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한 보행량 영향요인분석
Factor Analysis Influencing Pedestrian Volume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3, 2016년, pp.12 - 22  

김태현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오주택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이규훈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행은 일상생활에서 행해지는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 보행에 대한 관심과 이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루 전체시간, 비첨두시간, 첨두시간으로 분류하여 시간대 별로 요인들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업 업무요인, 접근성요인, 보행환경요인이 보행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거요인은 보행량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비첨두시간에는 하루 전체시간보다 상업 업무요인의 가중치가 증가한 반면 주거요인, 접근성요인, 보행환경요인의 가중치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첨두시간의 경우 비첨두시간과는 달리 하루 전체시간보다 상업 업무요인의 가중치가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세 요인의 가중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lking behaviors are one of the most basic transport modes in daily life. As a result, the efforts and concerns on pedestrians are consistently increased. This study tried to reveal significant factors for pedestrian volum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compare the impacts of the whole 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보행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은 측정오차를 고려하며, 다양한 설명변수들을 포함하여 변수의 다중관계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고 탐색적인 분석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변수들 간 복잡한 관계를 규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방정식이란 무엇인가? 구조방정식은 구성개념 간의 이론적인 인과관계와 상관성의 측정지표를 통한 경험적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된 통계기법이다. 다시 말해 확인요인분석을 통해서 측정오차가 없는 잠재요인을 발견하고 회귀분석으로 잠재요인 간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보행분석을 실시한 선행 연구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보행분석을 실시한 선행 연구들은 토지 이용, 도로구조, 보행환경, 접근성 등의 다양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보행환경과 보행량 사이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다중회귀분석 기법은 측정오차를 무시하여 분석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1차원적이고 단편적인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2]. 또한 기존 선행 연구들은 토지이용, 가로유형, 생활권 등 공간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보행특성을 분석한 반면, 첨두시간, 비첨두시간 등 하루의 시간대별 특성으로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시간대별로 요인들이 보행발생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한 이유는 무엇인가?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가로보행량은 비첨두시간에는 전체시간보다 상업·업무 관련 요인의 가중치가 증가한 반면 주거 요인, 접근성요인, 보행환경요인의 가중치는 감소하였고, 첨두시간의 경우 비첨두시간과는 반대로 전체시간보다 상업·업무요인의 가중치가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세 요인의 가중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시간대별로 요인들이 보행발생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게 변하는 것은 시간대에 따른 보행자들의 보행활동 목적이 다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가로의 보행활성화를 위해서는 그 지점의 시간대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보행 친화적인 가로환경 조성계획을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ang J. Y., Choi S. T., Lee H. S., Kim S. J. and Choo S. H.(2015), "A comparison analysis of factors to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land-use type using Seoul Pedestrian Survey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4, no. 2, pp.39-53. 

  2. Heo J.(2013),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s: Fundamentals, Hannarae Academy. 

  3. Lee J. W., Kim H. Y. and Jun C. M.(2015),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he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6, no. 2, pp.123-140. 

  4. Lee Y. S., Choo S. H. and Kang J. M.(2013), "Analysing Key Factors to Affect Change of Pedestrian Volumes by Neighborhood Uni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5, pp.197-208. 

  5. Lee J. A. and Koo J. H.(2013),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on Pedestrian Volum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4, pp.269-286. 

  6. Lee J. A., Lee H. and Koo J. H.(2014), "Th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Volume based on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9, no. 2, pp.145-163. 

  7. Yun N. Y. and Choi C. G.(2013),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4, pp.135-150. 

  8. Frank L. D. and Engelke P.(2005), "Multiple Impacts of the Built Environment on Public Health: Walkable Places and the Exposure to Air Pollution," International Region Science Review, vol. 28, no. 2, pp.193-216. 

  9. Lee C. and Moudon A. V.(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 Science Direct, pp.204-215. 

  10. Pulugurtha S. S. and Repaka S. R.(2008), "Assessment of Models to Measure Pedestrian Activi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073, pp.39-48. 

  11. Schneider R. J., Henry T., Mitman M. P., Stonehill L. and Koehle J.(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an Francisco Pedestrian Intersection Volume Model," n: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1st Annual Meeting, vol. 2299, pp.65-78. 

  12. Kim K. S.(2010), AMOS 18.0, Hannarae Academ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