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정보 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atistics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Resources: Focused on the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3, 2016년, pp.499 - 519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  유은서 (성화초등학교) ,  김유경 (수원상촌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별로, 현행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와 익힘책의 통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에 해당하는 내용이 '자료와 정보 수집', '정보 해석 및 활용',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자료와 정보 수집은 자료 수집의 범위가 좁은 저학년에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탐구가 부족하였다. 정보 해석 및 활용 또한 자료로부터 해석하기를 토대로 정보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었으며, 공학적 도구 및 교구의 활용은 지도서에 안내하는 정도로 교과서에 거의 제시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료와 가능성 영역 초등 수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s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an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which is one of the math competencies emphasized by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summarizing and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역량 중의 하나인 정보 처리 능력과 관련하여 그 하위요소별로 현행 교과서 통계 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새롭게 도입된 정보 처리 능력과 관련하여 기존 교과서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처리와 관련성이 높은 통계 영역의 지도내용 및 제시 정도, 제시 방법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차기 교과서 개편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처럼 여러 측면에서 행해진 통계와 관련한 교과서 분석 선행연구는 자료 해석의 강조, 자료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그래프의 활용, 맥락에 따른 평균의 의미 지도 등 새로운 교과서 구성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들이 통계 영역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새로운 교과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강조하고 있는 정보 처리 능력과 관련하여 그 하위요소별로 현행 교과서 통계 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보 처리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주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를 성취기준으로 하였다(교육부, 2015a).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학년군별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현행 수학교과서 통계 영역 내용 및 제시 방법을 살펴보고,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논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는 통계 이외의 단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정보 처리 능력이 활용된 보기 드문 경우로, 대부분은 통계 단원에서 제한적으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들이 어떻게 제시되었는지 살펴보고,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서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그림 1]처럼 통계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도 개념 탐구나 문제해결을 위하여 정보 처리 능력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정보 처리 능력의 신장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역량 중의 하나인 정보 처리 능력과 관련하여 그 하위요소별로 현행 교과서 통계 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새롭게 도입된 정보 처리 능력과 관련하여 기존 교과서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처리와 관련성이 높은 통계 영역의 지도내용 및 제시 정도, 제시 방법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차기 교과서 개편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는 무엇인가? 4)으로 정의하였다(교육부, 2015a). 또한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로 ‘자료와 정보 수집’,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 ‘정보 해석 및 활용’,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을 선정하였다. <표 1>은 각 하위요소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6가지는 무엇인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6가지,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에 근거하여(교육부, 2015b), 수학교육에서 중점을 두어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으로 수학 교과 역량을 선정하였다. 수학 교과 역량은 수학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길러야 할 기본 적이고 필수적인 능력 또는 특성으로(박경미 외, 2015a), 문제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 6가지로 구성된다.
수학 교육에서 중점적으로 길러야 할 역량으로 적합한지를 묻는 설문에 정보 처리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답변이 다른 역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왜 그런가? 하지만, 박경미 외(2015b)에서는 현장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수학 교과 역량으로 제시된 6가지 역량이 수학 교육에서 중점적으로 길러야 할 역량으로 적합한지를 묻는 설문에 정보 처리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답변이 다른 역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등 다른 수학 교과 역량과 달리 정보 처리 능력은 새롭게 강조된 능력으로, 그 동안 수학과의 전 영역에서 강조되지 못하고 통계에 국한되어 일부 제시되어 왔기 때문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2015). 통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3.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4. 교육부 (2013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3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3c).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3d).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 (2014a).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 (2014b).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 (2014c).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11. 교육부 (2014d).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2.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13. 교육부 (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 

  14. 교육부 (2015c).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15. 교육부 (2015d).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16. 교육부 (2015e).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7.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18.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2015a).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연구보고서 BD15120005. 

  19.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2015b).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20. 박만구 (2016).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의미와 사용 방법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61-78. 

  21.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22. 방정숙 (2008).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55-676. 

  23. 유현주 (2013). 2007 개정 초등수학교육과정에 따른 통계영역 교과서 분석 -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81-97. 

  24. 이경화, 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우리나라 교과서와 MIC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25. 임지애, 강완 (200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65-86. 

  26.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27. Reys, R.,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Y: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 (2012). 초등 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28.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