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Teamwork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271 - 281  

박미마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선하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의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 110명이다.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령이 높은 군과 교육수준이 높은 군이 유의하게 환자안전역량점수가 높았다.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유의한 양의 상관(r=.37)을 보였고, 팀워크와 환자안전관리활동도 유의한 양의 상관(r=.21)을 나타냈다. 회귀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인식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5.7%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을 위해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teamwork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nurse. The survey was 110 nurses with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general hospital,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Stepwise regression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는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수술실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수술실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팀워크 및 수술환자 안전관리활동 정도를 알아보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수술실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팀워크 인식 및 수술환자 안전관리활동 정도를 알아보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환자안전역량, 팀워크가 수술환자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실에서 예방 가능한 위해 사건은? 수술실 간호업무에 많은 부분이 안전관리 실무와 관련이 되어있어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이 수술합병증과 안전사고예방에 필수적일 것이다. 수술실에서 예방 가능한 위해 사건으로 수술부위 변경, 수술부위의 이물질 잔존과 화재 등이 있다[13]. 미국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수술실 안전문제의 우선순위 연구에서 잘못된 부위/환자/수술 예방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나타났으며, 수술 후 이물질 잔존, 투약오류, 수술기구 재처리 오류, 욕창, 화재, 저 체온증, 화상 등의 예방도 높은 순위로 안전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4,15].
수술실 간호사는 환자안전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환자안전역량은 안전한 의료제공을 위해 환자를 불필요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개인의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조합을 의미한다[5]. 특히, 수술실은 병원 내 타 부서보다도 낙상, 화상, 장치압박에 의한 손상, 감염문제 등 회복 불가능한 심각한 안전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은 환경[6]이므로, 환자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수술실 간호사는 이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 등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7].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환자안전역량이 제시되고 있으며[8], 간호교육에서 환자안전 내용도 강조되고 있다[9-12].
환자안전역량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역량은 안전한 의료제공을 위해 환자를 불필요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개인의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조합을 의미한다[5]. 특히, 수술실은 병원 내 타 부서보다도 낙상, 화상, 장치압박에 의한 손상, 감염문제 등 회복 불가능한 심각한 안전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은 환경[6]이므로, 환자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수술실 간호사는 이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 등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 A. Ahn & N. J. Lee. (2016).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ing and medical staff teamwork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surgical patient safety protocol.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9(1), 27-39. 

  2. F. Milligan, J. Clinical & S. Denni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19(7), 33-36. 

  3. B. K. Cha & J. Choi. (2015).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4), 405-416. DOI :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405 

  4. N. J. Lee & J. H. Kim.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473. DOI :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62 

  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patient safety research. Retrieved from http://www.who.int/patientsafety. 

  6. J. S. Kim & J. S. Kim.(2011).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on roo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2), 5748-5758.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2.5748 

  7. M. O. Song & K. S. Jang. (2016).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competency tool for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345-356.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345 

  8. K. J. O'leary, N. M. Afsa, T. Budnitz, A. S. Dunn & J. S. Myers. (2011). Hospital qualit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Development, description, and recommendations for use.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6(9), 530-536. DOI: 10.1002/jhm.937. 

  9. K. P. Beischel & D. S. Davis. (2014). A time for change: QSENizing the curriculum. Nurse Educator, 39(2), 65-71. DOI:10.1097/NNE.0000000000000020. 

  10. M. Bianch et al. (2016).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rapid evidence assess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2(12), 2966-2979. DOI : 10.1111/jan.13033. 

  11. L. Cronenwett et al. (2009).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Nursing Outlook, 57(6), 338-348. DOI : 10.1016/j.outlook.2009.07.009. 

  12. D. T. Sullivan, D. Hirst & L. Cronenwett. (2009). Assessing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of graduating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Nursing Outlook, 57(6), 323-331. DOI : 10.1016/j.outlook.2009.08.004. 

