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존자연치아수와 만성폐쇄성폐질환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3, 2016년, pp.217 - 224  

신혜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안용순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임도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현존자연치아수와 COPD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0세 이상 성인 3,107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과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폐기능검사에 의한 COPD 유병률은 11%였다. 현존자연치아수를 0~19개군, 20~27개군, 28개군으로 나누었을 때, COPD의 분포는 현존자연치아수가 0~19개인 군에서 21.0%로 가장 높았다. 둘째, COPD는 65세 이상군, 남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정상적인 BMI를 갖는 군, 고혈압군에서 높았다(p<0.001).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위치, 건강관련행태, 구강건강 및 행태, 전신건강상태를 보정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현존자연치아수 20~27개군(OR, 1.90)과 0~19개군(OR, 3.93)에서 COPD와 연관성을 보여, 현존자연치아수가 적을수록 COPD의 위험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치주질환과 COPD의 중요한 위험요인인 흡연상태에 따른 층화분석결과, 현재흡연군에서만 모든 치아를 가지고 있는 군에 비해 0~19개 치아를 가진 군에서 OR이 8.90배 높은 결과를 보여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OR, 8.90; 95% CI, 2.53~31.33).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존자연치아수는 COPD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is associated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Data from 3,107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9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현존자연치아수와 COPD의 연관성을 평가하고, 흡연상태에 따른 층화분석을 시행하여 연관성을 보이는 구체적인 세부집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을 할 때 반드시 흡연상태에 대해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연상태를 혼란변수로 모형에 넣어 구강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현존자연치아수와 COPD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흡연상태와 음주행태를 동시에 추가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위치를 포함한 모형에 비해 OR이 감소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흡연과 음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현존자연치아수와 COPD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0세 이상 성인 3,107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과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흡연이나 대기 중 오염물질 등에 의해 기도에 비정상적인 만성염증반응이 반복되면서 폐 실질 조직이 파괴되어 기도의 염증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질병 진행 정도에 따라 만성적인 기침, 가래,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운동능력 저하, 잦은 호흡기 감염 등의 문제로 발전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질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별다른 자각증상이 없다1).
치주질환은 어떤 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가? 치주질환은 심혈관질환4), 당뇨병5), 류마티스 관절염6), 만성호흡기질환7) 등 다양한 전신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특히, 구강위생상태와 COPD와의 연관성에 대한 메커니즘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가설이 제안되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흡연이나 대기 중 오염물질 등에 의해 기도에 비정상적인 만성염증반응이 반복되면서 폐 실질 조직이 파괴되어 기도의 염증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질병 진행 정도에 따라 만성적인 기침, 가래,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운동능력 저하, 잦은 호흡기 감염 등의 문제로 발전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질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별다른 자각증상이 없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ishman AP: Fishman's pulmonary disease and disorders. McGraw-Hill Health Professions Division, New York, 2007. 

  2. Murray CJ, Lopez AD: Alternative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disability by cause 1990-2020-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349: 1498-1504, 1997. 

  3. Korea Statistics: Cause of death. Korea Statistics, Daejeon, 2013. 

  4. Ying Ouyang X, Mei Xiao W, Chu Y, Ying Zhou S: Influence of periodontal intervention therapy on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Periodontol 2000 56: 227-257, 2001. 

  5. Taiyeb-Ali TB, Raman RP, Vaithilingam RD: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an Asian perspective. Periodontol 2000 56: 258-268, 2011. 

  6. Martinez-Martinez RE, Abud-Mendoza C, Patino-Marin N, Rizo-Rodriguez JC, Little JW, Loyola-Rodriguez JP: Detection of periodontal bacterial DNA in serum and synovial fluid in refractory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J Clin Periodontol 36: 1004-1010, 2009. 

  7. Scannapieco FA, Bush RB, Paju S: Associations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risk for nosocomial bacterial pneumoni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A systematic review. Ann Periodontol 8: 54-69, 2003. 

