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한 최적경로 탐색 기법
Optimized Path Finding Algorithm for Walking Convenience of the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4 no.3, 2016년, pp.273 - 282  

문미경 (Dep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영민 (Dep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기윤 (Dep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지영 (Corresponding Author,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제도적 시설 공급측면에 치중되어 일시적 이동상의 불편함만을 해소할 뿐이며 실제 교통약자에게 향상된 이동편의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사로, 계단과 같은 물리적 장애 요소들을 고려하여 교통약자 유형별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선행연구 및 관련 제도를 분석하여 교통약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는 보행장애요소를 선정하고 계층적의사결정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각 보행장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퍼지 시스템을 통하여 교통약자의 보행에 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링크별 보행방해도를 도출한다. 보행방해도를 바탕으로 거리 요소를 포함한 보행 경로비용을 계산하고 이 값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다익스트라 알고리듬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교통약자 유형별 최적 경로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19개 경로를 대상으로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하여 각 경로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실제 교통약자의 이동에 편의를 향상하는 유의미한 경로가 도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최적경로 탐색 기법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적용된다면 교통약자의 이동복지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growing social interest recently in the movement rights of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However, it simply eliminates the temporary inconvenience of walking of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because it focuses only on supply of institutional facilities. Therefore, we look forward to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키기위하여 교통약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가 고려된 교통약자 유형별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휠체어 이용자’나 ‘시각 장애인’만을 초점에 두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이용자 뿐 아니라 고령자, 목발을 짚은 사람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으로 연구의 대상을 확대한다.
  • 보행장애요소란 교통약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장애요소를 정의하기 위하여 보행 환경 요소나 교통약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들을 정의하는 내용을 다룬 선행연구(Lee and Kim, 1998; Ji et al., 2008; Kang and Park, 2009) 및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등의 관련 제도를 분석하였다. 이들 자료에 제시된 요소들을 크게 이동·안전성, 쾌적·환경성이라는 2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통약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교통약자 유형별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 무작위로 추출된 39개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출발지와 목적지로 설정하고, 총 19개의 휠체어 이용자와 타 교통약자의 최적 경로와 최단경로를 탐색하였다. 이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이 적용되어 탐색된 휠체어 이용자와 타 교통약자의 최적 경로가 실제 최단 경로와 다른 경로가 도출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단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링크 속성을 확인함으로써 경로 상에 존재하는 보행장애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휠체어 이용자와 타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탐색된 최적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링크의 속성들과 비교함으로써 경로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ijkstra, E.W. (1959),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Numerische Mathematik, Vol. 1, pp. 269-271. 

  2. Ji, W.S., Gu, Y.S., and Jwa, S.H. (2008), A study on 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Gyonggi Research Institute, Vol. 12, pp. 3-84. 

  3. Kang, H.M. and Park, S.H. (2009), Characteristics of walking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on hilly sites - focusing on the mobility of residents on wheels -,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6, pp. 187-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rimanzira, D., Otto, P., and Wernstedt, J. (2006),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methods to route planning and navigation for disabled people, MIC’06 Proceedings of the 25th IASTE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ling, Indentification, and Control, IASTED, 6-8 February, Lanzarote, Canary Islands, Spain, pp. 366-371. 

  5. Kasemsuppakorn, P. and Karimi, H.A. (2009), Personalised routing for wheelchair navigation, Journal of Location Based Services, Vol. 3, No. 1, pp. 24-54. 

  6. Kim, T.H., Lee, S.H., and Kim, S.H. (2008), A study on travel behavio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custom-made transit information system, The Seoul City Institute, Vol. 9, No. 2, pp. 105-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won, J.Y. and Jung, S.B. (2013), A study on the passage improvement of mobility handicapped using urban railway, Proceedings of 2013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3-24 May, Pyeongchang, Korea, pp. 534-5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I.S. and Kim, H.O. (1998), Pedestrian path - choice behavior in urban residential area - analysis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using GIS,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3, No. 5, pp. 117-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H. (2009),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atisfaction level, The Seoul City Institute, Vol. 10, No. 1, pp. 197-2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atthews, H., Beale, L., Picton, P., and Briggs, D (2003), Modeling access with GIS in urban systems(MAGUS): capturing the experience of wheelchair users, Area, Vol. 35, No. 1, pp. 34-45. 

  11. Park, S.A. (2015), A Study on Generation Methodology of Pedestrian Network with Obstacle Informatio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Zadeh, L.A. (1965), Fuzzy sets, Information and Control, Vol. 8, pp. 338-3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