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수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의 연결성
Quotitive Division and Invert and Multiply Algorithm for Fraction Division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4, 2016년, pp.521 - 539  

임재훈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제수와 제수가 분수인 나눗셈에서, 포함제는 공통분모 알고리즘과 등분제는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과 대응한다고 여겨져 왔다. 분수 나눗셈 학습 지도에서 이와 같은 이분법을 넘어서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이러한 시도에서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공통분모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 $1{\div}$(제수)를 매개로 하는 방법, 제수 쪽의 양을 1이라고 가정하는 방법이 있다. 기존의 방법들에서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의 관련은 중간까지만 유지되거나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이라는 최종 결과만 등분제와 공유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의 한계를 넘어,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의 연결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심층 논의한다. 포함제를 측정접근법과 동형접근법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등분제에서와 동일한 수식 변형 과정을 거쳐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이 유도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수 나눗셈 계산법 학습 지도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을 확장함과 더불어, 포함제와 등분제를 아우르는 분수 나눗셈의 통합 계산법 학습 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국소 이론으로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uctures of partitive and quotitive division of fractions are dealt with differently, and this led to using partitive division context for helping develop invert-multiply algorithm and quotitive division for common denominator algorithm. This approach is unlikely to provide children with an o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함제는 알고리즘과 어떤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가? 포함제는 공통분모 알고리즘, 등분제는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것에서 다음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각 상황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각각 가르치는 것이다.
분수 나눗셈은 초등 수학에서 어떤 평을 받는가? 자연수 나눗셈은 분수 나눗셈으로 확장된다. 분수 나눗셈은 초등 수학의 정점에 위치하는 내용으로, 인지적인 면과 교수학적인 면에서 그 어려움이 논의되어 왔다. 아동들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과 같은 계산법들을 단순히 기계적인 절차로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Okazaki and Koyama, 2005).
배 개념을 활용하면 아동들에게 곱셈을 하는 데 있어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배 개념은 곱셈적 사고의 본질이며(강흥규, 2009), 분수 곱셈의 중요 의미이다(강미경, 2013). 포함제에서 측정한 횟수만 강조하면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이끌어내지 못하며, 횟수를 구하는 상황보다 배를 구하는 상황이 아동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곱셈적 관계에 주목할 수 있게 한다(김흥희, 2014; 신준식, 2013).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견해에 의하면, 분수 나눗셈의 일반적인 알고리즘을 다루는 데에는 ㈎와 같은 횟수 문제보다 ㈏와 같은 배 문제가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문봉 (2011). 자연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수학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1(1), 1-16. 

  2. 강미경 (2013). 분수 곱셈 알고리즘 형식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분배전략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흥규 (2009). 배 개념에 기초한 자연수 곱셈 개념의 지도 방안. 학교수학, 11(1), 17-37. 

  4. 강흥규 (2014). 초등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포함제와 등분제의 정의에 관한 교육적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19-339.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6-1. 서울: 두산동아. 

  6. 교육부 (2015a).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5b).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8. 교육인적자원부 (2002). 수학 6-나.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9. 김흥회 (2014). 6학년 분수 나눗셈의 개념이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제수를 1로 만드는 방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교식 (2014).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정당화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105-122. 

  11. 백수진 (2009). 카테시안 곱의 역 맥락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구성 활동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준식 (2013). 문제 상황과 연결된 분수 나눗셈의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수학교육, 52(2), 217-230. 

  13. 이지영 (2015). 초등학교 학생들의 단위 추론을 기반으로 한 분수 나눗셈의 학습경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임재훈 (2013).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정당화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395-411. 

  15. 임재훈, 이형숙 (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16. 조용진, 홍갑주 (2013). 분수 나눗셈의 지도에서 단위비율 결정 맥락의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 초등수학교육, 16(2), 93-106. 

  17. 홍진곤, 김양권 (201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 수학교육논문집, 29(3), 353-372. 

  18. Ball, D. L. (2003). What mathematics knowledge is needed for teaching mathematics? Secretary's Mathematics Summit. Washington, DC. Retrieved October 12, 2016 from www.ed.gov/rschstat/research/progs/mathscience/ball.html 

  19. Beckmann, S., & Izsak, A. (2015). Two perspectives on proportional relationships: Extending complementary origins of multiplication in terms of quantiti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17-38. 

  20. Gregg, J., & Gregg, D. U. (2007). Measurement and fair-sharing models for dividing fractions. Mathematics Teacher in the Middle School, 12, 490-496. 

  21. Ku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1). Using the double number line to model multiplication. Paper presented at Seventh Annual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Rzeszow, Poland. 

  22. Lamon, S. (1994). Ratio and proportion: Cognitive foundations in unitizing and norming.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 89-120).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3. Lamon, S. J. (2007). Rational numbers and proportional reasoning: Towar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research.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29-667). 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4.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Noparit, T., & Saengpun, J. (2013). How student teachers use proportional number line to teach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Professional learning in context of lesson study and open approach. Creative Education, 4(8), 19-24. 

  26. Okazaki, M. and Koyama, M. (2005). Characteristics of 5th graders' logical development through learning division with decimal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0, 217-251. 

  27. Perlwitz, M. D. (2004). Two students' constructed strategies to divide fractions. Mathematics Teacher in the Middle School, 10, 122-126. 

  28. Sharp, J., & Adams, B. (2002). Children's constructions of knowledge for fraction division after solving realistic problem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 333-347. 

  29. Siebert, I. (2002). Connecting informal thinking and algorithms: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pp. 247-256). Reston, VA: NCTM. 

  30. Sinicrope, R., Mick, H. W., & Kolb, J. R. (2002). Interpretations of fraction division.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pp. 153-161), Reston, VA: NCTM. 

  31. Tyminski, A. M., & Dogbey, J. K. (2012). Developing the common denominator fraction division algorithm.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8(4), 248-253. 

  32. Van de Walle, J. A., Karp, K. S. & Bay-Williams, J. M. (200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Boston: Allyn & Bac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