  13. S. B. Kwon, K. S. Cho, Y. S. Park, D. O. Kim, Y. J. Yi & E. H. Lee.(2008). An analysis of nursing work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72-84. 

  14. V. M. Steelman, P. R. Graling & Y. Perkhounkova. (2013). Priority patient safety issues identified by perioperative nurses. AORN Journal, 97(4), 402-418. DOI : 10.1016/j.aorn.2012.06.016 

  15. E. Ugur, S. Kara, S. Yildirim & E. Akbal. (2016).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The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66(5), 593-597.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2013. [accessed 2018 January 8]. DOI :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17. G. O. Park, J. K. Kim & M. S. Kim. (2015).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5), 761-772. DOI :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61 

  18. T. Manser. (2009). Teamwork and patient safety in dynamic domains of health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3(2), 143-151. DOI : 10.1111/j.1399-6576.2008.01717.x 

  19. B. K. Jung & B. K. Lee. (2015). Action research for building teamwork of nurses in an operation room.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9(2), 1-15. 

  20. K. M. Abstoss, B. E. Shaw, T. A. Owens, J. L. Juno. E. L. Commiskey & M. F. Niedner. (2011). Increasing medication error reporting rates while reducing harm through simultaneous cultural and system-level interventions in an intensive care unit. BMJ Quality and Safety, 20(11), 914-922. 

  21. V. F. Nieva & J. Sorra.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2), 17-23. DOI :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22. S. H. Lee & Y. H. Lee. (2016).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4), 2215-2229. DOI : http://uci.or.kr/G704-000930.2016.18.4.029 

  23. M. J. Kim & J. K. Kim. (2017).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68-279. DOI: http://doi.org/10.5392/JKCA.2017.17.10.268 

  24. S. K. Kim, H. J. Lee & E. G. Oh. (2010).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nal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57-67. 

  25. S. J. Park, E. H. Choi, K. S. Lee & K. A. Chung. (2016). A study on perception and nursing activity for patient safety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1), 332-339.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332 

  26. H. Kang, S. K. Choi & I. S.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329-339. DOI:http://dx.doi.org/10.5762/KAIS.2016.17.9.329 

  27. M. J. Kim & K. J. Kim. (2016). The influence of nurses'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333-344. DOI:http://dx.doi.org/10.14400/JDC.2016.14.2.333 

  28. J. I. Hwang. (2015). What are hospital nurse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atient safety competence? Finding from three Korea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7(3), 232-238. DOI: https://doi.org/10.1093/intqhc/mzv027 

  29. M. A. Makary et al.(2006). Operating room teamwork among physicians and nurses: teamwork in the eye of the beholder.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2(5), 746-752. DOI : 10.1016/j.jamcollsurg.2006.01.01 

  30. J. H. Seo. (2016).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ealth and Social Welfare Forum, 10, 6-16. 

  31. J. I. Hwang & H. A. Jeong. (2015).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9(1), 14-20. DOI : http://dx.doi.org/10.1016/j.anr.2014.09.002 

  32. H. S. Kim & S. J. Han. (2016). The survey on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skill and self-efficacy on patient safet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598-608. DOI:http://dx.doi.org/10.5762/KAIS.2016.17.6.598 

  33. S. W. Choi & M. C. Jeon. (2018). Awareness about convergent patient safety culture of health professional working in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03-109.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03 

  34. S. J. You. M. G. Kim. Y. M. Kim & Y .K. Choi. (2017). A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systems focusing on Korea, the U. S., and Australi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27-38.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4.027 

  35. Y. S. Kim & K. Y. Park. (2014). Nurses' awareness on healthcare accreditation, work overload,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ir influencing activitie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6), 3377-3392. DOI: http://uci.or.kr/G704-000930.2014.16.6.037 

  36. H. M. Jang. J. Y. Park. Y. J. Choi. S. W. Park & H. N. Lim. (2016). Effect of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burnout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admission, 22(3), 239-250. DOI: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