  8. Scannapieco FA, Wang B, Shiau HJ: Oral bacteria and respiratory infection: effects on respiratory pathogen adhesion and epithelial cell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n Periodontol 6: 78-86, 2001. 

  9. Gunen H, Hacievliyagil SS, Yetkin O, Gulbas G, Mutlu LC, Pehlivan E: Prevalence of COPD: first epidemiological study of a large region in Turkey. Eur J Intern Med 19: 499-504, 2008. 

  10. Hayes C, Sparrow D, Cohen M, Vokonas PS, Garcia RI: The association between alveolar bone loss and pulmonary function- the VA Dental Longitudinal Study. Ann Periodontol 3: 257-261, 1998. 

  11. Page RC: Periodontitis and respiratory diseases: discussio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nn Periodontol 6: 87-90, 2001. 

  12. Scannapieco FA, Papandonatos GD, Dunford RG: Associations between oral conditions and respiratory disease in a national sample survey population. Ann Periodontol 3: 251-256, 1998. 

  13. Si Y, Fan H, Song Y, Zhou X, Zhang J, Wang Z: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Chinese population. J Periodontol 83: 1288-1296, 2012. 

  14. Oztekin G, Baser U, Kucukcoskun M,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ase control study. COPD 11: 424-430, 2014. 

  15. Liu Z, Zhang W, Zhang J, et al.: Oral hygiene, periodontal heal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acerbations. J Clin Periodontol 39: 45-52, 2012. 

  16. Barros SP, Suruki R, Loewy ZG, Beck JD, Offenbacher S: A cohort study of the impact of tooth loss and periodontal disease on respiratory events among COPD subjects-modulatory role of systemic biomarkers of inflammation. PloS One 8: e68592, 2013. 

  17. Kucukcoskun M, Baser U, Oztekin G, Kiyan E, Yalcin F: Initial periodontal treatment for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acerbations. J Periodontol 84: 863-870, 2013. 

  18. Zhou X, Han J, Liu Z, Song Y, Wang Z, Sun Z: Effects of periodontal treatment on lung function and exacerbation frequenc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chronic periodontitis-a 2-year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Periodontol 41: 564-572, 2014. 

  19. Jin HJ, Kim EK, An SY, Im SU, Song KB, Choi YH: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statu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Korean Acad Dent Health 37: 147-153, 2013. 

  20. Kim SW, Han K, Kim SY, Park CK, Rhee CK, Yoon H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natural teeth and airflow obstruction: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 J Chron Obstruct Pulmon Dis 11: 13-21, 201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ir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2010. 

  22. You KH: Education and quality contorl of pulmonary function test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Cheongju, p.9, 2014. 

  23. Hyman J: The importance of assessing confounding and effect modification in research involving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s. J Clin Periodontol 33: 102-103, 2006. 

  24. Hyman JJ, Reid BC: Cigarette smoking, periodontal diseas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Periodontol 75: 9-15, 2004. 

  25. Glass RT, Conrad RS, Bullard JW, et al.: Evaluation of microbial flora found in previously worn prostheses from the Northeast and Southwest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J Prosthet Dent 103: 384-389, 2010. 

  26. Katancik JA, Kritchevsky S, Weyant RJ, et al.: Periodontitis and airway obstruction. J Periodontol 76: 2161-2167, 2005. 

  27. Wang Z, Zhou X, Zhang J, et al.: Periodontal health, oral health behaviour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Clin Periodontol 36: 750-755, 2009. 

  28. Sharma N, Shamsuddin H: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disease in hospitalized patients and periodontal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J Periodontol 82: 1155-1160, 2011. 

  29. Kressin NR, Boehmer U, Nunn ME, Spiro A 3rd: Increased preventive practices lead to greater tooth retention. J Dent Res 82: 223-227, 2003. 

  30. Zhou X, Wang Z, Song Y, Zhang J, Wang C: Periodo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pir Med 105: 67-7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