (2003). Analysis of errors reported by surgeons at three teaching hospitals. Surgery, 133(6), 614-621. 

  8. JCAHO. (2004). Universal protocol for preventing wrong site, wrong procedure, wrong person surgery. Retrieved January 20, 2016,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tandards_information/up.aspx National. 

  9. Jung, H. J., Jung, S. M., An, E. A., Kim, S. Y., Yoon, H. Y., Kim, M. J., et al. (2015). Development of the 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Korean version(SAQ-K) and its novel analysis methods for safety managers. Biometrics and Biostatistics International Journal, 2(1), 00020. 

  10. Kim, E. K., Lee, S. K., Jung, Y. E., Cho, Y. H., Choi, Y. K., & Hwang, J. I. (2011). Understanding patient safety. Seoul: HyunMoonSa Publishing. 

  11. Kim, J. S., & Kim, J. S. (2011).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2), 5748-5758. 

  12. Kim, K. J., Han, J. S., Seo, M. S., Jang, B. H., Park, M. M., Ham, H. M., et al. (2012).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213-221. 

  13. Kim, S. K., Lee, H. J., & Oh, E. G. (2010).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2), 57-67. 

  14. Kohn, L. T., Corrigan, J. M., & Donaldson, M. S.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Vol. 6).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ies Press. 

  15. Lingard, L., Regehr, G., Orser, B., Reznick, R., Baker, G. R., Doran, D., et al. (2008). Evaluation of a preoperative checklist and team briefing among surgeons, nurses, and anesthesiologists to reduce failures in communication. Archives of Surgery, 143(1), 12-17. 

  16. Lingard, L., Whyte, S., Espin, S., Baker, G. R., Orser, B., & Doran, D. (2006). Towards safer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constructing a model of "utility" from preoperative team briefings.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0(5), 471-483. 

  17. Mahajan, R. P. (2010). Critical incident reporting and learn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5 (1), 69-75. 

  18. Makary, M. A., Sexton, J. B., Freischlag, J. A., Holzmueller, C. G., Millman, E. A., Rowen, L., et al. (2006). Operating room teamwork among physicians and nurses: teamwork in the eye of the beholder.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2(5), 746-752. 

  19. Meinberg, E. G., & Stern, P. J. (2003). Incidence of wrong-site surgery among hand surgeons.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85(2), 193-197. 

  20. Milligan, F., & Dennis, 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19(7), 33-36. 

  21. Park, G. O., Kim, J. K., & Kim, M. S. (2015).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761-772. 

  22. Park, J. S., Kim, E. H., & Lee, H. R.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imeout protocol on O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 168-178. 

  23. Seo, E. H. (2012). The influence of Time-out on a operation patient'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Seo, E. H., & Choi, Y. H. (2015).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imeout protocol for safety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8(1), 29-37. 

  25. Sexton, J. B., Makary, M. A., Tersigni, A. R., Pryor, D., Hendrich, A., Thomas, E. J., et al. (2006). Teamwork in the operating room: frontline perspectives among hospitals and operating room personnel. Anesthesiology, 105(5), 877-884. 

  26. Sexton, J. B., Thomas, E. J., & Helmreich, R. L. (2000).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cross sectional surveys. British Medical Journal. 320(7237), 745-749. 

  27. Son, Y. J. (2014). Knowledg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toward surgical 'Time-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8. Stahel, P. F., Sabel, A. L., Victoroff, M. S., Varnell, J., Lembitz, A., Boyle, D. J., et al. (2010). Wrong-site and wrong-patient procedures in the universal protocol era: analysis of a prospective database of physician self-reported occurrences. Archives of Surgery, 145(10), 978-984. 

  29. Steelman, V. M., Graling, P. R., & Perkhounkova, Y. (2013). Priority patient safety issues identified by perioperative nurses. AORN Journal, 97(4), 402-418. 

  30. Weaver, S. J., Rosen, M. A., DiazGranados, D., Lazzara, E. H., Lyons, R., Salas, E., et al. (2010). Does teamwork improve performance in the operating room? A multilevel evaluation.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6(3), 13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